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ure teeth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9초

광중합용 DLP 프린터로 제작한 전악 인공치아의 UV-C 초음파 세척에 따른 체적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dimension stability according to UV-C ultrasonic cleaning of full arch artificial teeth made with DLP printer for photopolymerization)

  • 김동연;이광영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84-9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mension safety evaluation between a general ultrasonic cleaner and an ultrasonic cleaner equipped with UV-C (ultraviolet-C). Methods: An edentulous model was prepared. A denture base and an occlusal rim were fabricated, and scanning was performed. After scanning, a denture base and full arch artificial teeth were designed. The full arch artificial teeth were printe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n=10). The residual resin was washed with alcohol and then scanned (reference data). The printed specimens were classified and cleaned using a general ultrasonic cleaner (GU group) and an ultrasonic cleaner equipped with UV-C (UC group). After each washing, a rescan was performed (scan data). Reference data and scan data were superimposed using overlapping softwar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α=0.05). Results: In the deviation values of full arch artificial teeth, the GU group showed a high deviation of 18.02 ㎛ and the UC group showed a low deviation of 15.02 ㎛. The two groups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Full arch artificial teeth prepared using photopolymerized resin were deform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water generated in the ultrasonic cleaner.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UV-C ultrasonic cleaner.

전악 발치 환자에서 캠퍼그나 트레이를 적용한 즉시의치 수복 증례 (Fabrication of immediate complete denture using Campagna tray technique)

  • 김남훈;김종은;오경철;정문규;문홍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31-335
    • /
    • 2017
  • 잔존 자연치의 발치가 필요한 환자에서 즉시의치의 제작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시의치를 장착함으로써 환자가 무치악으로 지내는 기간 없이 심미 및 기능을 회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인상 채득이 어렵다는 점, 장착 후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잔존 자연치를 모두 발치해야 하는 49세 남환에서 캠퍼그나 트레이를 이용하여 최종 인상을 채득하고 수술용 형판을 이용하여 발치 및 치조골 성형술을 시행한 후, 즉시의치를 제작 및 장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의과적 문제가 있고 소수 잔존치를 가지는 환자에서의 치주보철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Periodontal prosthesis on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with few remaining teeth: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 method)

  • 하석준;이청희;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59-365
    • /
    • 2014
  •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서 여러 문헌에서 보고 되고 있다. 이중관 가철성국소의치(Double crown removal partial denture)는 잔존치의 치주적인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특히 치주상태가 좋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는 의과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자(Medically compromised patient)에게는 수술에 대한 부담 없이 치료할 수 있어 심리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존재한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다수의 치아가 잔존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한 상태였고, 하악은 소수 잔존치만 남아있고 치주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잔존치를 이용한 클라스프 가철성 국소의치로는 수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환자는 1년 전에 하악 전치부 부위의 골수염으로 인한 수술병력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악조건에서 하악의 소수 잔존치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는 2년이상의 기간동안 기능적,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인공치의 표면처리가 3D 프린팅 의치상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artificial resin teeth and 3D printing denture base resin)

  • 최지혜;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00-305
    • /
    • 2020
  • 목적: 인공치의 표면처리가 3D 프린팅 의치상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적용에 있어 참고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3D 프린팅 의치상레진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고, 인공치의 표면처리는 sandblasting, 프라이머의 적용 유무에 따라 5가지 군으로 나누어, 각 군마다 10개씩 진행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one-way ANOVA로 통계분석 후 Turkey test를 통해 사후검정하였다. 이후 파절된 시편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평균전단결합강도는 표면 처리 하지 않은 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프라이머 처리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 < .05). 또한 프라이머 처리한 군에서 대부분 응집파절을 나타내었다. 결론: 3D 프린팅 의치상레진에 인공치를 결합 시 인공치의 기계적·화학적 표면처리는 전단결합강도를 증가시켜 3D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의치를 제작할 경우 기계적·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인공치의 탈락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sandblasting 과 프라이머를 처리하는 방법이 추천된다.

