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of learning Contents

검색결과 914건 처리시간 0.027초

소셜 미디어 콘텐츠 분석에 따른 참여유형 및 학습촉진방안 탐구 (Research on the Participation Types and Strategies for Facilitating Learning based on the Analyses of Social Media Contents)

  • 임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95-509
    • /
    • 2011
  •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 등 다양한 기술적 기반이 확충되면서 최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활동인 이른바 소셜 러닝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학습자의 다양한 참여유형을 분석하고, 나아가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탐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모형으로서 소셜 미디어 콘텐츠 활용 유형을 크게 두 시각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첫째는 읽기 및 쓰기활동에 근거한 참여형태에 따른 분류로서 프로슈머형, 생산자형, 소비자형, 그리고 비참여자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는 수업 활동 및 수업외 활동에 따른 참여내용별 분류로서 수업내용, 수업관리, 정서표현, 그리고 친교활동으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참여유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K대학교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8주간 마이크로블로그를 활용한 소셜 미디어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참여형태 및 참여내용에 따른 다양한 학습활동 결과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소셜 미디어 활용학습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 분석의 중요성, 교수자 역할의 증대, 그리고 수업모형의 설계 원리와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었다.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 In Case of Public Organization.)

  • 정해용;김상훈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7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First of all, four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theoretically derived from reviewing previous research. They are: (1) learner-related factor including the variables such as team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attending motivation, (2) environmental factor including the variables of physical and mental support for learners, (3) instructional design factor represented by one variable, the degree of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s, and (4) the factor concerning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embracing the variables such as curiosity for learning, openness towards challenge of learning and affection for learning.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our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collected from 1,020 respondents who have already passed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cours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Out of 1,020 responded questionnaires, 875 data were available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is shown to be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and in the next place,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actor, the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learner-related one in sequence. Secondly, additional analysis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shows that availability of pract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and next, interesting composition of contents, reasonable learning amount, optimal level of instruction, and understandable explanation are significantly important in the descending order. Lastly, among learning motivators, strong intention of acquiring business knowledges and skills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atisfier in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omprehensive model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icient and effective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in the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 PDF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학습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ized Learning)

  • 김명회;이현태;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8-1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특성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적응형 학습 요소를 도출하고, 콘텐츠 순서를 고려하여 학습 콘텐츠의 제작과 학습 관리 시스템의 개발 시 학습 내용과 학습자간의 상호 작용성을 높이고 개별적인 학습자 특성에 알맞게 지능적으로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관리 로직을 설계한다. 적응형 학습 관리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기존의 학습 관리 시스템에 적응형 학습 지원 기능을 포함하여 시스템 기능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설계된 기능모델을 기반으로 시스템의 구현 구조를 제시하고 ADL의 SCORM 기반의 런타임 환경에서 적응형 학습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사이버교육 유형별 교수설계 전략 및 콘텐츠 개발 - 보건복지 종사자를 위한 사이버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ontents by Cyber Education Types - Focused on Cyber Education for Employees of Health and Welfare)

  • 진선미;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05-21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 종사자가 직무 수행 시 필요한 교육 내용별 적합한 사이버교육 콘텐츠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구체적인 설계전략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 기존의 보건복지 관련 사이버교육 콘텐츠 등을 기반으로 전문가회의를 통해 네 가지 콘텐츠 유형을 강사주도형 콘텐츠, 스토리텔링형 콘텐츠, 실습형 콘텐츠, 사례제시형 콘텐츠로 구분하였다. 각 콘텐츠 유형별로 거시적 설계전략, 미시적 설계전략 등을 도출하였으며 설계전략에 맞춰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콘텐츠의 만족도 조사를 위해 교육수료생을 중심으로 1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콘텐츠의 학습만족도 평균은 4.42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 사이버교육 콘텐츠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이론적 기초자료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GT 모형을 활용한 웹 기반의 협동 e-Learning 시스템 설계 (Design of Web-based Cooperative e-Learning System Using TGT Model)

  • 가민경;김봉현;김승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6-779
    • /
    • 2006
  • 오늘날 각종 첨단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초고속 통신망을 통한 PC사용자의 증가로 장소와 시간의 제약없이 웹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e-Learning 콘텐츠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다. 학습자가 다양한 사고를 통하여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학습환경 하에 자유롭고 독창적으로 사고하며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e-Learning을 통한 학습의 장점과, 좀 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협동 학습 모형 중 TGT 모형을 활용한 e-Learning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TGT모형의 기본 이론인 경쟁적 게임 방식을 웹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실력향상에 도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형 어린이 박물관 콘텐츠 개발 및 만족도 조사 연구 (Development of interactive children's museum contents for online-offline experience and research on satisfaction level)

