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andpiec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19초

상악동의 실험병소에 관한 X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THE EXPERIMENTAL LESIONS IN THE MAXILLARY SINUS)

  • 이주현;황의환;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4권1호
    • /
    • pp.115-12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epresentation of a globular radiopaque mass on the pantomograms and Waters' views and to compare the efficacy of periapical radiograms, pantomograms and Waters' views in detection of defects on the internal walls of the maxillary sinu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dried human skull. For the study of difference of radiopaque mass shadow in the two views, rubber ball with a diameter of 10㎜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lesion. It was placed successively on the internal wall of the anterior, posterior, medial, lateral walls and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To examine the detectability of defects for radiographic techniques, defects were formed in the anterior, posterior, medial, lateral walls, and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They were formed with 0.5㎜, 0.75㎜, 1.0㎜, 2.0㎜ and 3.0㎜ sized steel round burs with a slow speed dental handpiece. By subsequently plugging the holes with zinc oxide eugenol paste, radiopaque defects were produced. After that the periapical radiograms, the pantomograms and the Waters' views were taken each and every defec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Rubber balls placed on each intern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were correctly depicted on the posterior wall and the floor in case of the pantomogram, and on the anterior wall and the medial wall in case of the Waters' view. 2. On the detectability of defects for each radiographic technique, radiolucent defects were detected in different places for each technique. Periapical radiogram could detect 1.0㎜ defect on the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pantomogram could detect 2.0㎜ defect on every intern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and Waters' view could detect 3.0㎜ defect on the anterior wall of the maxillary sinus. 3. On the detectability of defects for each radiographic technique, radiopaque defects were detected in different places for each technique. Periapical radiogram could clearly detect 0.5㎜ defect on the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pantomogram could detect 0.5㎜ defect on every intern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and finally Waters' view could detect 0.5㎜defect on the anterior wall of the maxillary sinus but 0.75㎜ defect on the anterior wall, lateral wall and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As the result, the periapical radiogram is the most simple and satisfactory method for investigating in the maxillary sinus. The pantomogram is suitable method for screening of changes in the maxillary sinus. And the Waters' view is available for detect of lesion in the anterior wall of the maxillary sinus. For the purpose of accurat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lesion in the maxillary sinus, these techniques supplement each other.

  • PDF

도말층 제거와 상아질의 부위가 치수강 내부 상아질에 대한 수종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성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EAR LAYER REMOVAL AND POSITION OF DENTIN ON SHEAR BOND PROPERTIES OF DENTIN BONDING SYSTEMS TO INTERNAL CERVICAL DENTIN)

  • 임연아;유영대;이용근;이수종;임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3호
    • /
    • pp.465-472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hear bond properties of four dentin bonding systems to internal cervical denti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etreatment for removing smear layer and position of dentin on shear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agents. The materials test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commercially available dentin bonding systems[Allbond 2(AB), Clearfil Linerbond 2(CL), Optibond FL(OP), Scotchbond Multi-purpose(SB)], a restorative light-cured composite resin[Z100]J and a chelating agent[RC-prep(RC)]. Fifty-six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Dentin specimens were prepared by first cutting the root of the tooth 1mm below the cementoenamel junction with a diamond bur in a high speed handpiece under air-water coolant, and then removing occlusal part at pulp horn level by means of a second parallel section, The root canal areas were exposed by means of cutting the dent in specimens perpendicular to the root axis. Dentin specimen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pretreated group, not-pretreated group) based on the pretreatment method of dentin surface. In pretreated group, RC was applied to dentin surface for 1minute and then rinsed with NaOCl. In not-pretreated group, dentin surface was rinsed with saline Each groups were subde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dentin bonding systems. Four dentin bonding systems and a restorative resin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manufacturer. The dentin-resin specimens were embedded in a cold cure acrylic resin, and were cut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o the dimension of $1{\times}1mm$. The cut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internal cervical dentin. The shear bond properties of dentin-resin specimens were measured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020, Germany) with the cross head speed of 0.5mm/min.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case of shear bond streng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entin bonding systems in not-pretreated groups, whereas in pretreated groups, the shear bond strengths of AB and of SB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L and of OP. 2. The shear bond strengths of AB and of SB in pre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not-pretreated groups. 3. The shear bond strengths of radicular layer of OP were higher than those of occlusal layer of OP in not-pretreated groups, and of AB in pretreated groups. The shear bond strengths of radicular layer of AB and of CL in not-pretreated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pretreated group.

