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service institut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재가 장애인의 구강진료기관 이용실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Domestic Disabled People's Use of Dental Service Institutes and Thei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이현옥;양춘호;김진;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93-6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구강의료서비스 이용실태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분석하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8년 5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 전북지역 일부 재가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개별면접법을 실시하였다. 총 198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자들의 68.2%가 구강진료기관을 이용경험이 있었으며,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감각장애 모두에서 80.0%이상이 지역사회 치과의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분류별 구강진료기관 방문 이유는 신체적 장애에서는 43.4%가 정기검진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정신적 장애에서는 정기검진 이 37.9%, 감각장애에서는 통증 및 파절이 43.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2. 연구대상자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평균 3.39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반적인 특성에서 연령, 종교, 결혼상태, 교육상태, 주관적인 건강상태 변수에서 삶의 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진료기관 이용경험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p=.011), 장애관련 특성에 장애정도와 장애기간에서 삶의 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특성 변수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치과진료기과 이용실태와 장애관련 특성 변수에서는 치과진료기관 이용경험이 삶의 질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선택되었다.

  • PDF

치의학 교육 수출의 전략과 과제 (Strategies and Tasks of Exporting Dental Education)

  • 김희경;한중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4호
    • /
    • pp.284-294
    • /
    • 2017
  • Recently, education is regarded as a service item and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are being exported abroad. In the form of educational export operations, expor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curriculum, specific consultancy projects for foreign institutes, installation of local educational facilities, or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re being carried out. Korea has the potential and competitiveness to export dental education. The advantages of Korea's dental education services, such as dental equipment and materials, excellent education programs, and high-quality human resources, will enable the export of education services in various way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overseas dental students, export of educational consulting items, clinical training programs for foreign dentists abroad, invitation for international clinical workshops, dispatch of faculty members, exchange student programs can be considered as exporting dental education service items. Therefore, in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ial and appropriate educational export plans.

  • PDF

SERVQUAL 모형으로 측정한 일부 치과의원의 서비스 질과 재이용의도 (Service Quality of Dental Institutes Measured by SERVQUAL Model and Intention to Re-visit)

  • 전미진;노은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2010
  • 본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에서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치과이용목적과 6개영역간의 서비스품질을 비교하고, 의료서비스 질과 환자만족도, 재이용의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광주지역 중 남구과 북구에 소재 한 치과의원 5곳을 선정하여 해당 치과의원에서 1회 이상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특성 중 서비스품질, 만족도, 재이용의도와의 관련이 있는 변수는 연령, 수입, 학력수준 등이었다. 2. 의료서비스에 대한 품질, 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6개 영역의 서비스 질을 비롯한 서비스 품질은 만족도, 재이용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질만을 포함했을 경우는 재이용의도에 서비스 질 영역 중 접근성이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영역과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재이용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 본 결과 서비스품질의 접근성과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외에도 연령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과이용 환자가 평가하는 서비스 질은 이들의 재이용의도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접근성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각 치과 의원의 접근성은 구강건강에 대한 전화상담, 의료정보제공, 병원 내외부의 의료전달정도가 환자만족을 높이고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의미한다. 또한 일차의료기관인 치과의원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선택 가능한 의료기관이 증가함에 따라 고객의 특성에 기초한 고객과 관련된 여러 자료 등을 DB화하여 관리가 필요하고, 고객의 요구사항 및 고객을 제대로 이해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접점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고객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유지해 나감으로써 단골고객이 아닌 평생고객으로의 유도가 가능할 것이다.

노인구강보철환자에게 미치는 치과 의료서비스 요인 (Influence of dental services on satisfaction of old prosthetic patients)

  • 김순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30
    • /
    • 2007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dental health based on the dental service satisfaction factors of the old dental prosthesis patients of more than 60 years of age who use the dental institutes including dental hospital, clinic, and public health center and to identify the interest in the dental prosthesis as changing paint. Across the countr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a question and answer type conducted by the trained dental hygienists or dentist's. Major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looking at variation of the variables of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the respondents, the group of female, age distribution of 60-65, average monthly income of 0.5-1 million Won, and schooling background of colle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prosthesis treatment in terms of the purpose of isiting a dental institute, and the dental clinic in terms of the type of visiting dental institute showed a remarkably significant difference. 2. looking at variation of variables of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pondents, a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in terms of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dental staffs' service and dental facilities' service in terms of average monthly inco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entire conditions except for the dental facilities' service in terms of schooling and general featu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in terms of the purpose of visiting dental institute,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 visiting dental institute,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dental facilities,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result of treatment, word of mouth and revis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3. looking at variation of the variables of post-installation prosthesis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dentist's dental service, staffs' service, dental facilities' service and revisit in terms of the prosthesis type: and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word of mouth, revisit and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rious concer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and dentist's service in terms of the solving the economic burden: and the entire variables in terms of dissatisfaction elements showed a similar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4. in regard to the satisfaction of dental service and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prosthesis patients,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dental prosthesis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ntist's service, staffs' service, and dental facilities' service. Finally, looking at the influence of the dental service on the treatment result, satisfaction, word of mouth, revisit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it was revealed that they had a great impact on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 PDF

