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siccation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5초

Overexpression of the Small Heat Shock Protein, PtsHSP19.3 from Marine Red Algae, Pyropia tenera (Bangiales, Rhodophyta) Enhances Abiotic Stress Tolerance in Chlamydomonas

  • Jin, Yujin;Yang, Sungwhan;Im, Sungoh;Jeong, Won-Joong;Park, EunJeong;Choi, Dong-Woo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287-295
    • /
    • 2017
  • Water temperatur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impacts the growth and life cycle of Pyropia tenera, one of the most valuable and cultivated marine red algae belonging to Bangiales (Rhodophytes). We analyzed transcriptome from gametophyte of P. tenera under normal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and identified four small heat shock proteins (sHSPs). They have no significant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known proteins in public databases except PhsHSP22 from Pyropia haitanensis. PtsHSP19.3 gene responded to high temperature but slightly or not to desiccation, freezing or high salt condition. When the PtsHSP19.3 gene was overexpressed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transformed Chlamydomonas lines revealed much higher growth rate than that of control cells under heat stress condition. Transformed cells also grew well in those of the control cell onto the medium containing high salt or $H_2O_2$. When the PtsHSP19.3 was fused to GFP and introduced into tobacco protoplast, fluorescence was detected at several spots. Results indicate that PtsHSP19.3 may form super-molecular assembles and be involved in tolerance to heat stress.

소청도의 지질과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 (Geology and Stromatolite Fossil Localities of Socheong Island, Korea: An Introductory Review)

  • 김정률;한성희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7-107
    • /
    • 2010
  • 기존 연구 결과와 최근의 야외 지질 조사를 통하여 소청도의 지질 개요와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의 보존 상태를 간단히 소개한다. 분암 지역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새로운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선착장 부근에서 평행 엽층과 습곡 구조가 발달한 지층의 노두를 발견하였는 바, 이는 소청도의 관문에 위치한 소청도의 중요 지질학적 상징 중의 하나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는 다양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상원계의 묵천통과 멸악산통에 대비되는 후기 원생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뿐만 아니라 물결 자국, 건열, 빗방울 자국 등의 다양한 퇴적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천연기념물로서 정밀한 학술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적인 보존 관리 되어야 한다.

  • PDF

캡이 설치된 퇴적층의 압밀 침하 (II): 간극수의 이동 및 침하의 해석적 예측 (Consolidation Settlement of Capped Sediment (II): Advective Transport of Pore Water and Analytical Prediction of Settlement)

  • Kim, Tae-Hyung;Hong, Won-Pyo;Moo-Young, Horace-K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9-44
    • /
    • 2003
  • 캡이 설치된 오염된 해성 퇴적층의 압밀침하를 연구하기 위해 원심모형 실험이 실시 되었다. 간극수의 이동을 관측하기 위해 형광색 염료가 사용되었다. 염료이동을 추적한 결과 압밀에 의한 오염원의 이류이동이 확실히 나타났다. 그러므로 압밀에 의한 오염원의 이류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캡핑을 적절하게 설계해야만 한다. 그리고, 원심모형실험 결과와 캡이 설치된 해성 퇴적층의 압밀침하를 예측할 수 있는 PSDDF 프로그램으로 예측된 값이 비교되었다. 원심모형실험결과와 PSDDF 예측치 비교에서 원형시간이 18년 이후에는 원심모형실험 결과와 PSDDF 예측치가 대체로 잘 일치하지만, 원형시간 6년에서 두 결과 사이에 최대 20% 가까운 격차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설계자는 PSDDF 프로그램에 의해 얻은 압밀침하 결과를 사용 시 주의가 요구된다.

