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rived communit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저소득층 아동의 주거환경 (Home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of Children: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and Settlement Character)

  • 곽은순;정미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93-50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onal differences of 0-12 aged children's environment based on their parents' socioeconomic class and on the character of the settlement. One thousand and two hundred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revealed that families in low socio-economic clas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noise and home crowdedness. Families living in spontaneous settlement are deprived of natural light and the roads to their homes are steep and narrow. Low income families face a housing affordability crisis. Most of them pay housing rent on monthly basis. The basic infrastructure of low income neighborhood is lacking convenient facilities like shopping centers,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banks, public parks, and libraries. This lack of facilities is more severe in spontaneous settlement. Instead, bars and taverns are located in their neighborhood. Accessibility to parks and resource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both middle and low income families consider their neighborhood to be positive and this condition is counted better in social housing area than in spontaneous settlement. On the contrary, social networks like friends and relatives are strong in spontaneous settlement and families in poverty value these relationships. Such networks are weak in social housing area and this difference is not related to their residential period. Low income families living in social housing area are more pessimistic about their future and this view might result from their counterpart middle class neighbors and the weak social networks.

  • PDF

한국 거주 북한이탈 어린이와 남한 어린이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현황 비교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Status between Displaced North Korean Children in South Korea and South Korean Children)

  • 이수경;남소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7-418
    • /
    • 2012
  • Many displaced North Koreans (NK) are living in South Korea (SK); however nutrition research with the displaced NK is limited. This study examined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status of displaced NK children (6-18 year-old) currently living in SK. A total of 154 children were recruited, and a pre-tested dietary behavior questionnair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24-hr recall method were used. Sex- and age-matched SK children (n = 462) randomly selected from 2009-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as the comparison group. This study found that more NK children skipped breakfast (37%) and dinner (11%), and ate breakfast (38.8%) and dinner (18.2%) without family members than SK children. Many NK children reported that they rarely ate bread, rice cake, hamburger, pizza, fried food, candy. NK children consumed significantly less energy and nutrients (except calcium) and obtained more energy from fat and protein than SK children. Overall index of nutrient quality in NK children, however, was generally good. Length of stay in SK and breakfast skipping rat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diet quality.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with displaced NK children should target those who recently came to SK. How to incorporate "new" foods, generally high in energy, sugar, or fat, in healthy ways and importance of breakfast should be emphasized. The growth patterns of the displaced NK children who were born and raised in food-deprived environments and will grow in food-affluent environments of SK should be monitored for health promotion of the NK children and for nutrition policy of the future united Korea.

쪽방지역 주거기간과 우울증상 경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period of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and depression experience)

  • 김진성;차선화;김창수;박희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5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bstanti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eriod of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and a depression experience.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data from the Korea Homeless Survey carried out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16. In the study, the data included 485 survey participants who resided in a single room. The period of single-room occupancy being divided into three groups: less than 1 year, 1 to 4 years, and more than 5 years was considered a primary independent variable. The outcome variable which represented a depression experience was measured by CESD-11(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We carried out 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association. Results: The rate of depression experienced in this population was 77.5%. Almost 83.9% of the participants were reported as being unable to receive the mental health counselling in the last 12 months.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ubjects who were living in a single room occupancy for 1-5 years(OR=3.89; 95% CI=1.43-10.56) and more than 5 years(OR=2.71; 95% CI= 1.05-6.95)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had a high correlation with experiencing depression. We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strategy for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poor, vulnerable and deprived population.

전통시장 서제 중심의 디스플레이 연구 및 전용서체 개발 (A Study on the Display and Exclusive Font Development in Traditional Markets)

  • 김초아;장윤정;김용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0-289
    • /
    • 2018
  • 전통시장은 지역주민의 전통문화와 정서가 담긴 곳으로 단순히 상품의 거래의 공간이 아닌 문화공간, 지역 경제, 커뮤니티 등 우리 삶의 중심에 있어 왔다. 그러나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대형마트, 백화점등에 소비자를 지속적으로 빼앗기고 있는 실정이다. 내부 시설을 포함 디스플레이에 대한 인식이 낮아 겉모습에 비해 개발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며 특히 제품명, 가격표, 원산지 등을 표기한 표지판은 시장 내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띔에도 불구하고 개선이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러한 전통시장 서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통시장 내 사용되는 서체를 조사 분석을 진행해 차후에 더 나아가 전통시장만의 전용 서체를 만들어 시장 서체의 통일성을 갖추고 차별화 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전통시장 전용 서체를 개발하고자 한다.

