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ation criteria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전통경관 보존계획을 위한 지정구역 설정에 대한 기초연구 - 선형(線形) 명승의 지정 현황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ated Area for Conservation plan of Traditional Landscape - Focus on the Designation Status of Linear Scenic Sites -)

  • 이창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76
    • /
    • 2020
  • 본 연구는 명승 중에서 선 형태으로 지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지정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명승 구역의 재검토 및 신규 지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설정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보존관리자료를 바탕으로 113개소의 국내 명승 중 23개소의 선형 명승을 도출하였으며, 선형 자원특성은 계곡형, 통로형, 하천형, 능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선형 명승은 형태적으로 연속성과 방향성을 지녀 대상지에서 나타나는 이용행태 또한 유사한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FGI를 통해 추출한 선형 명승의 6가지 설정 요소를 기준으로 23개소의 대상지의 지정 현황을 살펴본 결과 자원중심 요소가 1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번·필지 요소와 기준이 모호한 곳이 각각 8곳, 관리동선 요소가 5곳, 능선 요소가 4곳, 유역과 주변 경관 요소가 3곳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형지정 명승의 시계열상 특징은 2010년 이전에는 지정구역이 지번·필지가 지정을 위한 우선 요소로 고려되었으나, 2010년 이후에는 해당 자원을 중심으로 지정구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대면적 특성을 갖는 명승 문화재 구역 내 사유재산권에 관한 내용과 더불어 명승의 본질에 입각한 보존이 고려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명승 구역의 지정 및 타당성 재검토에 있어 선형 명승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자원 중심 요소로 파악되었다. 선형명승은 해당 자원의 경계를 참조하여 지정구역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계에서 일정 폭원 내의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변 경관을 보호하는 성격의 넓은 폭(500m 이내)의 현상변경구역에 대한 우선적인 등급기준 마련은 선형 명승의 향후 보존관리의 실효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비시가화지역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설정 기준 및 현상변경기준의 개선 방안 - 경기도 소재 조선왕릉을 중심으로 - (The Criteria Improvement on the Designation of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and the Current Conditions Alteration in Non-Urbanized Area - A special Emphasis on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

  • 최형석
    • 농촌계획
    • /
    • 제19권3호
    • /
    • pp.117-129
    • /
    • 2013
  • The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round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Province are larger than those around other Cultural Assets, so more efficient management tools on the Areas should be need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policy to modify the existing management tools by analyzing the spatial extent and alteration standards of the 12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round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ost cases, the spatial extents of the Areas are 500m, but the spatial extents should be precisely classified in Gyeonggi Ordinance of Cultural Assets Protection, and be excluded according to the layout of Protection Areas and roads. And the outside view from the inside is more important in Chosun Royal Tombs, so the areas on the axis of the view must be controled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density(bulk or height of buildings). Second, the same zoning areas must be classified as the same section of the Area allowing for equity, and Finally, the Current Conditions Permission Criteria should be actualized to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ment densities of zoning araes and the Criteria.

온라인 맞춤 드레스셔츠 업체 현황조사 및 치수체계 분석 (Survey on the Brand of Online Custom Dress Shirts and Analysis of the Sizing System)

  • 안동주;이정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56-568
    • /
    • 2018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current status and sizing system of the custom dress shirts sold through online shopping, compared with the sizing system of the ready-made dress shirts. We tri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needed to make the well fitted dress shirts for middle-aged men from this study. The 17 online custom dress shirt brands were selected and the sales type, sales price, design options and size options of each brand were analyzed. The sizing systems of online custom dress shirt brands were compared with the sizing system of the 10 ready made dress shirt brands. The result showed that online custom dress shirts brands offered a variety of design options and size options to meet the consumers' individuality, taste and demand for good fit. In the ready-made brands, all 10 brands were using the same size notation system. In the same size designation, the difference in product size among the ready-made brands showed a tendency to be smaller than the online custom brands. The online custom brands had the different size notation system among brands. The size notation, the number of size designation and the size interval were different for each brand. Also, in the online custom brands, the product size among brand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same size designation. Therefore, the standardized size information and sizing system for middle-aged men that could be used as criteria when making the product size and pattern design in online custom brands were needed.