Effect of Seed Collection Stage and Temperature on Germination of Deutzia paniculata Nakai, the Korea Native Species

  • Jeong, Mi Jin;Choi, Go Eun;Ghimire, Balkrishna;Lee, Ha Yan;Jung, Ji Young;Choi, Myung Suk;Ku, Ja Jung;Lee, Kyung Mee;Lee, Cheul Ho;Suh, Gang Uk;Son, Sung W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3호
    • /
    • pp.372-382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ed collection stage and alternating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of Deutzia paniculata (Hydrangeaceae). The seeds were collected from naturally growing D. paniculata populations in Mt. Palgong, Gyeonsangbuk-do, Korea every two weeks over a three month period from August through October, 2014, totaling five collections. We examined seed characteristics such as seed size (length and width) and weight, and germination percentages for each collection stage under four different germination temperature regimes. We also examined germination after 30 and 60 days of cold moist stratification. Each collection phase had a different germination percentage and the lowest germination percentage was observed in the seeds from phase I (average GP of 15.7%). The germination percentage was similar at the later collection phases and in the higher temperatures suggesting that later collection times and higher temperatures are optimal for D. paniculata germination. We found that the optimum collection stage with high viability and germination percentage of for D. paniculata was during the middle of the September.

Anaerobic Direct Seeder Engineering Component of the Rice Anaerobic Seeding Technology

  • Borlagdan, Paterno C.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1009-1020
    • /
    • 1996
  • Direct-seeded rice can have comparable yield with transplanted rice if its inherent problems can be solved. It is a labor-saving technology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production cost because seedling nursery , pulling , and transplanting are omitted. Turnaround time between cropping is reduced hence the possibility of a third annual crop. But direct-seeded rice is very vulnerable to pest attack (by birds, rats, and golden snails), desiccation, weed infestation, and prone to lodging resulting to unstable crop establishment and inconsistent yield.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anaerobic seeding (sowing pre-germinated seeds under the soil). It requires precise seed placement into the soil to optimize its benefits. We developed a four-row anaerobic direct seeder (US $ 200 commercial price) for this purpose . It consist of a structural framework mounted with a drum -hopper metering device, flotation type drivewheels, spring-loaded and adjustable furrow closers, and furrow open rs, and a plastic rainguard. It can sow in line pre-germinated seeds into the soil thus permitting the use of mechanical weeders for a chemical-free weed control. Its performance was comparable with the Japanese two-row anaerobic seeder (costing US$400) in terms of seed placement and crop establishment. It was tested with five cultivars. Seeding rate varied from 38 kg/ha to 80kg/ha. Crop establishment ranged from 64 to 99 percent while grain yield varied from 3.0 t/ha to 5.4t/ha. A six-row anaerobic seeder was also developed and adapted to a powertiller for increased capacity , field efficiency , and easier operation. The anaerobic seeder is useful to farmers shifting to direct seeding to reduce rice production cost and to researchers conducting agronomic studies in direct-seeded rice. Blueprint of the machine is available free of charge from IRRI.

  • PDF

맥류작 참깨의 수확기 결정과 건조제 처리의 효과 (Determination of Harvesting Time and Effect of Diquat Treatment in Sesame Cropped After Winter Barley)

  • 이호진;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4-67
    • /
    • 1980
  • 참깨품종 '수원9호'의 만식재배시 적정수확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성숙후기로부터 주기적으로 sampling하여 수량발연항목들을 조사하고 삭수분함량, 개삭율 및 조직노화상태를 기록하였다. 아울러 작물건조제 Diquat을 살포하여 그의 효과와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개체당 종실수량과 종실수는 9월 18일 수확에 이미 최대에 달하있고, 이들은 그후 점차 감소하였으나 천입중은 9월 29일 수확기까지 증가하는 추세이였다. 2.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삭수분함량 감소하고 반면 개삭율은 증가하였다. 삭의 열개는 수분함량이 70% 이하로 떨어졌을 때 발생하였고 탈입에 따른 수량저하 급격히 증대되는 시기는 수분함량이 65% 이하이고 개삭률이 50 %이상인 때부터이었다. 3. 적정수확기는 종실수가 최대로 확보되고 삭수분함량이 70%이하로 떨어질 때부터이며 엽의 황화는 _상위절까지 지전되고 50%삭이 황화되였을 때에 해당하였다. 4. 엽의 탈락이후의 천입중의 증가는 삭의 storage pool로서의 기능으로 보여지며 삭조직중의 약 5%가량이 종실중 증가에 기여하였다. 5. Diquat을 식물체에 살포하였을 때 5 일후에 삭수분함량은 40 % 이하로 떨어지고 7일후에는 90% 이상 개삭이 일어났다. 이는 포장상태 참깨보다 2주이상 건조를 촉진시켰으며 균일화의 효과가 있었다.

