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criptive Elements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연령집단별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Urban Community-dwelling Elderly across Age Group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 추현식;이한이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7-216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urban community-dwelling elderly by age group.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the secondary data of 2017 Seoul Survey in a cross-sectional design. Of 42,688 participants in total, the data of 7,927 adults aged 65 or older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and it was found that the old elderly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oldest elderly group (t=8.37, p<.011). In common,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the two age groups were companion animals (old elderly: β=.03, p=.002; oldest elderly: β=.06, p=.021), social network (old elderly: β=.10, p<.001; oldest elderly: β=.08, p=.008), and social support (old elderly: β=.05, p<.001; oldest elderly: β=.08, p=.005).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and nursing care services focusing on social capital and age group-specific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is study might provide the possibility and evidence for a program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for the urba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cluding social capital elements.

Influence of vehicle for calcium hydroxide on postoperative pain: a scoping review

  • Aneja, Kritika;Gupta, Alpa;Abraham, Dax;Aggarwal, Vivek;Sethi, Simar;Chauhan, Parul;Singh, Arundeep;Kurian, Ansy Hanna;Jala, Suchet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75-86
    • /
    • 2022
  • This review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vehicle and its concentration used to carry calcium hydroxide (Ca(OH)2) medicament on postoperative pain. The protocol for this review was registered in the open science framework (Registration DOI-10.17605/OSF.IO/4Y8A9) and followed the guidelines provided by the Joanna Briggs Institute. Reporting was based on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 Literature screening and searches were performed on PubMed/Medline, Scopus, and EBSCO hosts. Furthermore, additional records were manually analyzed using various sources. The selected studies were published in English and included the use of any vehicle adjunct to Ca(OH)2 to evaluate postoperative pain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ain assessment tools.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tudy design, vehicle elements, and their effects. A preliminary search yielded 7584 studies, of which 10 were included.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the most commonly used Ca(OH)2 vehicles were chlorhexidine (CHX), normal saline, and camphorated paramonochlorophenol/glycerine (CPMC/glycerine),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operative pain. Among the included studies, six evaluated the effect of CHX as a vehicle. It was observed that a higher concentration of the vehicle (2%) showed a favorable response in reducing postoperative pain. A majority of studies have validated a positive consequence of using a vehicle on postoperative pain. Although higher vehicle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alter postoperative pain levels, the data were insufficient to draw a firm conclusion. Our scoping review indicates that further clinical studies should focus on using different vehicles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application times to check for feasible and safe exposure in addition to providing pain relief.

농어업유산의 경관 잠재력 파악을 위한 IPA 연구 - 청산도를 중심으로 - (IPA Study of Landscape Potentiality of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s - A Focus on Cheongsando -)

  • 김동찬;최우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76-8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업유산과 경관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농어업유산의 경관특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농어업유산 제1호로 지정받았으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에 등재된 청산도의 경관특성요소를 유형화한 후, 이에 대하여 방문객들이 중요시 여기는 인자와 만족하는 인자 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한국농어업유산으로 지정된 청산도의 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농어업유산과 경관의 관계 규명 및 농어업유산의 경관특성요소 도출을 위한 문헌고찰, 청산도의 경관특성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현장답사, 청산도의 경관특성요소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0.0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사분면에 분포하여 지속적 노력을 요하는 인자는 유채꽃밭, 바다, 청보리밭, 구들장논, 방파제와 등대, 전복양식장, 돌집, 초가집, 해안도로, 슬로길, 성서마을 돌담길, 주민농업행위로 분석되었다. 2사분면에 분포하여 집중적 관리전략이 필요한 인자로는 주변산지, 선착장, 도청항, 선박들, 수산물시장, 독살이돌담, 원색지붕농가, 느린섬여행학교, 펜션과 카페, 버스정류장, 정자목, 횟집거리, 해수욕장, 촬영지로 분석되었다. 3사분면에 분포하여 관리 조절이 필요한 인자는 소나무숲, 해변, 갯벌, 마늘밭, 비닐하우스, 곡식건조장, 미역 건조장, 문화유산전시장, 초분, 당리굿, 장터, 주민어업행위, 주민산업행위, 주민일상행위, 선착장 방문 행위, 슬로길 산책 행위, 특산물 섭취 쇼핑 행위, 농어업 체험 행위로 분석되었다. 4사분면에 분포하여 과잉 노력으로 분석된 요인은 도출되지 않았다.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General Hospice Palliative Nurse)

