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Morphology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1초

Efficiency of MVP ECG Risk Score for Prediction of Long-Term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With ICD for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 Levent Pay;Ahmet Cagdas Yumurtas;Ozan Tezen;Tugba Cetin;Semih Eren;Goksel Cinier;Mert Ilker Hayiroglu;Ahmet Ilker Tekkes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9호
    • /
    • pp.621-631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morphology-voltage-P-wave duration (MVP) electrocardiography (ECG) risk score is a newly defined scoring system that has recently been used for atrial fibrillation (AF) predi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the MVP ECG risk score to predict AF in patients with an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 and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in long-term follow-up. Methods: The study used a single-center, and retrospective design. The study included 328 patients who underwent ICD implantation in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2010 and April 2021, diagnosed with heart failur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low, intermediate and high-risk categories according to the MVP ECG risk scores. The long-term development of atrial fibrillation was compared among these 3 groups. Results: The low-risk group included 191 patients, the intermediate-risk group 114 patients, and the high-risk group 23 patients. The long-term AF development rate was 12.0% in the low-risk group, 21.9% in the intermediate risk group, and 78.3% in the high-risk group. Patients in the high-risk group were found to have 5.2 times higher rates of long-term AF occurrence compared to low-risk group. Conclusions: The MVP ECG risk score, which is an inexpensive, simple and easily accessible tool,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development of AF in the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an ICD with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This risk score may be used to identify patients who require close follow-up for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F.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n low-velocity impact behaviour of thin hybrid carbon/aramid composite

  • Sojan Andrews Zachariah;Dayananda Pai K;Padmaraj N H;Satish Shenoy Baloor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3권5호
    • /
    • pp.391-416
    • /
    • 2024
  • Hybrid composite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various load-bearing structural components of micro - mini UAVs. However, the design of thin laminates for better impact resistance remains a challenge, despite the strong demand for lightweight structures. This work aims to assess the low-velocity impact (LVI) behaviour of thin quasi-isotropic woven carbon/ aramid epoxy hybrid laminates us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techniques. Drop tower impact test with 10 J and 15 J impact energies is performed on carbon/epoxy laminates having aramid layers at different sequences and locations. The impact behaviour is experimentally evaluated using force-time, force-deformation, and energy-time histories considering delamination threshold load, peak load, and laminate deflection. Ultrasonic C-scan is performed on the post-impact samples to analyse the insidious damage profile at different impact energies. The experimental data is further utilized to numerically simulate LVI behaviour by employing the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 model. The numerical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Numer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 predicts that the hybrid laminates with aramid layers at both impact and non-impact sides of the laminate exhibit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overall impact behaviour by having a subcritical damage morphology compared to carbon/epoxy laminate. A combined numerical-experimental approach is proposed for evaluating the effective impact performance.

RGP 콘택트렌즈의 성분과 표면 분석 (Composition and Surface Analyses of RGP Contact Lenses)

  • 장준규;신형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9-337
    • /
    • 2010
  • 목적: RGP 콘택트렌즈들의 성분과 표면을 일관된 방법으로 분석하여, RGP 렌즈 재료의 성분 설계에 기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렌즈 재료의 구조는 적외선분광(FTIR), 표면 조성은 X-선 광전자분광(XPS), 표면의 형상과 거칠기는 원자현미경(AFM), 습윤성은 접촉각으로 평가하였으며, 상호관계와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산소투과성이 높은 RGP 렌즈들은 불소를 줄이고, 실리콘의 양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 RGP 렌즈들의 재료는 실리콘과 불소의 증가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탄소와 산소가 감소하였으며, 탄소의 감소가 산소보다 3배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표면처리가 된 재료는 탄소와 산소가 조성 변화 추세선에서 떨어져 있었다. 실리콘이 증가하면 미세입자의 응집이, 불소의 양이 증가하면 깊은 홈이 나는 형태로 표면이 거칠어졌으며, 거칠기에 대한 영향은 실리콘이 더 컸다. 실리콘과 불소가 증가하면 습윤성이 감소했는데, 실리콘에 의한 영향이 2배 크게 나타났다. RGP 렌즈 재료는 표면이 거칠어지면 습윤성이 감소하는 소수성의 형태를 나타냈다. 결론: RGP 렌즈들의 성분과 표면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RGP 렌즈 재료의 성분 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표면개질을 위한 RF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공정의 최적화 (The Optimization of R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Process for Improving the Surface Free Energy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 남기천;명성운;최호석
    • 접착 및 계면
    • /
    • 제6권3호
    • /
    • pp.1-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플라스마 공정으로 표면 처리 시 PMMA 시편의 표면 자유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radio frequency (RF) 플라즈마 전압(W), 처리시간(s), 방전 글로우와 시료와의 간격(mm) 그리고 아르곤 가스의 유량(LPM)에 대해 실험 계획법(Design of Experiment, DOE)을 적용한 최적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PMMA의 표면 자유 에너지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플라즈마 방전 글로우와 시료와의 간격(mm), 처리시간(t), 플라즈마 전압(W)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표면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플라즈마 전압과 처리시간에 대한 복합매개변수 형태의 power dose (J)에 따른 의존성을 확인했을 때 1500 J에서 최대의 표면 에너지 증가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XPS, AFM 분석을 통해 플라즈마 처리 후 PMMA 표면에 새로운 관능기의 도입과 표면 거칠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PMMA plate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변화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관능기의 도입과 표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iometric analysis hand parameters in young adults for prosthetic hand and ergonomic product applications

