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resin cement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3초

In-Ceram 전부도재관의 shoulder 폭경에 따른 변연적합도 (Marginal fit of In-Ceram crown according to shoulder width)

  • 천승근;이청희;조광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05-112
    • /
    • 2000
  • 본 연구는 치아형성시 shoulder 폭경이 변연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지대치의 치경부쪽의 shoulder 폭경을 0.6 mm, 0.9 mm, 1.2 mm로 나누어 각각 9개씩, 총 27개의 모형을 제작하여 통법에 따라 In-Ceram 전부 도재관을 제작한 후 시멘트 접착하고 근심, 원심, 협, 설측 중앙 부위를 200배 확대하여 변연 적합도의 측정한 후 각 군과, 측정부위에 따른 변연 적합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houlder 폭경이 0.6 mm인 경우 $81.28{\mu}m$, 0.9 mm인 경우는 $70.78{\mu}m$, 1.2mm 인 경우는 $67.75{\mu}m$의 변연간극을 보였다. 2. shoulder 폭경이 0.6 mm인 경우가 0.9 mm, 1.2 mm인 경우보다 변연간극이 유의한 차이를 크게 나탔났으며(p<0.05), 0.9 mm인 경우와 1.2 mm인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In-Ceram 시편의 변연부에서 근심측, 원심측, 순측, 설측의 측정위치에 따른 변연적합도의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여러 치과 와동 기저재용 재료들의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비교 (Comparison of Microleakag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Different Base Materials)

  • 장은영;이제식;남순현;권태엽;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8-175
    • /
    • 2021
  • 이 연구는 깊은 와동에서 기저재로 사용되는 5개의 기저재용 재료를 대상으로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영구 소구치 50개를 준비하여 베이스 재료에 따라 10개씩 군을 나누었다. 치아의 순면에 가로 5.0 mm, 세로 3.0 mm, 높이 3.0 mm 크기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1.0 mm 두께로 각 베이스 재료를 충전하였다. 이후 와동의 상방부를 composite resin으로 최종수복 시행하였으며, 시편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시킨 후 치아를 절삭하였고 실체현미경(× 30)을 이용해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평가를 위해 각 재료 별로 5개씩의 원통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 평가에서 Riva light cureTM가 가장 큰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Well-Root PT와 Biodentine이 가장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압축강도는 모든 군이 베이스 재료로서 받아들일 만한 강도를 보였다. Fuji II LC가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Well-Root PT가 가장 낮은 강도를 보였다.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에 대한 포스트 공간 적합도 및 접착 시멘트의 영향 (The influence of fitness and type of luting agents on bonding strength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posts)

  • 배꽃별;정혜윤;황윤찬;오원만;황인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187-194
    • /
    • 2023
  • 목적: 포스트와 포스트 공간의 크기 불일치는 포스트 수복 중 흔히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러한 불일치는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할 수 있는 적절한 접착 시멘트가 필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포스트 공간의 적합도와 접착 시멘트 종류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된 30개의 하악소구치를 근관 치료한 뒤, 준비된 포스트 공간에 따라 Fitting (F)과 Mismatching (M)의 두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들 그룹은 접착 시멘트 종류에 따라 다시 RelyX Unicem (ReX), Luxacore dual (Lux) 및 Duolink (Duo)의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추가로 분류했다. 이후 시편을 만들어 만능 물성 시험기 상에서 결합 강도를 측정했고 각 시편의 파절 양상을 관찰하여 분류했다. 결과: 실험의 결과로 ReX 및 Duo 하위 그룹에서는 F 그룹의 평균 결합 강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Lux 하위 그룹은 F 그룹과 M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파절 양상 분석에서 ReX 하위 그룹은 시멘트와 상아질 사이의 접착 실패만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섬유강화 복합레진 포스트의 결합강도는 접착 시멘트의 종류, 포스트 공간과 포스트 직경의 불일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Rex는 다른 접착 시멘트와 비교 시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포스트 직경은 모든 그룹에서 F그룹이 M그룹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이 값은 ReX와 Duo 두 그룹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짧은 티타늄 지대주에 합착된 CAD/CAM 금속 코핑의 시멘트 종류에 따른 유지력 비교 (Retention of CAD/CAM Metal Copings Cemented on Short Titanium Abutments with Different Cements)