  • 이지은;이상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59-65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온라인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를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 형태로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온·오프라인 박물관 콘텐츠는 기존 온라인 박물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기존 전시물 유형과 직접 체험 요소가 보완된 콘텐츠를 결합하였으며, 혼합 매체 사용을 통해 학습을 증진시킨다는 Blended learning 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온라인 박물관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온·오프라인 박물관이 기존 온라인 박물관에 비해 학습 효과가 있는지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직접 체험이 혼합된 콘텐츠가 높은 만족도 및 빈도 지수로 집계되었으며 [놀이형]과 [경험형] 유형의 직접 체험 콘텐츠가 간접 체험 유형의 콘텐츠보다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박물관이 제공해 줄 수 있는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시사점과 발전 가능성을 제공하고 어린이 교육에 다양한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u-스마트 관광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 설계 (Design of Mobile Learning Contents using u-smart tourist information)

  • 선수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383-390
    • /
    • 2014
  • 최근에는 IT와 관광을 융합하는 IT관광 융합학문이 미래학문으로 떠오르고 있다. 융합학문은 소셜 데이터 분석에 열을 올리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활용되고 있으며 학습에 적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u-스마트 관광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설계한다. 이것은 관광정보 패턴 템플리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관광정보 콘텐츠를 학습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모바일 학습 콘텐츠로 변환하는 것이다. 모바일 학습 콘텐츠 설계는 u-스마트 관광정보를 이용한 스마트폰 앱(App)과 XMI를 활용하여 열 개의 설계 과정을 거친다. 향후 이 설계과정을 거쳐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구현함으로써 관광정보 콘텐츠 정보품질에 맞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광정보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학습 할 수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인터넷 윤리교육을 위한 SNS 기반의 블렌디드 러닝 시스템 구현과 효과 분석 (An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SNS based Blended Learning System for Internet Ethics Education)

  • 이준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1-7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learning model for internet ethics education, following the learning principle and procedure of PBL(Problem-Based Learning) which is one of the constructivism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to apply it). In this learning model, online learning and face-to-face classes were systematically combined for achieving the teaching-learning goals and the main module for online learning run on Moodle, an open source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for learner to participate actively in creation of micro-contents and reorganize contents using various SNS(Social Network Service). The learner can achieve the learner-oriented learning and select micro-contents in order to reorganize the personalized learning contents to take advantage of SNS among learners. To examin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learning model,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to the subjects of two classes in the second-grade of university located in OO city. 60 students(treatment group=30, control group=30)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 statistically verified that the proposed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in cultivating consciousness of internet ethics than the face-to-face PBL learn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paper also showed that a lecture using blended learning is efficient in achieving learning performance and that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 higher effectiveness of learning would be expected) by forming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using SNS.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ed that a lecture using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ness in achieving learning performance and that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 higher effectiveness of learning would be expected by forming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using SNS.

에듀테인먼트 컨텐츠 개발을 위한 게임 요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어린이용 영어 단어 학습 게임 컨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option of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Game for Edutainment Contents Development - through a Case Study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Came for Children)

  • 박수정;김현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71-280
    • /
    • 2003
  •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의 학습 방법은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하는 학습으로 바뀌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학습을 위한 대표적인 두 매체는 CDROM과 인터넷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과 게임이 결합한 에듀테인먼트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진 교육용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단발적, 일시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진정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데에는 충분히 효과적이지 못해 왔다. 교육용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동기를 유발하고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오락적 요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채용하여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게임이 가져야할 특성들을 학습컨텐츠에 적용하여 교육용 게임으로 개발하기 위한 적용 방안에 대해 살펴하고, 어린이용 영어 단어 학습 게임 개발안을 통하여 게임 요인들이 학습용 컨텐츠를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한가지 예를 제시한다. 이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문헌과 자료 조사를 통하여 교육용 컴퓨터 게임에 관해 정의하고, 그 특징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교육용 컴퓨터 게임의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새로운 개념의 단어학습 게임인 "WORLD VILLAGE"의 컨셉 수립과 컨텐츠 구성 과정에서 교육용 게임의 요인이 적용된 개발안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교육용 컴퓨터 게임에 관해 고찰하고, 기존의 교육용 컨텐츠에 미비하게 적용되고 있는 게임 요소들을 학습 내용 요소들에 적용한 영어 단어 학습용 게임을 제안함 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에듀테인먼트 컨텐츠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