  • PDF

아말감 수복시(修復時) Cavity varnish와 Bonding agent 도포(塗布)에 따른 접합성(接合性)에 관(關)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MARGINAL ADAPTIBILITY IN APPLYING THE CAVITY VARNISH AND DENTIN BONDING AGENT IN AMALGAM RESTORATIONS)

  • 김석훈;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107-119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adaptability of the amalgam restorations in applying the cavity varnish (Copalite$^{(R)}$) and dentin bonding agent (Scotchbond 2$^{(R)}$)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is study, eighteen sound extracted human molars were selected. Class I cavities in 12 teeth and class V cavities in 6 teeth were prepared using an air turbine with No. 701 tungsten carbide bur and finished using a low speed handpiece with No. 557 fissure bur. The prepared specimens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4 class I cavities and 2 class V cavities in each group and restored as follows ; Group I. All the prepare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only (Control). Group II. Two layers of Copalite$^{(R)}$ cavity varnish were applied to the cavities with a gentle stream of air after each application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Group III. The enamel cavity margins were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gel for 60 sec., rinsed for 30 sec. and dried. One layer of visible lightcured Scotchbond Dental Adhesive$^{(R)}$ was applied and immediately cured for 20 seconds with visible light-cure unit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All the specimens were cut at the neck of the teeth and the occlusal halves of specimens were sectioned buccolingually in the longitudinal axis centering the amalgam restorations, using the disk. The cut specimens were ground with sandpapers (400, 600, 800, 1000 grit), and cleaned for 5 minutes in the ultrasonic cleaner (Brason Co. U.S.A.). In the cut surfaces, the amalgam - tooth interfaces were examin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 35C type, JEO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malgam-tooth interfaces were reduc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palite$^{(R)}$ and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In the class I cavities, the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showed the findings similar to the Copalite$^{(R)}$ application group in the cavity floor, and the marginal adaptability was better in the side wall than in the cavity floor. 3. In the class I cavities, the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showed better marginal adaptability in the occlusal margin than in the gingival margin. 4. The marginal adaptability was in the order of the Scothbond 2$^{(R)}$ application group, the Copalite$^{(R)}$ applic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PDF

치면열구전색제의 광중합 후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미반응 모노머 용리 비교 (COMPARISON OF MONOMER RELEASE FROM PIT AND FISSURE SEALANT FOLLOWING VARIOUS SURFACE TREATMENT)

  • 이상우;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치면열구전색제 중합 후 표면의 미반응 모노머 층을 임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를 정량분석 함으로써 미반응 모노머의 제거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표면처리 방법에 따라 광중합 후 표면을 어떤 처리도 시행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 증류수로 10초간 세척한 군을 I군(Group I), 75% 알콜에 젖은 면구로 10초간 문지른 군을 II군(Group II),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하여 10초간 처리하고 증류수로 가볍게 세척한 군을 III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표면처리 후 각각의 시편을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37^{\circ}C$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보관한 후 각각의 용리액을 HPLC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군과 표면처 리를 시행한 모든 군에서 TEGDMA를 제외한 어떠한 모노머들도 검출되지 않았다. 2. 표면처리를 한 모든 군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용리되는 모노머량이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다(P<0.05). 3.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해 표면처리한 군에서 잔존 모노머 제거효과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 PDF

두 가지 임플란트 드릴 조합에 따른 온도 변화 및 효율 비교 (Temperature change and performance of bur efficiency for two different drill combinations)

  • 황보흥;박재영;이상윤;손큰바다;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43-151
    • /
    • 2022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다른 임플란트 드릴 조합을 사용하여 열 발생과 드릴링 시간에 따른 성능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소갈비뼈를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표본을 시험하기 위해 소의 뼈에서 근막 및 근육을 제거하고 드릴링 영역 주위에 온도 센서를 장착했고, 드릴링 후 온도 및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이니셜 드릴 전에 사용하는 드릴에 따라 가이드 드릴 사용 그룹과 린드만 드릴 사용 그룹으로 나누었다. 가이드 드릴 사용 그룹의 드릴 사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guide drill (ø 2.25), initial drill (ø 2.25), twist drill (ø 2.80), 그리고 twist drill (ø 3.20). 린드만 드릴 사용 그룹의 드릴 사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Lindmann drill (ø 2.10), initial drill (ø 2.25), twist drill (ø 2.80), 그리고 twist drill (ø 3.20). 통계적 분석은 Mann-Whitney U test 및 Friedman test를 이용하여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α = .05). 결과: 가이드 드릴 사용 그룹의 각 시편에 대한 평균 성능 효율은 0.3861 - 1.1385 mm3/s 범위를 보였고, 린드만 드릴 사용 그룹의 평균 성능 효율은 0.1700 - 0.4199 mm3/s를 보였다. 가이드 드릴을 사용한 드릴 조합은 드릴링 시간으로 계산했을 때 우수한 성능 효율을 보였다 (P < .001). 결론: 가이드 드릴 사용 그룹이 린드만 드릴 사용 그룹보다 우수한 성능 효율을 보였기 때문에, 1차 드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드릴의 사용이 더욱 적합하였다.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로 인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에 관한 연구 (Study of heat transfer to the implant-bone interface induced by grinding of occlusal surface of implant gold prosthesis)

