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okyusa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덕유산국립공원 삼림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Deokyusan National Park)

  • 서병수;김세천;이규완;박종민;이창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7-185
    • /
    • 1995
  •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uccession of forest in the Deokyusan National Park, field survey was performed from July to September, 1992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orest vegetation of Deokyusan National Park was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by the factor of altitude.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by DCA ordination seem to be from Pinus densiflora to Carpinus laxiflora and Betula schmiatii and also, Quercus spp. through Cornus walter and Platycarya strobilacea to Q. mongolica, Abies holophylla and Taxus cuspidata. The diversity indices seemed to be affected by the factors of altitude. Especially, evenness showed several difference according to altitude. Comparing vegetation structure of lower layer for the recess system and one others, mor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were observed.

  • PDF

주목(Taxus cuspidata) 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Taxus cuspidata Populations)

  • 전영문;홍문표;이나연;서은경;이승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3-131
    • /
    • 2012
  • 본 연구는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개체군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 덕유산과 한라산은 교목층이 없는 3층구조를, 설악산지역에서는 4층구조로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 수종은 주목을 비롯하여 시닥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 마가목 등으로 나타났다. 주목의 개체(DBH > 5 cm) 밀도는 한라산지역에서 986.0개체/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설악산지역이 42.0 cm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 그리고 후계목으로서 유목의 밀도는 357.3개체/ha와 128.6개체/ha로 한라산지역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한라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현 식생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지역이 1.27 mm/연, 0.93 mm/연, 0.89 mm/연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백두대간 지리산-덕유산 구간의 조류상에 관한 문헌연구 (Birds in the Baekdudaegan from Jirisan to Deokyusan : A Review)

  • 이두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87-497
    • /
    • 2003
  • 문헌조사 결과 백두대간 남부지역 지리산-덕유산 구간에서는 지금까지 총 15목 45과 136종의 조류가 기록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132종, 함양 지역에서 63종, 장수지역에서 46종, 덕유산국립공원에서 69종이 기록되었다. 이들은 텃새 42종(30.9%). 여름철새 40종(29.4%), 겨울철새 31종(22.8%), 나그네새 23종(16.9%)으로 구성되었다. 법적 보호조류는 환경부 보호종 15종, 천연기념물은 14종으로 총 23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 붉은배새매, 새매, 황조롱이 등 3종만이 비교적 널리 분포하고 나머지 원앙 벌매, 참매, 조롱이, 털발말똥가리,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쇠황조롱이 재두루미, 수리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솔부엉이 올빼미, 가막딱다구리, 아물쇠딱다구리, 팔색조, 뿔종다리, 삼광조 등 20종은 모두 분포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보호증식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공원 내 비오톱조성을 통한 자연학습공간 개선방안 - 전라북도를 사례로 - (An Improvement Proposal for Nature-learning Places in Natural Parks with the Concept of Biotope - A Case Study of the Natural Parks of Chollabukdo -)

  • 유리수;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9-69
    • /
    • 2006
  • Nature-learning place is a critical space together with nature center in Natural parks. But there are serious faults on these design and planning as for the landscape ecological consider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the ecological alternatives through analyzing existing cases of nature-teaming place in Natural parte. Five case sites in Natural parks were selected in Chollabukdo. Three landscape indices- subjectivity, natural prototype, nativity, were introduced for evaluating the existing cases. Results showed that those are short of landscape ecological senses- Biotope target species, ecological vegetation patches, eco-corridor concept. A proposal for the ecological planning in Deokyusan Natural park was suggested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with biotopes as forest and stream patches and the corridor.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isting natural-loaming sites should be evaluated in light of landscape ecological indices. Second, they can be designed to work with the concept of the biotope patch and corridor for target spe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critical guidelines for the ecological planning and design of natural-loaming sites in nature parks.

FLO-2D를 이용한 고속도로에서의 토석류 거동 모델링 (Modeling for Debris Flow Behavior on Expressway Using FLO-2D)

  • 임재태;김병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263-272
    • /
    • 2019
  • 본 연구는 실제 고속도로 인접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를 대상으로 고속도로에서의 토석류 거동을 FLO-2D 모형을 적용하여 재현함으로써, 고속도로에서의 토석류 영향 해석에 대한 FLO-2D 모형의 활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2005년 8월 집중호우로 토석류가 발생하여 24시간 동안 교통이 차단된 대전-진주간 고속도로의 덕유산 휴게소구간으로 선정하였다. 발생 토석류에 대한 현장조사 및 토성 시험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GIS를 이용한 지형분석, HEC-HMS를 이용한 수문분석, 그리고 토석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FLO-2D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을 통한 최적 매개변수 조합을 선정한 후, FLO-2D 모형을 적용한 토석류 거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예측치와 실측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고속도로에서 토석류 거동해석을 위한 FLO-2D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deteriorations class of a trail in Deogyusan National Park

  • Ju-Ung Yun;Myeong-Jun Kim;Hong-Seok Bang;Jin-Won Kim;Won-Ok Je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67-37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terioration of trail conditions and to obtain information for desirable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a trail in Deogyusan National Park.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trail were surveyed at a total of 412 sites over 79.8 km length. The average trail degree and width were found to be 14.31° and 1.60 m, respectively, while the average bare trail width was 1.40 m and the average maxim trail depth was 5.66 cm. Major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trail deepening (36.6%), rock exposure (33.9%), and root exposure (12.5%) in order of frequency. Deterioration classes of the trail were 0.626 km (0.8%), 3.110 km (3.9%) and 8.935 km (11.2%) for heavily, moderately, and lightly deteriorated, respectively, with a deterioration rate of 12.671 km (15.9%). Compared to other national parks, the ratio damaged trail to the total trail was 15.9%,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other, including Jirisan National Park 9.6% (2019), Bukhansan National Park 13.6% (2019), Sokrisan National Park 11.7% (2019), Chiaksan National Park 12.3% (2015), and Woraksan National Park 10.5% (2015). The section of trail in Deokyusan National Park where the damage grade is analyzed as "Heavy" should therefore be restored in consideration of the field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damage status of the trail is expected to be greatly improved when the trail surface maintenance level is restored.

Terra MODIS 위성영상과 SEBAL 모형을 이용한 공간증발산량 산정 연구 -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 (Estim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and SEBAL Model - A Case of Yongdam Dam Watershed -)

  • 이용관;김상호;안소라;최민하;임광섭;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0-10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성영상을 이용해 시공간 증발산량을 모의할 수 있는 증발산량 산정 모형을 구축하고, 플럭스 타워 실측 증발산량과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증발산량 산정 모형은 SEBAL(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을 구축하였으며, 모형 내 일부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SEBAL 모형의 위성 입력 자료로는 2개년(2012-2013)의 MODIS Normal Distribution Vegetation Index(NDVI), Albedo, Land Surface Temperature(LST) 영상을 500m의 공간해상도로 구축하였으며, 유역주변 기상청 기상관측소(5개 지점)의 풍속, 풍속측정높이, 일사량 자료를 내삽(Interpolation)하여 활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금강유역의 용담댐을 대상으로 공간 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유역 내에 위치한 덕유산 플럭스 타워의 산림 증발산량과 비교분석하였다. 모형 매개변수 중 Albedo와 NDVI, 지표 거칠기(Surface roughness) 순으로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의 보정을 위해 최종적으로 Albedo와 NDVI는 월별 평균값을 적용하였다. 모의 기간 동안의 결정계수($R^2$)는 0.45이었다. SEBAL 모형은 특히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므로 유역내에서 고지대에 비해 저지대에서 증발산량이 높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