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th-Integrated Concentr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MicroTec을 이용한 Trench D-MOSFET의 항복전압 분석 (Analysis of Breakdown voltage for Trench D-MOSFET using MicroTec)

  • 정학기;한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60-146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MicroTec을 이용하여 Trench D-MOSFET의 항복전압을 분석하였다. 소자의 고집적을 위한 특성 분석 기술은 빠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고집적 소자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해하고 이에 맞게 제작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되었다. Trench MOSFET은 고전압에서 가장 선호하는 전원장치이다. Trench MOSFET에서 산화막 두께와 도핑농도는 항복전압의 크기를 결정하며 고전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채널의 도핑 농도를 $10^{15}cm^{-3}$에서 $10^{17}cm^{-3}$까지 변화시켜 도핑 농도에 따른 항복전압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게이트 산화막 두께와 접합깊이를 변화시켜 항복전압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턴상담자의 꿈 통찰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꿈통합예술치료를 기반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ream insight process of intern counselor -Based on Dream Integrated Art Therapy-)

  • 권혜진;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53-61
    • /
    • 2022
  • 본 연구는 인턴상담자의 꿈 통찰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인턴상담자가 무의식에 대한 통찰을 통해 자신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바탕으로 전문상담자로서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에 자신과 타인, 세계에 대한 기대를 명백하게 나타내는 무의식적 꿈을 인식하는 과정을 갖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을 보다 유연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꿈통합예술치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홍보를 통해 지원한 참여 희망자 중 석·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3명을 선발하였으며,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는 현상학적 Giorgi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턴상담자들은 꿈통합예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무의식적 통찰을 원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무의식 속에서 드러나는 문제들을 꿈, 음악, 미술 매체들을 통해 스스로 통찰할 수 있었다. 둘째, 인턴상담자들은 공통적으로 최근 꿈, 음악, 미술 매체들을 통하여 집중력이 깊어짐과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꿈통합예술치료의 병행없이 드러났던 방어기제로는 자신을 드러내고 싶지 않아하는 회피적 성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인턴상담자들은 앞으로의 성장방향에 대해 스스로를 위한 유연함이 생겼고 자신을 받아들이게 된 기회였으며 전문상담자가 되기 위한 미래방향에 대한 계획을 갖게 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매체들을 활용한 후속 연구와 꿈통합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및 다양한 사례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II.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in Relation to Chlorophyll Maximum Layer

  • Shim, Jae-Hyung;Park, Jong-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4호
    • /
    • pp.196-206
    • /
    • 1996
  • Vertical profiles of the chlorophyll ${\alpha}$, phytoplankton abundance, nutrients and sigma-t were compared with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species in conjunction with $^{14}$C primary production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n the upper mixed layer the water column was only weakly stratified and ambient nitrogenic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markedly depleted. Dissolved silicate seemed to be another limiting nutrient in the surface layer. The occupation of different water depths by several dominant diatom species was well explained by the degree of silicification of each cell and the silicate concentration of ambient seawater. Subsurface chlorophyll maxima were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lower parts of the euphotic layer and the depth coincided with nutricline, supporting our view that chlorophyll maximum was sustained partially by enhancement of in situ growth of phytoplankton and partially by increase of cellular chlorophyll content. The persistence of chlorophyll maximum layer was attributed to the physiological adaptation of the phytoplankters to low light intensities and to the utilization of regenerated nutrients. Integrated water column production of organic matter by photosynthesis appeared to be better related to phytoplankton cell division than to the cell growth in terms of biosynthesis of pigments and other intracellular components.

  • PDF

서울과 고산의 에어로졸 화학성분과 광학특성의 계절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at Seoul and Gosan)

  • 이시혜;김영성;김상우;윤순창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0-482
    • /
    • 2008
  • Seasonal vari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at Seoul and Gosa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ground-based aerosol measurements and an optical model calculation. The mass fraction of elemental carbon was $8{\sim}17%$, but its contribution on light absorption was high up to $29{\sim}48%$ in Seoul. In Gosan, the contribution of water soluble aerosols on aerosol extinction was $83{\sim}94%$ due to the high mass fraction of these particles in the range of $56{\sim}88%$. Model calculation showed that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aerosols was larger in Gosan than in Seoul because of higher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along with abundant water soluble aerosols.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calculated aerosol optical depths was the highest in summer. This was because aerosol optical depth calculated from ground-based measurements could not consider aerosol loadings at high altitude in spite of high column-integrated aerosol loadings observed by Sun photometer. Although hygroscopic growth was expected to be dominant in summer, the mass concentration of water soluble aerosols was too low to permit this growth.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Gampo Upwelling Area of the Southwestern East Sea