  • Gkionoul Nteli Chatzioglou;Yelda Pinar;Figen Govsa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7권2호
    • /
    • pp.172-182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uperficial anatomy, kinesiology, and functions of the hand to reveal its morphometry and apply the findings in various fields such as prosthetic hand and protective hand support product design. We examined 51 young adults (32 females, 19 males) aged between 18-30. Hand photographs were taken, an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ImageJ softwar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arameter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showed the average lengths of finger segments: thumb (49.5±5.5 mm), index finger (63.9±4.1 mm), middle finger (70.7±5.2 mm), ring finger (65.5±4.8 mm), and little finger (53.3±4.3 mm). Both females and males, the left index finger was measured longer than the right index finger. The right ring finger was found to be longer than the left in both sexes. Additionally, length differences between fingers in extended and maximally adducted positions were determined: thumb-index finger (56.1±6.2 mm), index-middle finger (10.7±4.1 mm), middle-ring finger (10.8±1.4 mm), and ring-little finger (25.6±2.7 mm). Other findings included the average radial natural angle (56.4°±10.5°), ulnar natural angle (23.4°±7.1°), radial deviation angle (65.2°±8.2°), ulnar deviation angle (51.2°±9.6°), and grasping/gripping angle (49.1°±5.8°). The average angles between fingers in maximum abduction positions were also measured: thumb-index finger (53.4°±6.5°), index-middle finger (17.2°±2.6°), middle-ring finger (14.3°±2.3°), and ring-little finger (32.1°±7.0°). The study examined the variability in the positioning of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s during maximum metacarpophalangeal and proximal interphalangeal flexion, coinciding with maximum distal interphalangeal extension movements. The focal points of our observations were the asymmetrical and symmetrical arches formed by these joint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hand parameters in young adults, which can be utiliz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rosthetic design, ergonomic product development, and hand-related research. The result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considering individual factors when assessing hand morphology and function.

디지털 컬러용 pink-red 고온발색 무기안료의 합성 및 특성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ally stable pink-red inorganic pigment for digital color)

  • 이원준;황해진;김진호;조우석;한규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69-175
    • /
    • 2014
  • 최근 각광받고 있는 디지털 프린팅을 이용한 디자인 기법은 세밀한 표현과 다양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고, 원료의 낭비가 적어 효율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프린팅 공정에서는 cyan, magenta, yellow, black이 기본적인 디지털 4원색으로 사용되며, 도자제품에 적용되는 세라믹 안료의 경우 $1000^{\circ}C$ 이상의 고온 소성이 가능하도록 우수한 열적, 유약 안정성과 발색 특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상합성법을 이용하여 $CaO-SnO_2-Cr_2O_3-SiO_2$ 조성의 pink-red 고온발색 무기안료를 합성하였다. $Ca(Sn,Cr)SiO_5$ 세라믹 안료의 합성 조건에 따른 물성을 XRD, SEM, PSA, FT-I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Cr 치환량 변화가 $Ca(Sn,Cr)SiO_5$ 무기 안료의 발색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Uv-vis.와 CIE 표색계 값($L^*a^*b^*$)을 기준으로 한 색도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나노 입자 적층 시스템(NPDS)을 이용한 염료 감응 태양전지 - 전기 변색 통합 소자 및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Energy Harvesting Hybrid system consisted of Electrochromic Device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Nano Particle Deposition System)