전라북도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 치과의료기관 운영제도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 area in Jeollabuk-do - The focus of management system -)

  • 천혜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29-343
    • /
    • 2009
  • Purpose :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To gain the data to establish the systems for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ntal hygienists.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institutes located in Jeonju and Iksan city, Jeollabuk-do, korea. Methods :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 SPSS statistical program,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Result : The average satisfactory level of the dental hygienists was 3.45 out of 5 point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of the job satisfaction was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as 3.83 points and the least influencing factor was the compensation as 3.09 points.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satisfactory level were also correlated. For each of details, communication structure and working environmen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10. Among the management system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al structure was higher when they had better communication with dentists. Among the management system,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tructural factors was higher when they have manuals for the job, when their job is taken partial charge of the responsibility As for job satisfaction by the welfare support factor in the clinic management system, the better an informal social gathering, the higher general job satisfaction. As for job satisfaction by the job autonomy factor in the clinic management system, the more evenly distributed job opportunities and chances of re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led to higher general job satisfaction. Conclusion : The compensation-related grade was the lowest among the 6 constituent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it seems that improvement of wages and incentives is require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dental hygienists. Also, improving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dental service institute can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since the job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 institutes have the better management system.

  • PDF

치과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 및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of Dental Coordinators and Their Perception)

  • 권순복;김영남;문희정;신명숙;한경순;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1-220
    • /
    • 2005
  •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치과코디네이터가 근무하는 치과병 의원 선정하여 현직 치과코디네이터들을 대상으로 치과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 정도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인력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2005년 5월 1일부터 8월 8일까지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회수된 108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한 치과코디네이터들의 치과근무기간은 5년 이상이 43.5%, 2년 미만이 19.5%, 3년 이상 5년 미만이 19.4%의 순으로 나타났고, 치과코디네이터로서의 업무기간은 2년 미만이 39.8%, 2년 이상 3년 미만과 5년 이상이 각 19.4%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불리워지는 명칭으로는 실장(팀장)이 38%, 코디네이터가 30.6%이었으며, 치과코디네이터로 담당하는 세부 업무로는 리셉션이 30.6%로 가장 높았고, 소속된 부서는 진료지원팀이 5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교육관련 사항으로는 치과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해 가장 많이 교육을 받은 기관으로는 45.4%가 사설기관이고, 응답자의 73.1%가 공인된 치과코디네이터 자격시험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자격인정을 위한 적절한 공인기관으로는 중앙부처라고 응답한 율이 43.5%로 가장 높았고, 응답자의 70.8%는 이수한 업무교육 내용이 직무수행에 적합했다고 응답하였다. 치과코디네이터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지속교육 필요 여부는 96.3%가 "예"라고 응답하였고, 그 이유는 능력향상을 위해서가 63.9%,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서가 22.2였다. 교육비 부담은 근무기관에서 총 교육비의 일정액 보조가 29.6%, 전액 자비 부담이 25.9%였다. 치과코디네이터 교육과정 중 필수 이수항목에서는 의료서비스 마케팅이 66.7%, 치과코디네이터 이론과 실무가 65.7%, 치과의료기초 57.4%의 순이었고, 보완을 희망하는 교육항목은 치과의료서비스 마케팅이 46.3%, 건강보험실무가 35.2%였다. 3. 치과코디네이터로서 현재 수행하는 업무는 고객관리 분야에서는 예약관리가 88.9%, 자기관리 분야에서는 서비스기본매너 갖추기가 87.9%, 원무관리 분야에서는 수납이 81.3%로 높게 나타났다. 4. 치과코디네이터의 수행업무에 대한 인식으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종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3.99{\pm}0.76$)', '치과코디네이터 업무는 경영 기여도가 높다고 생각한다($3.92{\pm}0.70$)', '내가 수행하는 업무는 전체 치과병 의원 업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3.91{\pm}0.84$)', '나는 직원들과 직급에 관계없이 잘 지낸다($3.86{\pm}0.74$)', '업무를 통하여 환자의 구강건강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3.76{\pm}0.75$)', '내 직업은 미래 전망이 밝다($3.74{\pm}0.8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5. 치과코디네이터의 연령별로 인식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업무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가 수행하는 업무는 전체 치과병 의원업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P < 0.001), '수행하는 업무에 대하여 경영자의 인정과 신뢰를 받는다'(P < 0.01),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종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내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가 높다', '스텝들은 치과코디네이터들이 하는 일에 대해 이해하고 인정한다', '치과의사들은 치과코디네이터들이 하는 일에 대해 이해하고 인정한다', '현재 불리워지는 직명에 만족한다', '내 직업은 나이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치과 코디네이터 업무는 경영 기여도가 높다고 생각한다'(P < 0.05)의 항목에서는 연령별로 통계적 유의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치과코디네이터의 직종별로 업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항목에서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기타 순으로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업무관련 결정을 내가 하고 있다'(P < 0.001), ' 내가 수행하는 업무는 전체 병원업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내 업무는 나의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 '업무를 통하여 환자의 구강건강건강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받고 있는 보수에 만족한다', '스텝들은 치과코디네이터들이 하는 일에 대해 이해하고 인정한다'(P < 0.01), '내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가 높다', '업무 수행시 스텝과의 갈등이 없다', '치과병 의원에서는 치과코디네이터의 능력향상을 위한 자기개발 기회를 주고 있다'(P < 0.05)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국내 장애인의 구강 관련에 대한 문헌고찰(2000년-2015년) (Literature review on oral health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2000-2015))

