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arch siz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초

Clinical Validity of Tooth Size Measurements Obtained via Digital Methods with Intraoral Scanning

  • Mohammed, Alnefaie;Sun-Hyung, Park;Jung-Yul, Cha;Sung-Hwan, Choi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32-140
    • /
    • 2022
  • Purpose: Dental diagnostic records derived from study models are a popular method of obtaining reliable and vital information. Conventional plaster models are the most common method, however, they are being gradually replaced by digital impressions as technology advances. Moreover,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dental offices, and various methods are available for obtaining them.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dental digital models by comparing them with conventional plaster and to determine their clinical valid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6 patients'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al models. Tooth size (TS), intercanine width (ICW), intermolar width (IMW), and Bolton analysis were taken by using a digital caliper on a plaster model obtained from each patient, while intraoral scans were manually measured using two digital analysis software.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ental measurements of the three methods.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between the TS, the ICW and IMW, and the Bolton analysis through the conventional and two digital groups. Conclusion: Measurements of TS, arch width, and Bolton analysis produced from digital models have shown acceptable clinical valid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hree dental measurement techniques.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키와 치열궁 계측치에 관한 연구 (Tooth size and arch parameters of normal occlusion in a Iarge Korean sample)

  • 이신재;문성철;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73-48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 크기와 치열궁 척도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96명(남자 179명, 여자 117명)의 정상교합자 모형을 분석하였는데, 이 정상교합자 표본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시행된 대규모의 구강 검진 사업에 대상이 되었던 15,836명의 성인 중에서 선발되었다. 0.01mm정밀성을 보이는 슬라이딩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치아의 근원심 폭경과 치열궁 폭경, 치열궁 기저부 폭경 및 치열궁 장경을 측정하였으며, 구치부 폭경 비율과 Bolton의 지수를 도출하였다. 계측의 신뢰성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면밀히 고려하였으며, 측정시의 실험자내 및 실험자간의 신뢰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료의 신뢰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측정된 자료에서는 명백한 성차가 다시금 확인되었다. 20년전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각종의 선형 계측치의 경우 명백한 성차 및 인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각종 비율 척도의 경우 성별 및 인종에 상관없이 같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임상적으로 부정교합 환자에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 Digitally Designed All-on-4 Restoration with Screwmentable Concept

  • Park, Koungjin;Han, Jung-Suk;Lee, Jae-Hyu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84-91
    • /
    • 2022
  • An all-on-4 restoration allows edentulous patients to use a fixed prosthesis with a minimum number of implants. These implant-supported fixed complete dentures have traditionally been fabricated as screw-retained or cement-retained prosthes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assively fit the long-span full-arch prosthesis using the screw-retained type restoration, and predictable retrievability is not obtained with the cement-retained type.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prosthesis fabricat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two retention types. The screwmentable method allows the implant-supported fixed complete denture to achieve a passive fit at the connection with retrievability. In addition, a framework with an optimized size was designed by using digital dental technology.

금관 가공의치에서의 대구치 지대치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A MORPHOLOGIC STUDY ON MOLAR ABUTMENT DIES)

  • 정헌영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0
    • /
    • 1995
  • Abutment dies which resemble the actual size and shape of crown abutment is essential in most of the research area of fixed prosthodontics like marginal accuracy, crown seating, behavior of luting agent and so on. Seeing the large portion of research is done with round shaped dies in different size and cone angl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rown abutment is self-evident. 500 molar abutments were collected randomly through the commercial dental laboratoy, regrdless of their position in the dental arch, sex, and age. The measurements of 22 points of a die were done, and the results were as fogbows : 1. The height of the molar dies was $3.9{\pm}1.2mm$ 2. The bucco-lingual width was $8.9{\pm}1.2mm$ at the base, and $7.4{\pm}1.2mm$ at the occlusal. 3. The desio-sistal width was $8.2{\pm}1.2mm$ at the base, and $7.0{\pm}1.3mm$ at the occlusal.