cAMP/PKA Agonist Restores the Fasting-Induced Down-Regulation of nNOS Expression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 Yoo, Sang-Bae;Lee, Seoul;Lee, Joo-Young;Kim, Bom-Taeck;Lee, Jong-Ho;Jahng, Je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5호
    • /
    • pp.333-337
    • /
    • 2012
  • Gene expression of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changes in the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PVN) depending on feeding conditions, which is decreased during food deprivation and restored by refeeding, and phosphorylated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pCREB) was suggested to play a role in its reg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f the fasting-induced down-regulation of the PVN-nNOS expression is restored by activation of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A (cAMP/PKA) pathway. Freely moving rats received intracerebroventricular (icv) injection of cAMP/PKA activator Sp-cAMP (40 nmol) or vehicle (sterilized saline) following 48 h of food deprivation. One hour after drug injections, rats were transcardially perfus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the PVN tissues were processed for nNOS or pCREB immunohistochemistry. Sp-cAMP significantly increased not only nNOS but also pCREB immunoreactivities in the PVN of food deprived rats. Fastinginduced down-regulation of the PVN-nNOS was restored by 1 h after the icv Sp-cAMP. Results suggest that cAMP/PKA pathway may mediate the regulation of the PVN-nNOS expression depending on different feeding conditions.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의 개선 방안 (Improving the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the Demander-Centered Approach)

  • 유현정;이재은;노진철;김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24-236
    • /
    • 2008
  • 재난관리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관점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재난관리서비스에 있어 수요자는 이재민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지방정부, 응급 구조시스템, 민간자원봉사단체 등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현 재난관리서비스의 문제점을 수요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각각의 대상이 인식하는 재난관리서비스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현 재난관리 시스템의 체계성이 결여되어 있었고, 재난관리의 각 주체와 유관기관들 사이에 상호 불신과 이해가 재난현장에서 병존하고 있었다. 재난현장에서는 이재민뿐만 아니라 재난관리자들도 오랜 복구활동으로 인해 안정적인 생활을 박탈당하게 되며, 보상금 배분 등으로 인해 구성원간 갈등이 심화되어 극단적인 경우에는 지역사회의 붕괴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재난으로 인한 이재민들의 삶은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신적 측면에서도 심각히 훼손되어 지속적인 지원서비스의 제공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공원관리 거버넌스 구축정도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차이 - 영국 셰필드 지구공원을 대상으로 - (Differential Levels of Governance and Its Impact on Urban Park Management and Users' Satisfaction - The Case of Sheffield District Parks, UK -)

  • 남진보;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0-60
    • /
    • 2019
  • 1980년대 후반 녹지 및 공원경영 관련 예산삭감과 의무경쟁입찰제도(Compulsory Competitive Tendering: CCT)는 영국 도시공원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1999년 도시 전담 조직(Urban Task Force, 1999), 2001년 도시공원포럼(Urban Park Forum, 2001)에 의한 공공공원평가(Public Parks Assessment)는 공원의 가치와 훼손에 대한 심각성을 경고하였고, 영국의 신노동당(The New Labour Government, 1997-2010) 그리고 보수정부(The Conservative Government 2010-2019 현재)는 부족한 공원녹지 예산문제와 공원의 질적하락 문제에 대해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 단체 그중에서도 프렌즈 그룹과 같은 비영리 봉사단체의 공원 관리 참여 및 그 역할은 확대되었다. 그러나, 실제 이와 같은 커뮤니티 주도형 거버넌스가, 특히 거버넌스의 구축 차이에 따른 공원의 질적 향상이나 이용자만족도 제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대한 고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커뮤니티 주도형 거버넌스를 통한 공원 관리의 흐름을 고찰하였으며, 거버넌스 구축단계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지역의 영국 셰필드 2개 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영국 도시공원 관리에서의 커뮤니티 참여는 의사결정 참여를 통한 거버넌스 운영 관리 구조로 발전되었으며, 일반적, 적극적, 지배적 거버넌스형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커뮤니티의 의사결정 참여의 단계에 따라 다른 수준의 책임공유가 수반됨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거버넌스 구축단계에 따라 이용자의 공원 관리 만족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의사결정 참여 기회를 가지는 책임공유를 수반하는 적극적 거버넌스 구축 공원에서 이용자 만족도에 더욱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속적인 커뮤니티의 의사결정 참여를 통한 적극적 거버넌스 구조의 공원관리에 대한 책임공유를 바탕으로하는 파트너십, 특히 비공공 부문, 비영리 사회적 전문그룹 주도의 공원 운영 관리 방식이 도입되어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선진국 도시재생 사례비교를 통한 말레이시아 주거재생 전략의 모색 (How can the development of neighbourhood renewal strategies in Malaysia be informed by best practice and transferable lessons from developed countries)

