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ers' Ethic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8초

아시안 에스닉 룩의 조형성과 미적가치에 판한 연구 (The Research of Visual and Aesthetic Values of an Asian Ethnic Look)

  • 권하진;김민자
    • 복식
    • /
    • 제56권6호
    • /
    • pp.114-131
    • /
    • 2006
  • An Asian Ethnic Look is based on its own values of traditional costumes and the fashion accessories that are influenced by its own genre within their own culture. In this thesis, it contemplates the study of visual values and the traditional influences of the Modern Western Designers and Asian Designers' definitions and the considerations of an Ethnic look in the countries like Middle East, India, Korea, China and Japan. The standard procedure to understand their Visual and Aesthetic values is acknowledgement of body. From that foundation, an Asian Ethnic Look and its Visual and Aesthetic Values were researched through out the Middle East Asian Look, Indian Look, Korean Look, Chinese Look and Japanese Look which effective after 1990's. The studies are further researched to the comparis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Western Designers and the Asian Designers, and the definitions of an Asian Ethnic Look and its Visual and Aesthetic Values in between those. According to each country's religious attitudes, a beauty of concealment and a beauty of negative space appeal which emphasize an ethics on humanity and non-materialistic attitudes. It takes meanings of a phenomenon of nature's worship, Yin-Yang five elements of principles, oneness of body-mind and oneness of universe-mankind. Following the studies of Visual and Aesthetic Values of an Asian Ethnic Look, in 1990's Western Designers' interpretations were prominent use of the Asian Traditional Motif3. However, the interpretations of the Asian Designers were based on their own traditional ethics and they minimized decorative elements but enhanced naturalism, feminism, calm and sober designs compare to the past. The Asian Designers' interpretations of their visual values were based on their Asian mentality, beauty and its straightforward genuine perspective and respects of their own culture.

생태적 디자인 적용 사례에 관한 기초 연구 - 오피스 빌딩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Design - Focused on office building -)

  • 정효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71-79
    • /
    • 2003
  •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both natural and man-made, has unlimited influence on people's behavior and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Interior designers shaped the indoor environment in which people live, work, perform day-to-day tasks and rest. Since designers affect a society's sensitivity and thinking, the aesthetics and ethics of the designs must respond to the most burning environmental issues of the contemporary world. This awareness is especially important now, at this critical time in the life of our planet, when humanity is facing twin catastrophes: natural resources depletion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Under this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gure what kind of design is ecologic and sustainable design and how we can develop ecological design as focusing on natural ventilation, natural lighting, uses of recycled materials, application of Indoor landscaping and architectural forms through several existing cases of the ecological office building.

주얼리 디자인 전공 교육의 비젼과 실무를 통한 문화경영 (Culture Management through Vision and Practical of Jewelry Design Education)

  • 심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40-149
    • /
    • 2007
  • 주얼리(Jewelry) 관련 산업 사회인식전환은 교육이론과 실무자의 책임의식 변화가 선행 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주얼리 산업 중 주얼리 디자인에 관한 관심과 증가가 이어져 문화경영으로서 비젼(Vision)과 가능성을 가져 올 것인가에 대한 논의로 주얼리 디자인의 논리적 체계화와 주얼리 디자이너의 윤리적 교육과정이 차세대 주얼리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세계의 주얼리 산업 중 이탈리아의 주얼리 교육과 산업을 통해 주얼리 디자인의 존재방식과 최근 트렌드, 소비 형태에 따른 디자인 경영의 새로운 콘텐츠와 사례들을 들어 분석함으로서 국가적 경쟁력을 넘어 선 미래의 문화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그에 동반하는 주얼리 교육의 윤리적 철학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디자이너의 지각과 행동이 디자인의 존재방식과 경영에 공감과 감성이라는 주얼리 디자인의 새로운 전통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찾고자 한다.

디자인적 관점에서 바라본 인스타그램 중독 (A Design Perspective on Instagram Addiction)

  • 한창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39-345
    • /
    • 2023
  • 기술의 배후에는 디자인이 존재한다. 디자인은 일상 생활의 필요성과 시장 구조와 얽혀 기술을 다루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서는 둔감해질 수 있다.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과 달리 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의 콘텐츠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독성 있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기능의 검토하고 나아가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윤리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다. 선행 연구된 국내외 주요 문헌의 고찰을 통해 먼저 인스타그램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수립한다. 인스타그램의 역사 및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지어 소셜 미디어 중독을 조장하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특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디자인을 '더 나은 삶을 위한 문제해결의 방법론'으로 정의할 때, 디자인에 있어서 오늘날 디자이너의 역할은 어떠한 문제를 중심으로 어떠한 해결방법을 제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적 쟁점을 통해 인스타그램이 사용자의 중독을 조장하는 메커니즘을 소개하였다. (1) 당겨서 새로고침(Pull-to-Refresh) (2) 푸시 알람에서의 빨간색 색채 (3) 인스타그램 스토리의 프로필 사진 테두리 표현이 그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사용자의 사회적 욕구와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심리를 자극해, 강박적인 인스타그램 사용 습관의 구조를 형성한다. 인스타그램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윤리적 역할을 재고하게끔 하는 사례다. 디지털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력한 오늘날의 세계에서 디자이너는 디자인의 목적, 즉 우리 사회와 삶 자체를 포함하여 만드는 것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재정립이 촉구된다.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 추진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Plan for AI Service Impact Assessment)

  • 신선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47-15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향평가에 대한 정의부터 국내외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 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 추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타 분야에서 추진된 영향평가 사례, 인공지능 서비스 국내외 영향평가 사례를 바탕으로 추진 방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는 다소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며, 시점도 사전적 예방 수단에 그치지 않고 상시적·사후적 위험성 관리를 예정하고 있다. 단계별 추진 방안으로 1단계에는 AI 수준 조사 기반의 경제적 효과 등의 정량적 지표를 개발한 후, 2단계에서는 지능정보화 기본법에 기술된 안전성 및 신뢰성, 인공지능 윤리 등 정보문화, 고용·노동 등 사회·경제, 정보보호, 국민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미치는 분야별 평가체계를 마련한다. 3단계에서는 세부 측정지표나 방식 등의 논의를 확대하고 영향평가 결과가 인공지능 정책에 반영하는 환류 체계 포함된다면 국내의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정책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정책 설계자,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자, 시민단체 등 다양한 참여자를 통한 분석이 요구된다.

시각디자인 교사역량 평가 모델 연구 (Visual design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model study)

  • 손붕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2권1호
    • /
    • pp.29-41
    • /
    • 2022
  • 최근 시각디자인 전공은 많은 국가에서 생산적 가치를 창출하는 신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시각디자인 교사는 디자이너의 발전과 디자인 산업의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며 그들의 직무를 수행할 때 갖춰야 할 역량의 구성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문서 분류를 통해 지식 능력, 교학 능력, 실무능력, 관리능력, 직업윤리인 5가지 역량군을 기반으로 한다. 시각디자인 업계 전문가 10명과의 인터뷰와 2회의 델파이 방식 인터뷰를 통해 시각디자인 교사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