  • 조재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5
    • /
    • 2012
  • 연구 목적: 임플란트-골 계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은 골유착을 저해하여 임플란트의 실패를 유발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 양상과 냉각 방식의 효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온도 감지 장치 제작을 위하여 Internal cone 연결형태의 임플란트에 16개의 K형 열전대를 부착하여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치과용 금 합금과 주조용 abutment를 사용하여 교합면에 3개의 요철을 가지는 시편을 10개 제작하였고, 연결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와 연결한 뒤 온도 감지 장치를 $37^{\circ}C$ 유지되는 수조에 위치시켰다. 저속 핸드피스와 green stone bur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보철물의 요철을 삭제하였는데, 무냉각군, 공기 냉각 군, 물 분사 냉각 군으로 나누어 요철을 삭제하였다. 보철물이 삭제 되는 동안 임플란트의 부위별로 온도가 0.05초 간격으로 기록되었고, 삭제를 멈춘 뒤에도 무 냉각 군의 경우 임계 온도인 $47^{\circ}C$ 이하로 온도가 하강할 때까지, 공기 냉각군과 물 분사 냉각군의 경우 삭제 중단 후 30초 동안 추가로 온도를 기록하였다. 냉각 방식에 따른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를 알아보고, 임플란트의 부위별 온도변화의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Turkey HSD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사후 검증하였다. 결과: 무 냉각 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circ}C$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유의하게 높은 열이 측정되었다(P>.05). 공기냉각군과물분사냉각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circ}C$ 이하로 유지되었다. 무 냉각 군에서 임플란트 경부의 온도가 $47^{\circ}C$에 도달되는 데는 약 $10.8{\pm}1.5$초가 소요되었다. 공기 냉각 군과 물 분사 냉각 군 사이에서는 임플란트-골 계면 온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 시,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임계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냉각 방식은 공기 냉각과 물 분사 냉각 모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Mineral trioxide aggregate, calcium sulfate와 calcium hydroxide의 치수에 대한 반응 (Pulp Response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Calcium Sulfate or Calcium Hydroxide)

  • 윤영란;양인석;황윤찬;황인남;최홍란;윤숙자;김선헌;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95-101
    • /
    • 2007
  • 개의 치수에 MTA, calcium hydroxide 및 calcium sulfate로 치수복조 후 치수 반응을 서로 비교하여 MTA와 calcium sulfate가 임상적으로 치수복조제로서 사용 가능할 것인가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8개월 된 2마리 개의 24개의 치아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전신 마취하에 고속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멸균된 #2 round bur로 치경부에 와동을 형성한 후 치수를 노출시켰다. MTA, calcium hydroxide 및 calcium sulfate를 치수노출부에 도포하였다. 와동 부위는 IRM으로 가봉하고 광중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처리 2개월 후, 전신 마취하에 희생시킨 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MTA처리군에서는 치수 노출부위에 경조직의 상아질교가 형성되었으며 새로 형성된 상아질교 하방에 조상아세포가 새로 형성되었다. 치수충혈과 함께 국소적 인 혈관 증식 이 나타났으며 치수에 염증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Calcium hydroxide로 처리한 군은 상아질교 하방에 조상아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만성 염증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Calcium sulfate로 처리한 군은 경조직의 상아질교가 관찰되었으며, 상아질교 하방에 조상아세포 층이 새로 관찰되었다. 몇몇의 중성구 침윤과 함께 미약한 정도의 만성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MTA가 calcium hydroxide및 calcium sulfate에 비해 치수에 생체친화적임을 시사하며 기계적 치수노출시 치수복조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