  • 김효정;송은영;윤지영;이시호;이용근;오남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6
    • /
    • 2012
  • 시멘트 유지 임플란트 지지 수복물은 치과 치료에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임플란트와 지대주 나사연결의 안정적인 견고함과 골유합 임플란트의 높은 생존율로 인해 높은 강도를 가진 시멘트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CAD/CAM을 이용하여 제작한 금속 코핑의 유지력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임상 자료가 없다. 네 종류의 시멘트를 이용하여 티타늄 지대주와 CAD/CAM을 이용하여 제작한 금속 코핑의 유지력을 평가하는 것과 시멘트 유지력에 대한 sandblasting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40개의 티타늄 지대주 블록(Innovium, 세라젬바이오시스, 대한민국)을 제작하여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40개의 금속 코핑을 CAD/CAM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금속 코핑의 교합면 상방부에 유지력 테스트를 위해 구멍을 형성하였다. 네 종류의 시멘트는 Fujicem(Fuji, Japan), Maxcem Elite(Kerr, USA), Panavia F2.0(Kurarary, Japan), Superbond C&B(Sunmedical, Japan)이다. 금속 코핑과 티타늄 지대주를 제조사의 지시대로 시멘트 혼합하여 합착하고 100% 습도 하에 37도에서 24시간 동안 보관 후 유지력 테스트하였다. 유지 실패가 발생하는 힘을 newton으로 기록하고 실패의 양상 또한 기록하였다. 유지력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ANOVA와 Paired t-test 로 통계분석하였다. Panavia F2.0이 Fujicem과 Maxcem Elit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유지력을 보였다(p<0.05). Sandblasting이 모든 시멘트에서 유의하게 유지력을 증가시켰다(p<0.05). 유지력 실패의 양상은 대부분의 시멘트가 금속 코핑 내부에 남아있는 접착성 실패였다.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Panavia F2.0이 Fujicem이나 Maxcem Elit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유지력을 보였고(p<0.05), Fujicem과 Maxcem Elite는 유지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andblasting처리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지력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임플란트 지대주에 합착된 금속 코핑의 유지력은 표면 거칠기와 시멘트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혼합방법에 따른 캡슐형 광중합글라스아이노머의 공극률 비교 (Comparison of capsule type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porosity according to mixing methods)

  • 김정민;김진우;조경모;이윤;김응현;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4호
    • /
    • pp.217-224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방법에 따른 여러 캡슐형 광중합글라스아이노머의 공극률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캡슐의 종류와 혼합방법을 달리하여 각각 5개의 시편을 제작한다. 광중합글라스아이노머 캡슐로는 Photac Fil Quick Aplicap (PFQ), Fuji II LC CASULE (F2LC)을 사용하였다. 각 캡슐을 rotating 방식인 RotoMix와 shaking 방식인 CM-II로 혼합하였다. 각 시편의 무게와 높이, 반지름을 측정하여 밀도를 구하였다. 그 후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로 스캔하여 시편의 장축을 따라 470개의 단면을 얻은 뒤 3D로 재구성하여 각 시편의 공극률을 측정하였다. 광중합글라스아이노머 캡슐의 종류와 혼합방법이 공극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하였으며, 각 그룹에서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95% 유의수준에서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하였다. 결과: 광중합글라스아이노머 캡슐의 종류와 혼합 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시편에 기포가 전반적으로 존재하였으며, 캡슐의 종류와 혼합방법에 따른 공극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FQ보다는 F2LC에서 공극률이 높았으며, Rotomix 보다는 CM-II에서 공극률이 높았다. 결론: 광중합글라스아이노머 캡슐의 사용 시에 광중합글라스아이노머 캡슐의 종류와 혼합방법에 따라 공극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일한 혼합기계를 사용할 때 PFQ보다는 F2LC에서 공극률이 높으며, 동일한 캡슐을 사용할 때 Rotomix 보다는 CM-II에서 공극률이 높았다. RMGI 캡슐을 혼합할 때 같은 제조회사의 혼합기계를 선택하는 것이 더 적은 공극률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므로 적절한 혼합기계의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CAD/CAM을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지대주의 나사 풀림 토크 평가 (Evaluation of reverse torque value of abutment screws on CAD/CAM custom-made implant abutments)