기반시설설치구역 지정을 위한 공간정보 적용방안 연구 (Spatial Designation of Impact Fee Zone Using the Parcel Development Permit Information)

  • 최내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0-45
    • /
    • 2009
  • 2008년 9월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과 관련한 조항이 국토계획법에 신설되면서 정부는 개정 시행령을 통해 개발행위허가 건수 증가율에 따른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기준을 고시한 바 있다. 그러나 개발 행위허가는 개발계획을 가진 개별 토지주의 신청에 의해 산재한 개별필지 단위로 발급되기 때문에 개발행위 급증지역을 국지적으로 선별하기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사례 지자체의 3개 연도 개발행위허가대장 자료를 한국토지정보체계(KLIS)의 필지정보와 결합하여 속성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다시 지형 레이어 및 기반시설 레이어와 연동한 후 지자체 전체 평균 개발행위허가 증가율에 대한 법정기준을 상회하는 구역을 찾아냄으로써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을 위한 실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PDF

自然景觀水系의 體系樹立을 위한 基礎硏究(I) -美國의 自然景觀水系制度 紹介 및 國內適用 事例硏究- (A Study on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I) -American Experience, and Suggestions for System Building in Korea-)

  • 안동만;안성로;진영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57-70
    • /
    • 1990
  • This study is on system building and model case study to establish a new framework of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and to apply this to Korean rivers.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of the U. S. , which had become law in 1968 for establishing wild scenic and recreational river areas, was investigated. The techniques of two American case studies about the National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designation were investigated and synthesized, and study process was adjusted to Korean river system. Additionally, pilot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method an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American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each river was evaluated based on eligibility criteria for designation, such as remarkable scenic, recreational, fish and wildlife, cultural or other ecological values. Segmented river areas were classified into three or four grades and management plans were prepared accordingly. 2) The management of rivers in Korea has emphasized on the flood control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up to the present, and now takes a growing interest in water quality. But it has been concerned very little with wild and scenic resources conservation of river corridor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build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in Korea for rational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valuable natural resource. 3) Suggest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Korean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were wildness, wildlife and plants, hydrology, scenic qualit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river areas may be graded into four : Positive conservation area(I), Negative conservation area(II), Negative development area(III), Positive development area(IV). Management guidelines were proposed for each grade. 4)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approach, one of the major tributary of the Han-River was selected for pilot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evaluation and grading system worked well.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into Korean national park system, and to amend the Korean National Park Act to enable this.

  • PDF

2급 응급구조사 양성과정 개선방안 연구 : 양성기관 현황 및 지정기준 검토 (Improvement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basic training program : a review of the status of training institutions and designation criteria)

  • 이남종;신동민;김병우;박시은;유은지;윤병길;윤성우;윤형완;이경열;최재웅;황성훈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51
    • /
    • 2019
  • Purpose: To discuss the records and legal standard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and abroa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improving the EMT-basic training institutions. Methods: We received advice through an advisory meeting of experts (professor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interested parties (Korean Associ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official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and referred to various reports published by governments, official institutions, and other trustworthy organizations. Also, we communicated with the related experts abroad (3 countries) on the phone or by email for surveys. Results: Compared to the abroad,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of designating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and improve the management of training institutions to train competen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nd manage continuously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basic training programs for the systematic primary healthcare service.

복부비만 성인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에 따른 하의류 치수체계 연구 (Development of Sizing System according to the Lower-Body Analysis for the Abdominal Obesity Adult Females)

  • 임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10-320
    • /
    • 2020
  • This study established a lower garment sizing system for abdominal obesity adult women aged 30-59 based on 277 females selected from the 7th Size Korean Anthropometric survey. The criteria for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ver 25 kg/㎡ of the BMI, over 85 cm of waist, and over 0.8 waist hip ratio.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ower body analysis of abdominal obesity adult women showed that average circumference items were larger than the ordinary size, and the average length items were smaller. The standard deviation was applied around the average values of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for the suggestion of a lower garment sizing system for abdominal obesity adult women. The interval between the designation was ±1.5 cm with a waist circumference of 100 cm and ±2.5 cm with an average hip circumference of 100 cm. We established 13 designation sec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cover ratio and cover efficiency. The cover ratio in the 13 nominal sections was 71.5%. The segmental distribution rate presented in the results will also be useful for production planning in specific sizes that helped enable rational production.