  • 김광민;김형섭;최다현;이민지;박윤찬;추원식;천두만;이선영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5-7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나노 입자 적층 시스템(Nano Particle Deposition System, NPDS)을 이용하여 전기변색소자의 작동 전극을 적층하고 또한 염료 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층으로 사용되는 $TiO_2$층 및 전기변색소자의 이온 저장 층으로 사용되는 Antimony Tin Oxide(ATO) 층을 제작하였다. NPDS는 상온 건식 분말 적층법으로 노즐을 통하여 초음속으로 가속된 분말의 높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판에 적층하는 새로운 개념의 건식 적층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코팅된 물질의 두께는 전기변색소자의 투과율에 영향을 끼치는데, 이는 표면 프로파일 측정법(surface profiling method)으로 측정하였으며, 적층된 $TiO_2$와 ATO 및 복합 층의 미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SEM을 이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편 염료 감응 태양전지의 광 변환 효율은 솔라 시뮬레이터로 분석하였다. 또한 UV-visible spectrometer와 power source를 이용하여 630 nm 대역에서 전기 변색 소자가 갖는 투과도 변화와 낮은 전압에서의 작동 및 변색 횟수를 측정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과정을 거쳐 제작되고, 측정된 염료 감응 태양전지 - 전기 변색 통합 구조 소자를 자체 제작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과 연결하여 통합 구조 소자 내 태양전지의 전압 발생을 통해 자체 구동이 가능한 전기 변색 소자 시스템 제작에 성공하였다. NPDS를 통해 제작된 변색 소자의 경우, 최대 49%의 투과도 변화와 500회 작동에서 C-V curve를 유지함을 측정하여 성능과 내구성을 입증하였고, 통합 소자 내 태양 전지의 광 변환 효율은 최대 2.55%로 측정되었으며, 통합 소자 내 변색 소자의 경우 최대 26%의 투과도 변화를 보였다.

영상자료를 이용한 만경강 하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nel Planform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 in the Mangyoung River)

  • 홍일;강준구;여홍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2호
    • /
    • pp.127-136
    • /
    • 2012
  • 하천은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공간으로 하천복원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현재 하도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하도 평가가 필요하다. 하도 평가는 대상하천의 지형 및 수리 수문 등 다양한 정보가 요구되지만 국내여건상 과거자료 미비로 인해 시 공간적으로 변화된 하천의 지형학적 정보를 파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만경강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하도지형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상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구하도 형성, 하도 종 횡단 변화, 하도 내 미지형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만경강의 경우1920, 30년대 직강화 공사로 하도길이가 약15 km가 줄었으며, 하도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6개소의 구하도 구간이 형성되었다. 이후 만경강은 하도경사 조정과 물이용을 위해 지속적인 보의 설치가 증가되었다. 보의 설치는 저수로 폭, 최심선 길이, 식생사주, 모래사주, 전체 사주 및 수역면적 등 변화의 주요원인이 되었다. 만경강 하도는 현재 하류구간에서 안정하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중류와 상류 구간 하도는 안정하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beta}$-Glucanase를 이용한 국내산 찰보리 전분 추출공정의 최적화 및 추출 전분의 주요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beta}$-Glucanase-assisted Extraction of Starch from Domestic Waxy Barley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정용선;배재석;김정원;이의석;이기택;이미자;홍순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89-798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optimization on ${\beta}$-glucanase-assisted extraction was made in order to isolate waxy barley starch from domestic cultivar using the D-optimal design suitable for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enzyme was found to be a major influencing factor on the extraction yield, which was substantially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enzyme. It was also influenced by the reaction time and amount of water addition; however, the two factors were less influential than the amount of enzyme. The optimized condition by RSM for the reaction time was found to be 2.63 hours and amount of enzyme 1.7%, and amount of water addition 4.38 times the weight of raw material. With the enzyme treatment, the starch content in residues (R), particularly in R1 and R5, was reduced considerably,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extraction yield and therefore primarily and effectively releasing B-type starch small granule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y. In addition, the study determin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d waxy starch (i.e., purity, water adsorption capacity, thermal properties, rheology and starch morpholog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from the enzyme-not treated sample. It was found that they we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purity of starch, which was lower in the enzyme-treated sample than in the enzyme-not treated one.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을 통한 bulk AlN 단결정의 표면 가공 (Optimization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for bulk AlN single crystal surface)

  • 이정훈;박철우;박재화;강효상;강석현;이희애;이주형;인준형;강승민;심광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56
    • /
    • 2018
  • PVT법으로 성장된 AlN 단결정의 표면 평탄화 최적화 하기 위하여 기계적 연마 후 $SiO_2$ slurry를 이용한 CMP 공정을 진행하였고 이에 따른 표면 형상, slurry 변화에 따른 가공 특성을 분석하였다. Slurry의 pH가 표면 연마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iO_2$ slurry의 pH를 조절하였으며, 제타전위측정기를 통해 각각의 pH에 따른 zeta potential의 영향과 MRR(material removal rate)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을 이용한 표면 거칠기 RMS(0.2 nm)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