  • Yang, Han-Soeb;Oh, Seok-Jin;Lee, Haeng-Pil;Moon, Chang-Ho;Han, Myung-Soo;Kim, Bok-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4호
    • /
    • pp.157-167
    • /
    • 1998
  • The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and nitrogen (POC and PON) and chlorophyll a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was investigat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in August and October 1995. The upwelled 'cold water mass' with temperature less than 14$^{\circ}$C occurred near the Campo coast in August. At most of the onshore stations, concentrations of POC and PON were high in surface water, rapidly decreased with depth down to 30 m and then remained constant. Differences in their concentrations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ters were larger in August than in October. At the offshore stations, POC and PON were higher in surface than in deep waters though the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were small. The highest, vertically integrated inventories of POC, PON and phytoplanktonic carbon in the upper mixed waters of the onshore stations occurred in August. The mixed layers at onshore stations showed relatively high percentages of POC, PON and chlorophyll a in total suspended matter, low ratios of POC to chlorophyll a and high inventories of phytoplanktonic carbon, compared with the values at offshore stations. These phenomena were more obvious in August, when cold water mass developed strongly, than in Octob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imary produc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for the budget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upwelled cold water mass of the southwestern East Sea.

  • PDF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Phytoplankton Blooms in Complex Ecosystems Off the Korean Coast from Satellite Ocean Color Observations

  • Ahn, Yu-Hwan;Shanmugam, Palanisamy;Chang, Kyung-Il;Moon, Jeong-Eon;Ryu, Joo-Hyu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67-78
    • /
    • 2005
  • Complex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interactions off the Korean coast created several striking patterns in the phytoplankton blooms, which became conspicuous during the measurements of ocean color from space. This study concentrated on analyzing the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phytoplankton chlorophyll variability in these areas using an integrated dataset from a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 (SeaWiFS),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AVHRR) sensor, and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CTD) sensor. The results showed that chlorophyll concentrations were elevated in coastal and open ocean regions, with strong summer and fall blooms, which appeared to spread out in most of the enclosed bays and neighboring waters due to certain oceanographic processes. The chlorophyll concentration was observed to range between 3 and $54\;mg\;m^{-3}$ inside Jin-hae Bay and adjacent coastal bays and 0.5 and $8\;mg\;m^{-3}$ in the southeast sea offshore waters, this gradual decrease towards oceanic waters suggested physical transports of phytoplankton blooms from the shallow shelves to slope waters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along the Tsushima Strait. Horizontal distribution of potential temperature $(\theta)$ and salinity (S) of water off the southeastern coast exhibited cold and low saline surface water $(\theta and warm and high saline subsurface water $({\theta}>12^{\circ}C; S>34.4)$ at 75dBar, corroborating TWC intrusion along the Tsushima Strait. An eastward branch of this current was calle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EKWC), tracked with the help of CTD data and satellite-derived sea surface temperature, which often influenced the dynamics of mesoscale anticyclonic eddy fields off the Korean east coast during the summer season. The process of such mesoscale anticyclonic eddy features might have produced interior upwelling that could have shoaled and steepened the nutricline, enhancing phytoplankton population by advection or diffusion of nutrients in the vicinity of Ulleungdo in the East Sea.

남태평양의 영양염, 엽록소, 일차생산성 분포 (The Distributions of Nutrients, Chlorophyll-a,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 Pacific Ocean)

  • 김동엽;심정희;송환석;강영철;김동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1호
    • /
    • pp.40-48
    • /
    • 2001
  • 2000년 2월에 남태평양에서 수심 200m까지 수온, 염분, 용존산소, 영양염, 엽록소, 일차생산성의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연구해역(남위 $24^{\circ}{\sim}41^{\circ}$, 서경 $80^{\circ}{\sim}168^{\circ}$)은 물리적으로 크게 두 해역으로 나누어진다. 서경 $110^{\circ}$을 경계로 동쪽해역에서는 수심 200m이하의 중층수가 표층으로 활발히 용승하였고, 서쪽해역에서는 중층수의 용승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해수의 화학조성도 다르게 나타났다. 동쪽해역에서는 영양염 농도가 높은 중층수의 용승에 의해 표층 100m에서 질산염+아질산염과 인산염 농도가 서쪽해역에 비해 상당히 높게 관측되었지만, 중층수의 용승에도 불구하고 규산염 농도는 오히려 서쪽해역보다 낮았다. 영양염 중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소도 해역에 따라 달랐다. 동쪽해역에서는 규소에 의해 일차생산성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반면, 서쪽해역에서는 질소가 일차생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중층수의 용승에 의해 영양염 농도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은 두 해역이 서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수심 200m까지 합한 엽록소 총량은 오히려 동쪽해역에 비해 서쪽해역에서 2배 가량 높게 측정되었다.