  • 김분한;최상옥;정복례;유양숙;김현숙;강경아;유수정;정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1호
    • /
    • pp.13-23
    • /
    • 2010
  • 목적: 말기 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정의와 직무내용을 파악하고, 직무기술서를 작성하여,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역할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해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직무분석의 빈도, 중요도, 난이도 조사를 위한 대상은 ELNEC project Korea에 참석한 간호사 136명의 설문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직무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8개의 임무와 36개의 일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36개의 일 내용에 해당되는 일의 요소는 137개 문항으로서 각 일의 요소에 대한 중요도, 빈도, 난이도는 각각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반적 특성과 직무내용에 대한 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는 '간호사 면허 소지자로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영역에서 신체적(신체사정, 통증 및 증상관리 포함), 심리사회적, 영적 간호 돌봄에 대한 임상경험과 실무능력을 갖춘 간호사'로 정의하며,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 직무 기술서 임무 8개, 일 36개, 일의 요소 137개로 구성되었다.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임무에 대한 빈도, 중요도, 난이도 평균은 각각 2.94, 3.66, 2.80점이었고, 가장 빈도가 높은 임무는 자료수집(평균 3.23), 빈도가 가장 낮은 임무는 환경 및 자원관리(평균 2.74)이었다. 각 임무에 대한 중요도는 모두 평균 3.50점 이상(평균범위 3.53~3.72)으로 모두 중요한 임무라고 응답하였다. 난이도는 의뢰/조정/협동(평균 2.63)과 환경 및 자원관리(평균 2.65)를 제외한 모든 임무 영역에서 비슷한 난이도(2.73~2.77)를 보였다.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 직무의 일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역할은 통증 사정(평균 3.64)이었고 빈도가 가장 낮은 역할은 재정관리하기 (평균 2.36)이었다. 중요도 수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일은 통증 사정(평균 3.92)이었고 가장 점수가 낮은 일은 진단 검사를 통한 자료수집하기(평균 3.43)이었다. 난이도 항목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일은 말기환자와 가족의 영적 상태 사정하기(평균 3.11)였고 난이도가 가장 낮은 일은 문서/정보관리하기(평균 2.31)이었다. 결론: 이상의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역할은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에 비해 직접간호 실무 영역에서 더욱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보다 체계적인 통증 및 신체증상 관리에 대한 계속교육이 요구되며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심리사회적, 영적 요구사정 및 중재, 의사소통 및 상담, 사별관리 영역의 실무지침 및 심화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 대상자(환자와 가족)의 요구에 맞는 변화되고 진보된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들도 호스피스 관련 자격인증을 받을 수 있는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와 호스피스 완화간호사회 및 대한간호협회 차원의 노력이 조속히 진행되어야겠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중요도-실행도분석(IPA)의 적용 (A Study on Social Work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이남정;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624-635
    • /
    • 2020
  • 본 연구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권리보장 취약성이 높은 발달장애인에 대해 다른 권리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권리침해 가능성이 높은 자기결정권에 초점을 맞추어 이의 학문적 논의토대와 실제적 실천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 및 실천의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및 강원지역 사회복지사 302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을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중요도 및 실행도의 기술적 분석, 차이분석, 매트릭스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요도와 실행도는 긍정적 수준보다 낮은 절대적 수준으로 평가되고, 전체 평균기준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보다 늦게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간의 수준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요도와 실행도 간 불균형적 사항인 과소 실천요소로서 목표설정 및 성취, 자기관리 및 조절, 가지인식 및 지각 등이 확인되었다. 이에 인권보장의 상호성을 감안한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균형적 긍정성 향상을 위해 사람중심프로그램과 자기결정향상프로그램의 적용이라는 큰 기반 위에 응용행동분석, 긍정적 행동지원, 목표성취척도의 적용 하 개별화서비스계확 등 세부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태도에 대한 과학경험, 교육지원, 학습몰입의 예측력 규명 (The predictability of science experience, school support and learning flow on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in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 강명희;장지은;윤성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1-55
    • /
    • 2017
  •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를 통합하여 의미 있고 창의적인 산출물을 개발함으로써, 과학적 탐구 태도를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육의 형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주요 학습성과 변인으로 거론되는 과학적 탐구 태도를 교육성과 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과학경험, 교육지원, 학습몰입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변인의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인 영재교육프로그램 참가자 64명을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과학경험과 학습몰입은 교육성과인 과학적 탐구 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은 과학경험과 과학적 탐구 태도, 교육지원과 과학적 탐구 태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태도 향상을 위해 과학경험 기회의 제공, 긍정적 교육지원의 필요, 학습몰입 촉진을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농촌노인의 건강문제와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Health probl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 박정숙;오윤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4-28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that may help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by identifying health problem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6 elders recruited from 24 villages located in Mari Myun, Geochang Gun, Korea. The sample was selected using a quota sampling method.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included 117 items for health problems and 4 items for perceived health statu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s: 1) The most prevalent health problem was ailments in 'musculoskeletal system', followed by 'fatigue', 'eyes and ears', 'genitourinary system', 'mood & temper patterns', 'cardiovascular system', 'digestive system', 'nervous system', 'respiratory system' and 'skin'. 2) Womens health problems were more prevalent than men's health problems. 3) The mean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was 7.68. 4) Health problems of the rural elderl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education (F=9.532, p=0.000), gender (t=-4.246, p=0.000), marital status (t=-3.531, p=0.000), family type (F=5.742, p=0.00l), and occupation (t=3.356, p=0.001). 5)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education (F=6.408, p=0.002), gender (t=2.949, p=0.003), marital status (t=0.802, p=0.034), family type (F=4.844, p=0.003), and occupation (t=-2.485, p=0.011). 6) Health problems of the rural elderl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ife style pattern variables such as drinking (F=5.223, p=0.006), smoking (F=4.087, p=0.007), salty food intake (F=3.424, p=0.034), greenish yellow vegetables intake (F=6.343, p=0.002) and fat food intake (F=5.327, p=0.005). 7)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ife style pattern variables such as sleeping hours (F=3.966, p=0.020) and drinking (F=7.231. p=0.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es need to understand health problem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an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m in the future in the consideration of region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 PDF