  • PDF

Pont 지수의 임상적 적합성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f the adequacy of pont's index)

  • 김성훈;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6
    • /
    • 2000
  • 치열궁의 확장은 치아의 총생 부정교합을 비발치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이며, 치열궁 확장의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상악절치의 근원심 폭경으로부터 이상적인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과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공식이 제시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시된 공식중에서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들의 예측식을 정상교합의 계측과 비교하고, 이들 예측식의 임상적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13세에서 23세사이의 한국인 태생 정상교합자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으며, 정상교합의 절치폭경의 합을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 들의 예측식에 대입하여 이상적 제1소구치간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이를 정상교합자의 그것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으로부터 산출된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지수는 81.96이었고,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 지수는 62.55이었다. 2.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과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PmW)사이의 상관계수는 0.50이었고,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MW)사이의 상관계수는 0.39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저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제1소구치간 폭경과 제1대구치간 폭경의 예측을 위한 상관식은 신뢰성이 매우 낮았다 ($r^2\;=\;0.25,\;r^2\;=\;0.15$). 4.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에 있어서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실제보다 크게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Cha 들의 예측식은 보다 크거나 작게 예측되는 비율이 같았다. 5.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 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들의 예측식이 가장 높으며 ($45\%$), Pont의 예측식과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40\%$$39\%$ 이었다. 5. 이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에 있어서 모든 예측식은 작게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Cha 들의 예측식은 예측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7 이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 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 들의 예측식이 $40\%$ 로 가장 높으며,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29\%$$13\%$ 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상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것은 임상적 신뢰성이 낮을 것임을 시사한다.

  • PDF

안골격형과 교합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S AND DENTAL OCCLUSION)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198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ocument relati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occlusion.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pretreatment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study models of patients' records present in the files of Orthodontic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 mandibular plane-sella nasio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38^{\circ}$ (high SN-MP angle) or equal to or less than $26^{\circ}$ (low SN-MP angle). Patients in the mixed dentition and with missing permanent teeth were excluded for ease of assessing tooth size / arch circumference relationships and then 30 high SN-MP and 11 low SN-MP patients were selected among them. The mean age of these two groups of patients was high SN-MP, $12.8{\pm}1.23$ years and low SN-MP, $13.0{\pm}1.48$ yea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tooth size of high SN-MP patients was nearlly identical to the low SN-MP patients. 2. The mean maxillary arch circumference was increased in low SN-MP group compared with high SN-MP group and a smilar, but smaller, mean increase was present in mandible.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maxillary circumference required and the mean maillary circumference present ranged from -4.8mm in the high SN-MP group to -1.3mm in the low SN-MP group. A small range of means occurred in the mandible (high SN-MP: -4.0mm to low SN-MP: -1.8mm). 4.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arch length was nearly identical in the high and low SN-MP groups. 5. The mean incisor inclination was increased as the SN-MP angle decreased in the maxilla and mandible. 6. The men distanc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from anterior border of the pterygomaxillary fissure was nearly similar between high and low groups. 7. The mean mandibular intermolar width was increased from high SN-MP to low SN-MP patients.

  • PDF

전악인상채득시 인상재가 경석고 모형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MPRESSION MATERIALS ON THE ACCURACY OF THE STONE CASTS POURED FROM COMPLETE ARCH IMPRESSION)

  • 이수영;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7-218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oducing accuracy of stone casts made from complete arch impressions using different impression materials. The impression materials studied were 1) polyether, 2) polysulfide, 3) polyvinyl siloxane, and 4)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s were made from a partially edentulous acrylic resin model with metal inserts in canine, first molar region bilaterally and mid palatal vault region. Each distance between 2 out of 5 meauring points was measured by using 3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Impressions were poured at once with a type IV dental ston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with a sample size of six.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Polysulfide and polyether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polyvinyl siloxane and irreversible hydrocolloid in reproducing full arch model(p<0.05),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mount of dimensional reproducing accuracy for full arch impression between polysulfide and polyether(p>0.05). 2.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mount of dimensional reproducing accuracy between edentulous area and tooth bound area for polysulfide and polyether(p<0.05).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polyvinyl siloxane and irreversible hydrocolloid(p>0.05).

