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 of Scenic Spots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명승 유형 비교연구

  • Lee, Jin-He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Young-Yi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이진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영이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ursu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scenic spots1) by comparing policies of preserving and maintaining scenic spots in Northeast Asia, especially in South Korea, Japan, Taiwan, China. The objects to be compared for this study were the concepts and designation criteria of scenic spots, the types and present conditions of designated scenic spots and the preservation policies and budgets for scenic spots and so on. As for the research methods, analyses of literary documents, domestic and oversea on-site surveys and mutually-comparative analyses of translated data from China, Taiwan and Japan, etc.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main results obtained by those research methods can be summarized as blow.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designated scenic spo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natural scenic spots than natural ones in Korea, Taiwan and China, while there were more cultural heritages designated as scenic spots than natural heritages in Japan. With Tourism Development Ordinance additionally enacted, which involve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ermission of tourism development and investment for scenic spots, the Taiwanese government tries to activate tourist attractions by attracting private enterprises' investments. What is unique about Japan is that some places can be pre-designated as scenic spots through an education committee called 'Scenic Spot Designation Committee'. The study of the book was investigation analysis with the designated present situation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northeastern Asian national natural beauty spot. The type of Korea natural beauty spot resources and the appointment. I was going to offer it with a basic document to expect a designated standard and the designated activation of the Korea natural beauty spot.

본 연구는 한국 명승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각 나라별 명승의 개념 및 지정기준, 명승의 유형 및 지정현황 등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명승 자원의 새로운 유형 발굴과 지정의 중요성,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국내외 현지답사, 중국 및 대만, 일본자료의 번역을 통한 상호비교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승 지정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대만, 중국은 문화명승보다 자연명승이 더 많이 지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본은 문화유산이 자연유산보다 많이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아직까지 발표되지 못했던 중국에 관한 명승관련정책들과 지정명승목록 및 데이터 등이 작성될 수 있었던 것을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대만은 명승지에 관광개발투자허가 관련 내용을 담은 관광개발조례안을 따로 만들어 민간기업투자유도 등 관광사업화를 활성화하고 있으며, 일본은 명승지정전이라도 교육위원회를 통하여 명승으로 가지정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국가명승의 지정현황 및 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 명승자원의 유형 및 지정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는데 의의를 두었으며, 한국 명승의 지정 기준 및 지정의 활성화를 기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열(2008). 우리나라 명승 지정 확대방안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지혜, 이재근(2006). 우리나라 명승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연구: 한, 중, 일, 북한과의 비교.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4: 65-75.
  3. 대만 교통관광부(2009). 重要觀光景點建設中程計畵(97-100年: 2008-2011).
  4. 문화재청(2001). 명승 자원조사 보고서.
  5. 문화재청(2004, 2005). 명승지정 학술 조사 연구.
  6. 문화재청(2008). 문화재주변 영향검토구역 개선연구.
  7. 문화재청(2009). 명승의 현황과 전망.
  8. 일본 문화청(2010)(平成 22年). 我ガ國 文化行政. p. 38.
  9. 이진희(2006). 명승 대상지 평가인자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UNESCO. ICOMOS(2004). 세계유산 보호정책 세미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1. 대만 풍경특정구역 관리규칙.
  12. 중국 국가중점풍경명승구심사방법.
  13. 중국 국가중점풍경명승구심사평가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