  • 틴완준;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9-486
    • /
    • 2017
  • 말레이시아에서는 전면개발방식의 도시 재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젠트리피케이션, 역사성과 정체성의 상실, 불평등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따라서 앞으로의 말레이시아 정부는 도시 재개발에만 의존하는 것 에서 벗어나 또 다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역 기반 주거재생은 낙후 지역을 총체적인 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재개발, 회복, 재활성화 및 보전 등을 통합하는 전력이다. 본 연구 목적은 선진국 주거재생 사례를 비교 검토 하고 말레이시아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람중심 장소중심 체계중심의 정책을 통합하는 주거지 재생을 통해, 적절한 자원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성의 중요성, 주민참여, 그리고 공평하고 공정하며 체계적으로 자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 협치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결론적으로 말레이시아의 주거지재생은 진정한 지역 주민의 참여와 지속 가능한 재원조달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실행자 역할을 하기 보다는 지원자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하천과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 금호강을 중심으로 (The Function or Urban River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 The Case of Kumho River)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7-774
    • /
    • 2004
  • 이 논문은 전통적인 하천의 기능을 보다 체계적으로 재분류하여, 사회적 측면(용수공급, 관리, 교통 및 에너지원), 공간적 측면(지형형성, 수변경관, 지역구성, 경계-분리) 그리고 생태적 측면(폐수배출, 정화작용, 서식지, 기후조절) 등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분류에 기초하여 보면, 근대화 과정에서 도시하천의 기능들 가운데 특히 용수공급 등 사회경제적 기능이 강조된 반면, 공간적 측면과 생태적 측면은 무시되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대구 및 그 주변 지역을 관류하는 금호강 역시 과거 지역사회의 내적 발전과정에 지대한 기여를 했지만, 하천의 특정 기능이 선별적으로 개발된 결과 금호강은 유지수의 부족과 더불어 오염과 퇴락으로 그 본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금호강에 의존하여 발달해 오던 대구 및 그 주변 도시들도 더 이상 성장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환경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도시 하천이 가지는 고유한 기능들에 근거하여 지속가능성 원칙과 주요 기능별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도시와 하천이 공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國土管理의 方向定立을 위한 國土診斷 -專門家 集團의 問題意識을 中心으로- (Spatial problems of Korea -A delphi survey-)

  • 김인;류우익;허우긍;박영한;박삼옥;류근배;최병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38
    • /
    • 1994
  • 본 연구는 국토관리의 기본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국토 전반에 걸쳐 문제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국토정책, 취락계층별 문제, 정책 및 전략평가, 당면 지역문제, 국토환경, 북한에 대한 평가 등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행하였으며, 문헌조사도 병행하였다. 국토의 전체적인 수준은 소비, 주거, 노동 환등을 영위하는데 대체로 만족하나, 교육, 휴양, 공동 생활 등의 부문에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평가되었다. 국토구조의 핵심문제로 공간적 집중과 격차 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토지이용의 기본방향에 대해서는 개발과 보전을 적절히 절충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국토 환경 수준에 대해서는 대체로 낮게 평가하고, 정부의 환경관리 정 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다. 한편 취락계층별로 상이한 공간문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북한지역은 국토기반시설이 취약하지만 환경의 질은 양호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국 토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는 "건강한 국토"를 제안하며, 그 기본원리로는 미래지향적 국토 관리, 국토의 일체성 회복, 국토구조의 진취적 개편, 국토이용에 있어서의 공공성 확보, 국토 관리 패러다임의 친환경적 전환 등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