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ristian Learning Environmental Arrangement in Church Educational Space

교회 교육공간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환경구성

  • Received : 2020.05.24
  • Accepted : 2020.06.2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As an element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spac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place of education is not only the passage to deliver actual curriculum, but also the purpose itself tha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educational content. That is because the purpose of education cannot be achieved only with instructors, students, curriculum, and methods, but require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space that represents the goal and the place where it all can be implemented. Nevertheless, the problem that lies with educational space is easy to be overlooked and it has been rather considered as an issue related to the finances or scale of the church.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gives birth to faith and growth, where spiritual development and experience may occur. However, the reality follows the drawbacks of conventional school classroom arrangements and structures. In addition, even if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its students, it cannot deviate much from the standard uniform format. In particular, the basic environment of church educational space is similar to that of standard school system in terms of arrangement of furniture such as chairs, desks, and its physical structure. As the school system was originally designed and tailor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knowledge and standardization, the space for church education must stay away from it. Humans are born and die in a space, where encounter with God also happens. Also, communication with God causes spacial conversion to humans, changing the place of their visitation. So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must be more meticulously designed and comprehensive than that of school which pursues physical, educati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artistic purposes because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pursues the liturgical elements, as well. Therefore, the Christian learning environmental arrangements must seek liturgical elements, which is the major Christian value, by placing Christian artwork or symbols for church visitors. So in this research, I want to stress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al space for spiritual growth and pursue intrinsic and extrinsic changes in learning environment, leading to a greater awareness of the Christian educational space.

교육의 한 요소로써 교육공간은 교육의 목적과 분리될 수 없다. 교육공간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통로일 뿐 아니라 교육내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그 자체이다. 이는 교사와 학생, 교육내용, 방법만 가지고는 충실하게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이를 수행하고 대변할 수 있는 교육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공간에 대한 문제는 간과하기 쉬운 주제이고 이를 재정이나 교회 규모에 관한 쟁점으로 미뤄두고 있다. 교회 교육공간은 신앙이 잉태되고 자라는 영적 발달과 경험이 일어나는 곳이다. 그러나 현실은 학교 교실 공간의 배열과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교회 교육공간을 학습자 중심으로 구성한다고 할지라도 획일적이고 일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실과 비슷한 교회 교육공간은 의자, 책상 등의 가구 배열이나 물리적 형태의 기본환경이 유사하다. 이는 지식전수, 획일주의 등의 목적에 적합하게 기획된 것이므로 교회 교육공간은 이를 지양해야 한다. 인간은 공간에서 태어나고 죽을 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만남도 공간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하나님과의 교통은 인간에게 공간적 회심을 일으켜 방문하는 곳이 달라지게 한다. 그래서 교회의 교육공간이 학교 교실보다 더 세심하고 포괄적이어야 하는 것은 교회공간이 물리적, 교육적, 심리적, 사회적, 예술적 목적을 추구하는 학교와 달리 이 모든 것에 예전적 요소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적 환경구성은 교회를 방문하는 사람에 대한 공간적 배려, 기독교 예술작품이나 상징물 등을 배치함으로 신앙교육의 환경 조성, 공간이 지닌 기독교적 정체성인 예전성을 통해 기독교적 공간의 특성을 추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앙 발달을 위한 공간의 역할이 있음을 강조하고 내·외재적 교육환경의 변화를 추구함으로 공간문제에 교육적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만.박선형 (2012). 학교시설 환경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33-57.
  2. 김춘종.박상수.황종문 (2012). 통합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이 감정반응 및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7, 773-782.
  3. 국민일보 (2020.). 한 지붕 여섯 교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39224&code=23111113&sid1=chr&fbclid=IwAR2x3MeyJ9OXReFnAdg1-pv7cWcWwzZ3WKErGB9NYbG3fgC7p9HrcU-O0Bs 2020.6.9. 인출
  4. 박남화 (2000). 교육시설 50년 어떻게 변모했나, 한국교육신문.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1809 2020.6.5. 인출
  5. 배지윤.이경선 (2018). 감성발달환경을 위한 교육공간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7(5), 152. https://doi.org/10.14774/JKIID.2018.27.5.152
  6. 석민철 (2016). 초등학교 학급교실공간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부산.
  7. 신나민 (2012). 교육학자의 관점에서 본 학교공간 개선. 한국교육시설학회, 19(5), 20.
  8. 양금희 (2014). 어린이영성교육. 서울: 센싱더스토리.
  9. 이규민 (2016). 포스트모던 시대의 통전적 기독교교육.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0. 이연숙.안경인.윤혜경 (2001). 초등학교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아동에게 미치는 단기적 영향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8, 124-125.
  11. 어룡초등학교 교직원 (2017). 왜 학교 공간인가. 서울: 북트리.
  12. 임정훈 (2018). 학교의 품격. 서울: 우리교육.
  13. 전은호 (2002). 잠자는 교회디자인을 깨우라.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4. 최규진 (2018). 일제의 식민교육과 학생의 나날들. 서울: 서해문집.
  15. 최윤필 (2014). 겹겹의 공간들. 서울: 을유문화사.
  16. 토목용어사전 (1998). 인위적 환경.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13831&cid=50333&categoryId=50333 2019.7.19. 인출
  17. 표준국어대사전 (2019). 공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498eab0199340e781ca1f12b151323e 2019.3.20. 인출
  18. 표준국어대사전 (2019). 장소.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1ec96aa9c214c21b9516a57b1cbea73 2019.3.20. 인출
  19. 표준국어대사전 (2019). 환경.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6109233bc594889b5f343eed91adca9 2019.3.20. 인출
  20. 한국종교민속연구회 (2007). 종교와 의례공간. 서울: 민속원.
  21. 한국교육사학회 (2011). 역사 속의 교육공간, 그 철학적 조망. 서울: 학지사.
  22. Bronfenbrenner, U. (1992). 인간발달 생태학. 이영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1979 출판)
  23. Heimbrock, H-G. (2015). Sigurd bergmann, religion, space, and the environment, brunswick. International Journal of Practical Theology, 19, 228-231.
  24. Kim K. (2010). Religion, space, and place. Religion and Society, 1, 29-43. https://doi.org/10.3167/arrs.2010.010103
  25. Murphy, D. D. (2006). Teaching that transforms: Worship as the heart of Christian education. Teaching Theology & Religion, 9, 321-327.
  26. Palmer, P. J. (2006).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이종태 역. 서울: IVP. (원저 1993 출판)
  27. Tuan, Y-F. (1995). 공간과 장소. 구동회, 심승희 역. 서울: 대윤. (원저 1977 출판)
  28. Waltz, M. L. (2007). 감동이 있는 교회는 첫인상부터 다르다. 서진희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원저 출판. (원저 2004 출판)
  29. William, A. (2012). 가르친다는 것. 홍한별 역. 서울: 양철북. 원저 2001 출판)
  30. Yust, K. M. (2004). Real kids, real faith, practices for nurturing childre's spiritual lives. San Francisco: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