  • PDF

Effects of Low-level Light Therapy at 740 nm on Dry Eye Disease In Vivo

  • Goo, Hyeyoon;Kim, Hoon;Ahn, Jin-Chul;Cho, Kyong Jin
    • Medical Lasers
    • /
    • 제8권2호
    • /
    • pp.50-58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Low-level light therapy (LLLT) is an application of low-power light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omoting tissue repair, reducing inflammation, causing analgesia, etc.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e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with the wavelength of 740 nm for promoting wound healing of corneal epithelial cells. This curr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LLLT for managing inflammation of a dry eye disease (DED) mous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0C57BL/6 female mice were randomly grouped into 5 groups to compare the effect of LLLT:1) Control group, 2) Only LLLT group, 3) Dry eye group, 4) LLLT in dry eye group, and 5) Early treatment group. DED was induced with 4 daily injections of scopolamine hydrobromide and desiccation stress for 17 days, and LLLT at 740 nm was conducted once every 3 days. To analyze the effect of LLLT on the DED mouse model, tear volume, corneal surface irregularities, and fluorescence in stained cores were measured, and the level of inflammation was assessed with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The DED mouse model showed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the overall eye condition. After LLLT, the amount of tear volume was increased, and corneal surface irregularities were restored. Also, the number of neutrophils and the level of inflammatory cytokines significantly decreased as well.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LLLT at 740 nm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corneal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inflammation in DED. Such findings may suggest therapeutic effects of LLLT at 740 nm on DED.