비도서자료의 매체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um Designator In Non-book Materials)

  • 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119-140
    • /
    • 1988
  •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Medium Designator in Non-book materials.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dium designator serves to indicate the class of material to which an item belongs. This is used to give an 'early warning' ;to the catalogue user. 2. This medium designator may be further divided into two elements ; a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GMD), for example video-recording, and a specific material designation (SMD), for example, videodisc. 3. GMD: In cataloging, a term indicating the broad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such as 'motion picture', and SMD : In descriptive cataloging, a term indicating the special class of material (usually the class of physical object) to which a biblographic item belongs, such as videocassette. 4. Locating the medium designator after the title proper was not prescribed until ISBD(G) and AACR2. In pre-ISBD(G) codes, the ,early, warning type of medium designator was placed after all title information. But in AACR2, the medium designator is placed after the title proper, but before parellel title and other title information. 5. In Terminology, Two separate lists of designations are given in AACR2, l.1C1, one for British and one for North American use. The British list contains fewer terms, and uses generic categories to group together some of the North American list. 6. The problem of where to place the medium designator might be circumvented by using some kind of early alerting device other than a formal element of biblliographic description. Various alternatives have been suggested. A more popular device is the provision of symbols or 'media code' which are part of the call number and indicate the porticular medium type. 'Colour-coding' the use of used by some libraries but is now longly discouraged. 7. According to Frost. The medium designatorhas been generally reeognized as serving three functions; 1) as a statement of the nature or basic format of the item cataloged and thus as a meant of informing the user as to the type of material at hand; 2) as a description of the physical charaetistics of medium and as a means of alerting the user to equipment needed to make use of the item. 3) as a device to distinguish different physical formats which share the same title. 8. AACR2 raises some problems which decision makers have neet had to face preriously It provides a GMD for every item in the collection including books and it makes the application of any or all GMD's optional.

  • PDF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Analysi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Needs about Program outcomes)

  • 남성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15-324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 인식정도를 조사하여 간호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에 소재한 일 대학 4년제 간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30일부터 1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프로그램학습성과 항목 중 중요도는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통합적 간호술 적용,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와 적용 순이었으며, 현재수준은 치료적 의사소통적용,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간호전문직 표준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Borich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모델의 중복성 확인을 통한 최우선 순위 항목은 통합적 간호술 적용,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보건의료팀간 협력관계, 간호과정 적용,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와 적용이며, 차 순위는 치료적 의사소통, 간호전문직 표준 이해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햄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와 최우선순위 및 차순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방법론적 접근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key vocation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황영희;박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95-60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을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 항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 강원 및 중북권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1일부터 6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11명의 응답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의 현재수준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고, '의사소통'과 '조직이해능력'의 현재수준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 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수리능력'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직업기초능력 10개 항목 모두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선순위 분석결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원관리', '자기개발'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를 고려한 직업기초능력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