  • 이창재;양성은;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8-134
    • /
    • 2012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 개발된 맞춤형 임플란트 지대주와 기성 임플란트 지대주의 반복 하중 전과 후의 나사 풀림 토크 값을 측정, 비교하여 나사 결합부 안전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12개의 임플란트 고정체(Implantium, Dentium Co., Seoul, Korea)를 알루미늄 원통에 레진으로 고정하고, 그것을 각각 4개씩, 3개의 군으로 나눠서 각 군별로 기성 티타늄 지대주(Implantium, Dentium Co., Seoul, Korea), 캐드캠 맞춤형 티타늄 지대주(Myplant, Raphabio Co., Seoul, Korea), 그리고 금속 연결부가 있는 캐드캠 맞춤형 지르코니아 지대주(Zirconia Myplant, Raphabio Co., Seoul, Korea)를 제작하여 임플란트에 연결하였다. 금속관은 지대주에 맞춰서 티타늄을 밀링해서 제작한뒤 지대주에 합착하였다. 반복 하중을 가하기 전에 지대주 나사를 30 Ncm 토크로 조이고 약 30분 후 나사의 초기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다. 그 후 반복 하중을 30 N에서 120 N의 싸인 곡선을 이루는 압축력으로 2 Hz의 빈도로 50만 싸이클을 가하고 하중 후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으며, 풀림 토크 상실률을 구하여서 군끼리 비교하였다. 나사의 풀림 토크값의 상실률의 비교를 위해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해서 유의수준 .05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반복하중 후 나사 풀림 상실률에서 기성 티타늄 지대주 군에 비해 맞춤형 티타늄 지대주는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반면, 맞춤형 지르코니아 지대주는 기성 티타늄 지대주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14). 결론: 본 실험의 한계 내에서 캐드캠 맞춤형 티타늄 임플란트 지대주는 기성 임플란트 지대주 에 비해 나사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없다. 반면, 캐드캠 맞춤형 지르코니아 지대주 는 기성 임플란트 지대주에 비해 나사 안정성이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미세입자 분사마모 표면처리가 Fiber-Reinforced Composite 포스트의 굴곡 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irborne-particle abrasion on flexural strength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post)

  • 심은주;김진우;조경모;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24-31
    • /
    • 2016
  • 목적: 미세입자 분사마모 표면처리가 Fiber-Reinforced Composite (FRC) 포스트의 굴곡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두 종류의 FRC 포스트 (DT Light Post, Size 2, Bisco Inc. / RelyX Fiber Post, Size 3, 3M ESPE)를 사용하여 표면처리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표면처리를 위해 $30{\mu}m$ Rocatec Soft와 $50{\mu}m$ aluminum oxide를 사용하였다. 표면처리 후 편평한 5 mm 부분을 만능시험기로 3점 굽힘시험을 시행하여 FRC 포스트의 굴곡강도와 굴곡계수를 측정하고 통계분석하였다. 결과: FRC포스트의 미세입자 분사마모 표면처리가 FRC포스트의 굴곡강도와 굴곡계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임상가들이 FRC포스트에 대하여 미세입자 분사마모 표면처리를 하여도 포스트의 굴곡강도와 굴곡계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접착강도를 높일 수 있을 근거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의 지대치간 거리에 따른 파절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fracture resistance of zirconia on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s based on inter-abutment distance)

  • 박기범;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61-69
    • /
    • 2020
  • 목적: 하악 제2소구치와 제2대구치를 지대치로 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지대치 간 거리가 파절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Cameleon S zirconia block과 Luxen S2 zirconia block으로 각 재료별 지대치 간 거리를 달리 하여 CS군과 S2군으로 나누어 표기하였으며, 소결된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를 임시접착시멘트를 이용하여 에폭시 레진 다이에 합착하였다. 이후, 가공치 교합면에 직경 6 mm 강철구를 위치시켜 로드셀 5.0 kN의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크로스 헤드 속도 1.0 mm/min로 압력을 가하여 파절저항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의 파절저항성은 지대치 간 거리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CS군에서 지대치 간 거리가 15 mm인 경우가 13 mm와 17 mm인 경우보다 파절저항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S2군에서는 파절저항성이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 하악 제2소구치와 제2대구치를 지대치로 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지대치 간 거리는 지르코니아의 종류에 따라 파절저항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치아 부위에 따른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강도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ceramic crowns according to tooth position)