경남 고성군 덕명리 일원의 지질 교육적 가치 (Geo-educational Value of Deokmyeong-ri area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 박경진;이재우;공달용;김용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11-628
    • /
    • 2023
  • 이 연구는 경남 고성군 덕명리 일원에 대한 지질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일대에 대한 야외조사를 통해 퇴적구조(점이층리, 사층리, 연흔, 건열), 해안 퇴적환경(해식애, 파식대지, 자갈 해빈), 상대연령 측정(부정합, 단층, 관입, 포획암) 및 주상절리와 관련된 야외 지질 학습이 가능한 다수의 관찰 지점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과서의 학습 요소와의 부합 정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관찰 지점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지질학적 특성이 잘 나타나는 전형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일한 관찰 지점에서 심화학습이 가능한 학습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지질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덕명리 일원은 뛰어난 지질 교육적 가치 이외에도 관광 및 교육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만큼 안전한 지질 교육을 위한 학습의 장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잠난각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Egg Shell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마영일;박광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5-72
    • /
    • 1983
  • 가잠의 휴면성을 난각의 조직학적 특성을 보고자 난각층에 대한 전자현미경상을 관찰하였고 또한 난각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수분투과성, 염산투과성, 염색성 및 난각 구조단백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각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뚜렷이 4층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구조적인 차이가 보인다. 즉 외층 밖에 또 다른 전자밀도가 낮은 얇은 층이 휴면난에는 존재하고 있으나 비휴면 및 즉침난에는 이 층을 볼 수 없다. 2. 산난후 20∼24시간째의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난각염산투과성의 차이를 보면 휴면난에 비해 즉침난 및 비휴면난이 모두 투과성이 높았고 또한 난령이 지남에 따라 휴면난은 투과성이 떨어지는데 반하여 즉침난 및 비휴면난은 투과성이 높아졌다. 3. 휴면난의 ether 처리난은 무처리난에 비해 난각의 투과성이 변하는 것으로 보아 난각물질 중 ether 용출물이 존재한다. 4. 난각의 수분투과성도 염산투과성에 있어서와 같이 휴면난이 즉침난 및 비휴면난에 비해 수분투과성이 낮았다. 5. 가잠난각의 조직화학적 특성은 단백질과 당에 대한 염색성이 높아 난각에는 단백질과 당이 풍부하며 특히 지질에 대한 염색성은 거의 음성이나 내층으로 갈수록 진하게 염색되었다. 6. 누에의 난각점착물은 PAS-alcian 반응으로 보아 mucopolysaccharides이다. 7. 난각 구조단백질 중 SH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상에 있어서 휴면난과 비휴면난 모두 2개의 band가 인정되나 비휴면난의 경우 이동거리가 빠른 band는 매우 흔적적이며 또한 영동거리도 원점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두 처리간에 minor component에 차이가 보였다. 8. SH단백질에 대한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휴면난 및 비휴면난 사이에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고 난각단백질중 SH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에는 glycine이 가장 많고 cystine함량은 적었다. SI K-2 는 Penicillin, Ampicillin과 Cephalothin에 저항성을 나타냈고 ts-U171, A-N92와 A-N115는 이 세항생제에 민감성을 나타냈다. Temperature - sensitive돌연변이균주를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후에 28$^{\circ}C$로 옮기어 배양한 결과 ts-U601, -U603, -U604와 -U171은 성장을 더 이상하지 않았다.ta-exotoxin을 생산했는데, 48시간 배양 배지 $m\ell$당 70$\mu\textrm{g}$을 분비한 균주는 BTK-1이고, BTK-37 균주는 $m\ell$당 88$\mu\textrm{g}$(6.1$\times$$10^{8}$ Cells/$m\ell$) BTK-35 균주는 $m\ell$당 81$\mu\textrm{g}$(5.2$\times$$10^{8}$ Cells/$m\ell$)을 생산했고. 그외는 모두 70$\mu\textrm{g}$미만이었다. 3. Beta-exotoxin과 B. thuringiensis 균체을 동시에 per os, interaperitoneal injection, subcuntaneous injection, nasal cavity inoculation, intracerebral injection을 120시간 처리했어도 치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삼각호마법 and Japan#s 병음한자변환방식 have prospect to be preval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rom these results, 1) All the

  • PDF

준설점토지반의 전단강도 예측 및 장비투입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Shear Strength and Determination of the Embarkation Time of Equipment in Dredged Clay Fills)

  • 김홍택;김석열;강인규;김승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47-5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준설점토 매립지반에 대한 장비투입 가능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표층의 비배수전단강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해석적 접근이 이루어 졌으며, 이를 위해 Gibson 등이 제시한 무차원 선형상수(간극비-유효응력 관계)가 도입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준설점토 매립지반의 자중압밀 및 건조수축 등에 의한 체적변화에 관련된 경과시간별 간극비 및 침하량의 평가를 위해, 필자 등이 제시한 해석기법 및 이를 토대로 개발된 프로그램(DSCON)이 이용되었다. 또한 전남 고흥지구 준설점토 현장시료를 대상으로 실시한 모형토조 실험결과와, 본 연구 제시 해석절차에 의거한 예측치(함수비, 단위중량 및 비배수전단강도 등)를 서로 비교하는 등 분석이 이루어 졌다. 이외에도, 예측된 비배수전단강도를 토대로 본 고흥지구 현장의 장비투입 가능시기를 평가하여 보았으며, 본 평가에 대한 간접적인 타당성 검증을 위해, 배수효율을 고려하는 PSDDF 프로그램 해석을 추가로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