Designation of Landmark Buildings for Cultural Facilit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Total Project Cost Management System and Related Policy Cases

  • Hee Jae Lee;Hong Gyu Kim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63-72
    • /
    • 2024
  • Due to budgetary constraints, national landmarks symbolic of country's power and cultural stature face significant limitations in their creation. Within the current total project cost management system, there are considerable restrictions on constructing cultural facilities with various forms and designs, and there exists a societal need for a design-first administrative system for public buildings that demand artistry and symbolism.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applying exceptions to the total project cost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designation of representative artistic architecture. It discusses dire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level systems.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on budget management and national project management was conducted, and an analysis of related policy cas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as performed to select applicable examples and consider their implications for policy utilization within the domestic context. The results discuss the necessity of public art building construction, the issues with construction budgets, and the in-volvement of world-class architects. Analytical implications include the need for realistic budget setting for construction projects, establishing clear promotion criteria, and creating a phased process and expert evaluation panel.

별서명승의 개념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A Meaningful Interpretation on Concept of Byeulseo Scenic Spot)

  • 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8
    • /
    • 2010
  • 본 연구는 별서명승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으로서, 별서 및 명승의 정의를 먼저 제시한 후, 별서가 별서명승으로 불릴 수 있는 근거와 이유, 당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명승지정 기준은 3항에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 5항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서 종교, 교육, 생활, 위락 등과 관련된 경승지를 명승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덧붙여 우리 선조들이 별서공간에 대한 명승개념을 정의해 놓은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별서공간을 역사 및 생활명승으로서의 명승으로 지정해 나갈 수 있는 준거를 찾아보고자 한다. 첫째, 문화재법상 명승의 개념은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건물이 있는 경승지 또는 이름난 풍경을 볼 수 있는 지점으로서 경치도 중요하지만, 대상지의 담겨진 삶의 기록(Story Telling)인 역사자원을 발굴해 내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명승에 대한 지정 기준은 자연경관, 저명한 경치가 있는 동식물군락지, 경관조망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庭苑)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 다양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생활명승으로서의 별서명승의 지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외국 사례 중 일본의 경우, 별서 및 주택정원을 명승으로 196개소나 지정하여 전체 명승 355개의 55.4%에 달하고 있음에 유의하여, 우리도 이들의 제도를 우리에 맞게 원용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저명한 건물이나 중요사적 및 민속자료 등이 포함된 대단위 경관지역은 복합문화명승이나 특별명승과 같은 개념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적, 중요 민속자료 등으로 분류된 정원, 원지 중에서 명승으로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는 대상지의 명승으로의 문화재 지정종별 분류작업을 지속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생활명승이면서 경치가 아름다운 별서정원의 명승지정을 확대하여야 한다. 정자들은 경승지에 선비들이 은일하며, 학문을 했던 별서의 중심공간으로서, 작정자가 분명하고 행장기록이 있어 국민들에게 이야기거리를 창출하여 홍보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경우 명승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별서정원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조망점의 경우 지정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명승 지정을 확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별서정원의 경우 조망점이 우수한 사례가 많고, 아직 조망점이 좋은 대상지를 명승으로 지정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동북아시아 명승 유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 of Scenic Spots in Northeast Asia)

  • 이진희;이영이;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3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명승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각 나라별 명승의 개념 및 지정기준, 명승의 유형 및 지정현황 등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명승 자원의 새로운 유형 발굴과 지정의 중요성,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국내외 현지답사, 중국 및 대만, 일본자료의 번역을 통한 상호비교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승 지정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대만, 중국은 문화명승보다 자연명승이 더 많이 지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본은 문화유산이 자연유산보다 많이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아직까지 발표되지 못했던 중국에 관한 명승관련정책들과 지정명승목록 및 데이터 등이 작성될 수 있었던 것을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대만은 명승지에 관광개발투자허가 관련 내용을 담은 관광개발조례안을 따로 만들어 민간기업투자유도 등 관광사업화를 활성화하고 있으며, 일본은 명승지정전이라도 교육위원회를 통하여 명승으로 가지정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국가명승의 지정현황 및 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 명승자원의 유형 및 지정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는데 의의를 두었으며, 한국 명승의 지정 기준 및 지정의 활성화를 기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