치아지지및 유리단 국소의치의 설계원칙 (THE PRINCIPLE OF THE TOOTH-BORNE AND FREE-END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 계기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9
    • /
    • 1990
  • The Applegate-Kennedy classification, the drawing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using color coding, the selective tissue placement impression method in case of Class I and Class II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design of the swing lock attachment of an alternative approach to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design of the intracoronal or extracoronal attachment, and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using a rotational path were presen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the above things were presented : 1. The swing lock attachment removable partial denture can be effective to an alternative approach when the design of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improper with markedly mobile remaining teeth or missing key abutments. 2. Intracoronal or extracoronal attachments must be selected care-fully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he abutment teeth and alveolar ridge whether more occlusal loads to the abutment teeth or to the alveolar ridge are distributed. 3. It must be almost prerequisite that a functional impression is taken in case of Class I and class II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d in case of tooth-borne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rotational path is strong, hygienic, esthetic, and can be accomplished successfully in the clinical aspect when it is properly designed and fabricated through the complete understanding of an indication and a principle. 4. All necessary informations must be achieved with carefully investigated surveying procedure according to each clinical case by Applegate-Kennedy classification which can be helpful and useful in the clinical application and it is important that dentists themselves must be in the habit of drawing a reasonable partial denture design using a color coding in the paper sheet.

  • PDF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기존 국소의치 맞춤 보철 제작과 심미적인 인공치 수리 증례 (Fabrication of surveyed crown and repairing the artificial teeth for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digital technology: a case report)

  • 김인아;오은지;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2호
    • /
    • pp.82-90
    • /
    • 2024
  • 치조제의 조직 변화, 의치 또는 지대치의 파절 등으로 인해 국소의치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기존 국소의치의 금속 구조물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면 몇 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고,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여러 번 내원할 필요가 없다. 자연치아가 파절되어 의치를 수리할 때 사용되는 인공치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갖기 어려우며, 심미적인 인공치 수리를 위해서는 환자 개개인의 치아 형태와 유사한 맞춤형 인공치 제작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여 높은 유지력과 적합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맞춤형 인공치아를 디자인하여 더욱 심미적이고 조화로운 의치 수리가 가능하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 국소의치에 맞춤형 보철물과 인접치열을 미러링한 맞춤형 인공치를 제작하여 의치를 수리한 증례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과정을 단순화하면서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경북지역 장수노인의 저작능력과 건강상태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Health Status in the Long-lived Elderly of Kyungpook Area)