  • PDF

GOCI 위성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한반도 연안 수질평가지수 추정 (Estimation of Water Quality Index for Coastal Areas in Korea Using GOCI Satellite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Approaches)

  • 장은나;임정호;하성현;이상균;박영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1-234
    • /
    • 2016
  • 우리나라는 대규모 산업단지와 대도시들이 연안에 집중되면서 연안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연안 오염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위성 영상을 이용한 연안 수질평가지수 모니터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수질평가지수란 저층 산소포화도, 엽록소 농도, 투명도, 용존무기질소 및 용존무기인 농도를 수질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여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른 해양환경기준을 통해 해역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산출하는 지수이다. 이 연구는 한반도 주변의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현장관측 자료 및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연안 표층 해수에 대한 기계학습 기반의 두 가지 수질평가지수 추정 기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GOCI 반사도를 이용하여 추정된 수질평가 항목들로 수질평가지수를 계산하였고, 두 번째 방법은 GOCI 반사도 및 산출물(엽록소 농도, 총 부유물질, 용존유기물)을 이용하여 수질평가지수를 추정하였다. 기계학습으로는 Random Forest(RF),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Cubist를 사용하였다. 수질평가 항목 추정에서 투명도의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수질평가 항목 추정에서 세 가지 기계학습 중 RF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추정된 수질평가 항목들로 계산한 수질평가지수는 추정된 수질평가 항목들의 오차와 저층 산소포화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도가 높지는 않았다. 반면 GOCI 반사도와 산출물을 이용하여 추정한 수질평가지수는 현장 관측 기반 수질평가지수와 비교했을 때 첫 번째 방법보다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엽록소 농도가 수질평가지수 추정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ADCP 표층유속 자료처리방법 개선을 통한 영산강 하구 표층 방류수 이류속도 산정 (Estimation of the Freshwater Advection Speed by Improvement of ADCP Post-Processing Method Near the Surface at the Yeongsan Estuary)

  • 신현정;강기룡;이관홍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180-190
    • /
    • 2014
  • 연안에서 관측된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ADCP) 유속자료의 10-20%는 음향반사 측면효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ADCP의 사용되지 않았던 자료를 복구하여 영산강 하구에서 저조시 방류되는 담수의 경계면 이류속도를 구하고 이를 통해 담수 유량과 수층의 역학적 안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여 하구 내 혼합 환경을 잘 이해하고자 한다. 현장관측은 2011년 8월 영산강의 하구언 전면과 고하도 부근 두 정점에서 한달 동안 실시하였으며, 방류수의 이류속도는 유효 유속 판정에 상관도, 퍼센트굿, 그리고 유속 히스토그램의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ADCP 후처리방법을 적용하여 복원하였다. 또한, 같은 수로에 위치한 두 정점에서 이류하는 퇴적물의 농도피크시간을 토대로 퇴적물의 이류속도(Sediment Advection Speed)를 계산하여 방류수 이류속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퇴적물의 이류속도를 방류시 ADCP의 표층유속과 비교하였을 때, 방류량이 $2.0{\times}10^7$톤 보다 크면 두 속도값이 유사하고, 그보다 적을 경우에는 퇴적물의 이류속도가 약간 크게 산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방류가 발생할때 담수이류속도(Freshwater Advection Speed)는 바닥으로부터 $0.8{\times}$수심의 유속보다 평균 0.8 m/s 정도 크기 때문에, 방류가 증가하는 시기에 새롭게 계산된 방류수의 속도를 포함한 순유출량(=수심 및 조석주기로 적분된 흐름)을 계산하면, 그 방향이 하구언으로 들어오는 방향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층 담수의 속도가 더해짐으로써 표층 속도쉬어와 리차드슨 수의 분포가 바뀜을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에 표층 해수의 안정도를 해석함에 있어 실제 방류수 유속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속과 함께 수온과 염분의 장기적인 관측이 수행된다면 담수 방류에 따른 성층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관련 부유퇴적물의 변동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해안 환경 하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간의존적 염화물침투 평가 (Time Dependent Chloride Transport Evaluation of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 송하원;백승우;안기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85-59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해안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평가에 대한 모델을 표면 염소이온농도 $(C_s)$의 시간에 대한 증가와 염소이온 확산계수 (D) 및 임계염소이온농토 $(C_{lim})$를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밀한 내구수명 예측을 위하여 $C_s$와 D의 시간의존성이 고려되었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C_s$를 고려한 Fick의 제2법칙의 정밀해를 구하였다. $C_s$의 시간의존성에 대해서는, 기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에 대한 대수 함수 형태의 $C_s$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D의 시간의존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전체 노출 기간에 대한 시간의 평균값을 적용하였다. 또한 염해 환경 하에 있는 철도 구조물이 100년의 내구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델과 시방서 기준에 근거하여 내구성 설계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능 중심의 설계 기법에 의해 검증되었으며, 이로부터 기존의 시방서 설계기준은 해안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 성능을 과소 평가하여 매우 보수적인 설계결과를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_s$와 D의 시간의존성을 고려한 본 모델은 기존 시방기준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염해를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