  • PDF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적합도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Fitness of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 김민정;오상천;동진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1권1호
    • /
    • pp.83-93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itness of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The size and shape of these trays were designed from the results of the dental arch size of Korean adults. Tray samples were made by CAD-CAM working. A hundred dental students(male:50, female:50) were selected for taking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using these trays. The author measured the width and length of impression material on the several measuring poin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Uniform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was achieved by controlling the width of the tray using stops and beveled guides. 2. In the upper tray, the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was measured to be rather great showing thickness of the labial vestibule 8.3 mm and the midpalatal part 8.6 mm. 3. In the lower tray, length of the impression material of the labial vestibule of first, second premolar contact point was 7.8 mm, and thickness of the lingual part of premolars(1.8 mm) and molars(1.9 mm) showed small values. 4. In the lower tray, the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of the buccal shelf area(0.2 mm) and the retromolar pad area(0.6 mm) was measured to be too small.

구개의 크기 및 용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AND VOLUME OF THE PALATE)

  • 백병주;김미라;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7-40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유치열기 아동, 영구치열기의 구개의 폭, 길이, 구개의 용적, 구개 용적과 구개면적의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여 남녀간의 차이, 유치열과 영구치열과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구개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정상교합의 유치열기 아동(Hellman dental age II A)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과 영구치열기의 성인(Hellman dental age IV A) 86명(남자 43명, 여자 43명), 총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한 상악의 석고모형을 이용하였다. 3차원 laser scanner(DS4060, LDI, U.S.A.), cloud data를 이용하여, polygonization, section curve와 loft surface, 표준평면, 수직평면 등을 얻은 후에 구개용적, 구개의 폭, 구개의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Surfacer 10.0, Imageware, U.S.A). 상수의 결정을 위해 유치열, 영구치열을 남녀별로 구분하여 결과를 구하였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표준평면과 각 치아, 치아 및 구개사이의 측정점들간의 거리는 영구치열에서 더 멀었다. 2. 영구치열에서의 구개용적이 유치열에서 보다 3배이상 컸으며 특히 영구치열에서는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측정되었다(p<0.05). 3. 구개폭은 유치열과 영구치열에서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지만 구개길이는 영구치열에서만 유의성 있게 컸다(p<0.05). 4. 유치열과 영구치열,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후구개폭과 총구개길이가 이루는 면적 이 구개용적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0.401, r=0.450, r=0.678, r=0.654).

  • PDF

한국인 성인의 정상 치열궁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RMAL DENTAL ARCH FORM OF KOREAN ADULT)

  • 정하익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3
    • /
    • 1972
  • 정상 치열궁에 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시행되어온 바 학자들 간에는 아무런 일관성이 없다는 의견과 치열궁을 대표할 만한 기하학적 곡선이 존재한다는 의견이 상충되어 왔다. 그중 후자의 이론이 지배적인 것으로 보이나 그 중에서도 곡선의 형태에 관하여서는 다시 많은 논란이 있었다. Bonwill과 Hawley등에 의한 Circle론, Black의 반타원론, Angle의 포물선론, 이외에도 많은 의견이 있는 가운데 저자는 정상교합을 유지하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Bonwill과 Hawley의 이론을 기초로 한 연구를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을 유지하는 한국인 성인의 치열은 전치에 있어서 원호에 근사한 배열을 갖는다. 2. 원의 지름은 6전치의 폭경의 합에 대하여 다양하므로, 전치 배열이 치아의 크기에 엄격히 연관됐다고 단정 할 수는 없다. 3. 그러나 6전치 폭경의 합에 대한 원의 지름의 비율은 그 평균치가 상하악 모두 1 : 1에 매우 근접하고 이 사실은 Bonwill의 결론에 부합한다. 4. 견치간 폭경과 구치간 폭경은 육전치의 합에 대한 비율이 상하악에 있어서 그 형태가 다름에 따라 상이하나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