  • 이인섭;김정미;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4-100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악과 하악의 각 치아부위에 $Lava^{TM}$ All-Ceramic System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제작하고 각각의 파절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중절치와 견치는 절단연의 삭제량을 2.0 mm, 소구치와 대구치는 교합면의 삭제량을 1.5 mm, 그리고 축면 경사도는 $8^{\circ}$로하여모두8군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금속 다이와 지르코니아 도재관을 제작한 후 레진시멘트 (Rely $X^{TM}$ Unicem)를 이용하여 합착하고 만능시험기상에서 치아 장축에 $30^{\circ}$경사지게 하여 중절치와 견치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절단연 중앙 부위에 하중을 가하였고, 소구치와 대구치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기능교두의 협설측 경사면 중앙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 후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1.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평균 파절강도는 하악 제1대구치에서 2963 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악 중절치에서 1035 N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지르코니아 도재관과 IPS Empress 도재관과의 평균 파절강도는 모든 치아에서 지르코니아 도재관이 더 크게 나타났다. 3.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 양상은 하중이 가해진 중앙 부위에서 치아 장축으로 수직적인 파절상을 보였다. 4. 상악과 하악의 동일 부위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강도는 소구치에서 상악이 하악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 .05),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5). 결론: 본 실험의 결과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임상에서 활용하기에 만족할 만한 강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치 유도각의 인위적 증가에 의한 저작근과 하악 운동 양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THE CHANGES OF THE MASTICATORY MUSCLES AND THE MANDIBULER MOVEMENT EFFECTED BY INTENTIONAL INCREASE OF ANTERIOR GUIDANCE ANGLE)

  • 이용식;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5-257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hanges of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e masticatory muscular activities -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of both side - reflected by intentional increase of anterior guidance angie. For this study, 5 volunteers (3 males and 2 females with average age of 24.0) were selected. Each volunteer had Angle's classification I and did not have any missing tooth except third molar and any extensive restorations. Metallic guide plate was made at volunteer's working model fabricated by improved dental stone and cemented to the palatal surfac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resin cement(Panavia $21^{(R)}$) and then adjusted not to give any occlusal interferences at intercuspal position. The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s and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were recorded by EMG and Sirognathograph in Biopak analysing system(Bioresearch Inc., Milwaukee, Wisconsin, USA). Measurement was done at before experiment, immediatley after placement, 1 week after placement, immediately after removal, and 1 week after remov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derate phonetic disturbance and mild headache were occured to 3 volunteers for 2 days after setting and 1 volunteer had positive reaction to percussion and slight midline diastema. But all of these clinical signs were diappeared 1 week after removal and the other volunteer did not have any special clinical sign. 2. In the EMG of the mandibular rest position, the mean value of anterior tempotal muscle wa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placement(p<0.01) and then de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p<0.05) and increased 1 week after removal(p<0.05) but not recovered as before experiment. The mean value of masseter muscle was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3. In the EMG during mandibular protrusive movement, all muscular activity was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Reduced activity was not recovered 1 week after removal(p<0.03). 4. During the habitual opening, anteroposterior movement of mandible wa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placement(p<0.05) and then in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Vertical movement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p>0.1). Lateral movement wa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placement(p<0.05) and then in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 but not recovered as before exper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of mandible was shown minor chang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During the habitual opening, anteroposterior movement of mandible was de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p<0.05) and then increased immediately after removal and recovered 1 week after removal as before experiment. Vertical movement was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Lateral displacement of mandible was increased continuously and recovered 1 week after removal. Opening velocity was temporari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removal but recovered and closing velocity was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6. During the right side chewing, anteroposterior movement of mandible wa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removal but recovered and vertical movement was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Lateral displacement and velocity of mandible were not shown significant results. 7. During the left side chewing,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pattern were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