  • 최은미;최원익;손정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57-967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consisted of a literature review on oral health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present th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 oral health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he key word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ral health' were searched in 4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5 online search engines and a total of 635 papers were identified. Duplicate papers were removed, and the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were applied to the remaining papers. Finally, a total of 45 papers were used in the review. Results: First,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followed by dental students, dental hygiene students, dentists, dental hygienist and guardian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topic was dental examination, followed by oral health behavior and behavior of using dental clinics. Third, research purposes included the status of oral health, the quality of oral health, dental treatment, the use of oral health service, and oral hygiene behavior and perception. Fourth,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policy task was expansion of research subjects, followed by oral hygiene and policy development. Conclusions: To enhance the oral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keeping their teeth clean and healthy on their own, development of an oral hygiene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not onl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also for guardians and teachers. It is equally important to examine oral health behavior that could potentially affect the status of oral health and create a more accurate and systematic oral hygiene method. In addition, the government, together with various other research institutes, should conduct an oral health survey of a representative sampl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o determine oral health status and facilitate improvements to oral hygiene programs.

임산부의 구강보건관리 행동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Status for Oral Health of Pregnant Women)

  • 박정순;이지연;김선주;이경희;주온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61
    • /
    • 2006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pregnant women's oral health care behaviors and the necessity of active oral care so as to use in the dental hygiene education at dental clinics as basic material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during pregnancy and instruct how to improve it. And to suggest a dental service direction for dental hygienists, 150 pregnant women who visited the Ostetrics and Genecology Clinics located in tl,e north part of Cholla province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 on their oral care behaviors,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04. The findings were as below: 1. 43.8% of the pregnant women have ever used the dental care institutes within the recent 3 months during pregnancy period. The purpose of the visits was mostly treatment of dental caries, accounting for 40.0%. Next came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accounting for 33.8%. 2. At dental care service, 84.7% of the pregnant women informed the clinic staff of their pregnancy, 12.0% of the pregnant women were having periodical oral examination. 3. 56.7% of the pregnant women have ever inquired about oral care methods, 24.0% of the pregnant women have ever taken any oral health education, of whom 47.1% had higher schooling over graduate school, with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4. 55.3% of the pregnant women made changes in their oral care practice after they got pregnant. Change of oral care practices was more obvious in those who had higher schooling background, of whom specialist women accounted 76.9%. Change of oral care practices after pregna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academic background and occupation. 5. Of the changes in oral care practice after pregnancy, 51.8% of the pregnant women answered they got sensitive to change in their oral status, and 39.8% increased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6. In selecting a tooth paste after they got pregnant, 58.0% of the women didn't give any special consideration to the kind of tooth paste, while 10.7% women as low selected such tooth pastes that contain fluoride. 7. Pregnant women's route for gathering oral care information was mostly mass media and Internet which accounted for 50.7%.

  • PDF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윤미숙;이경희;최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7-152
    • /
    • 2006
  • 기존 치과위생사 인력의 이직을 줄이고 유효 치과위생사 인력을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경영주체들의 경영개선을 위한 노력에 일조가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문헌과 자료를 조사하고 각 지역의 구강진료기관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04년 9월부터 12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이직의도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직무만족도의 전체 평균은 $3.30{\pm}0.70$점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역할명료성요인이 $3.53{\pm}0.73$점으로 가장 높은 만족 수준을 보였고, 임금요인이 $3.14{\pm}0.70$점, 승진요인이 $3.18{\pm}0.80$점으로 낮은 만족 수준을 보였다. 2. 이직의도의 전체 평균은 $3.23{\pm}0.77$점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연령별로는 21-25세가 가장 높은 이직의도 수준을 보였고(p < 0.001), 결혼여부별로는 미혼이 가장 높은 이직의도 수준을 보였으며(p < 0.001), 병원형태별로는 치과의원이 가장 높은 이직의도 수준을 보였다(p < 0.01). 근무경력별로는 1-3년이 가장 높은 이직의도 수준을 보였고(p < 0.001), 현 직장에서의 근무연수별로는 1-3년이 가장 높은 이직의도 수준을 보였으며(p < 0.001), 월 평균 급여별로는 130-160만원이 가장 높은 이직의도 수준을 보였다(p < 0.01). 3.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요인은 모두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임금요인(r = -0.249, p < 0.01)과 상호관계요인(r = -0.218, p < 0.01)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도에 관한 요인에서는 역할명료성 요인과 직무내용요인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r = 0.612, p < 0.01), 직무만족도 요인과는 직무내용요인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759, p < 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