  • 이희경;이영권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00-207
    • /
    • 1999
  • 본 연구는 구강보건측면에서의 장수를 위한 노인생활지침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85세 이상 노인들의 구강검진을 통하여 구강내 실태조사와 저작능력의 상태를 파악하고 구강상태에 따른 건강상태 및 신체계측치를 비교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97명 중 남자가 27.8%, 여자가 72.2%이었고, 평균연령은 $88.14{\pm}3.20$세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노인들이 53.6%가 건강하다고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키는 $148.8{\pm}11.2cm$, 평균몸무게는 $46.9{\pm}10.5kg$, 평균BMI는 $21.2{\pm}3.5kg/m^2$, 평균체지방율은 $26.7{\pm}6.9%$, 평균제지방율은 $73.0{\pm}7.1%$, 평균체수분율은 $53.4{\pm}5.2%$로 나타났다. 2. 잔존치아수는 $3.50{\pm}5.71$개로 상악이 $1.08{\pm}2.88$개, 하악이 $2.41{\pm}3.76$개로 나타났고 최대 잔존치아 수는 22개이었고, 치아가 없는 노인이 전체의 76.3%나 되었다. 저작양상은 상,하 의치를 사용하는 노인이 전체의 52.6%, 자기치아만으로 저작(자연치 교합)하는 노인이 23.7%, 치아도 없으며 의치도 사용하지 않는 노인이 23.7%로 나타났다. 3. 저작양상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소화상태, 저작능력을 보면 의치 교합군에서 47.1%,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에서는 56.5%, 자연치교합군에서는 65.2%가 건강하다고 했고, 소화상태도 의치군이 82.4%,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이 65.2%, 자연치 교합군이 73.9%로 좋다고 했고, 저작능력도 의치군이 90.2%,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이 60.9%, 자연치 교합군이 65.2%로 좋다고 하였다. 4. 저작영상에 따른 키, 몸무게, 체지방율, 제지방율, 총수분량을 비교하면 의치교협군에서 $150.0{\pm}10.7cm$, $49.0{\pm}10.9kg$, $26.9{\pm}6.6%$, $72.7{\pm}7.0%$, $53.2{\pm}5.1%$이며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에서는 $142.7{\pm}6.0cm$, $43.2{\pm}5.5kg$, $29.5{\pm}7.2%$, $70.8{\pm}6.9%$, $51.8{\pm}5.0%$이고 자연치교합군에서는 $152.3{\pm}14.1cm$, $45.9{\pm}12.6kg$, $23.4{\pm}6.0%$, $75.9{\pm}6.9%$, $55.6{\pm}5.1%$로 나타났다. 저작양상 대한 신체계측치는 키, 체지방율, 제지방율, 총수분율에서 의치를 사용하는 군, 자연치교합군,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의 순으로 유의하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도한 치아 마모와 교합평면 붕괴를 보이는 환자에서 상악 고정성 보철 및 하악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통한 구강회복 증례 (A case of oral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and occlusal plane collapse, utilizing maxillary fixed prosthesis and mandibular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안재형;김성용;김성아;이용상;이근우;장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74-182
    • /
    • 2024
  • 다수의 구치를 상실한 환자에서는 전방부 치아들의 마모나 변위, 교합평면의 붕괴와 교합수직고경의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편측으로 소수의 치아만 가진 경우 국소의치는 생역학적으로 불리하므로, 소수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추가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가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우측 구치부 상실로 인해 전방부 치아들이 심하게 마모되고, 교합평면이 붕괴되어 있었다. 최소한의 교합 수직고경 거상과 함께 상악 고정성 보철 및 하악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을 진행하였고, 기능적 및 심미적으로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ngle씨 분류 I급 부정교합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CONSIDERATION OF ANGLE'S CLASSIFICATION CLASS I MALOCCLUSION)

  • 강흥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7-110
    • /
    • 1977
  • Class I malocclusion is essentially a dental dysplasia. Rotations, individual tooth malpositions, missing teeth, tooth size discrepancies, etc., fall under this classification. There are two types of class I malocclusions. One is identified by and insufficient denture base to accommodate the teeth; the other has more denture base than tooth material, creating spaces in the arch. The tooth material-to denture base discrepancies may be slight, calling for only a little increase in arch length for alignment and the correction of minor rotations. Discrepancies may also be great, in which case it becomes necessary to reduce tooth material by extraction, so as to make the tooth material more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denture base. The author had attempted orthodontic treatment of a class I malocclusion case of 13-year old boy in which high canines and impacted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ere involved. The author obtained good results.

  • PDF

보철물(補綴物) 장착시(裝着時) 치근막(齒根膜)과 치조골(齒槽骨)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X선학적(線學的) 연구(硏究) (Roentgenologic Studies on the Periodontal Ligaments and Alveolar Bone Changes in Various Prosthesis)

  • 이재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2
    • /
    • 1969
  • Intra-oral films of 155 patients were taken on the areas of Gold Crown-Bridges, S. P. Bridges and Partial Dentures. And the author observed periodontal ligaments widening rates, the presence of periapical lesions and the alveolar bone patterns on the Partial Denture Saddle por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eriodontal ligaments a) Periodontal ligaments widening rate increased obviously with the duration of wearing those prosthetic appliances. b) Periodontal ligaments widening rate was the highest in partial denture wearing patients, and then that of S. P. Crown Bridge patients, Gold Crown Bridge wearing females, Gold Crown Bridge males were the sequences. 2. Periapical lesions a) Periapical lesions increased with the wearing duration of those prosthetic appliances. But they did not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Periapical lesions were about the same in the teeth with those appliances showing relatively higher rate in Partial Denture abutment teeth and the lowest in Gold-Bridge abutment teeth. 3. Alveolar bone of Partial Denture saddle portion One third of all(32%) were normal with their smooth and compact bone pattern so that they were considered to perform normal fun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