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mplant System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4초

지르코늄 임플란트 지대주의 나사결합부 안정성에 관한 연구 (Screw Joint Stability under Cyclic Loading of Zirconia Implant Abutments)

  • 이미순;서규원;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4-173
    • /
    • 2009
  • 연구 목적: 심미적 장점을 지닌 지르코니아 지대주와 금속 지대주 사이에 반복 하중 전, 후의 풀림 회전력을 비교하여 지대주 재질에 따른 나사 안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군은 크게 외측 연결 구조(US II, Osstem Implant, Korea)와 내측 연결 구조(GS II, Osstem Implant, Korea)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두 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군에서 지르코니아 지대주군와 금속 지대주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군당5개씩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를 별도 제작된 지그에 고정시킨다. 디지털 토크게이지를 이용하여 30 Ncm의 조임 회전력을 가하고 10분 후 동일 조임 회전력을 한번 더 적용하였다. 다음 각 지대주 나사의 초기 풀림 회전력을 디지털 토크게이지로 측정하였다. 동일 시편을 다시 30 Ncm의 조임 회전력을 가하여 체결한 후, 유압식 동적 재료시험기(Instron, USA)에 임플란트 매식체를 치과용 임플란트 피로시험에 관한 ISO/FPIS 14801:2003(E)규정을 참고하여 고정시켰다. 최소 하중은 10 N, 최대 하중은 250 N의 sine형 반복 하중을 $30^{\circ}$의 경사각도로, 하중 주기는 14 Hz로, 100만 회의 반복 하중을 적용한 후 풀림 회전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1. 모든 시스템에서 지대주 나사의 풀림 회전력이 조임 회전력 보다 감소하였으나, 나사 풀림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2. 반복 하중 전과 후의 나사 풀림 회전력은 두 임플란트 시스템 모두에서 지르코니아 지대주가 금속 지대주보다 더 컸다(P<.05). 3. 반복 하중에 따른 풀림 회전력 상실률은 두 임플란트 시스템 모두에서 지르코니아 지대주와 금속 지대주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4. 금속 지대주에서 반복 하중에 따른 풀림 회전력 상실률은 내측 연결 형태의 GS II 시스템이 외측 연결형태의 US II 시스템보다 작았다(P<.05). 5. 지르코니아 지대주에서는 반복 하중에 따른 풀림 회전력 상실률은 두 임플란트 시스템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본 실험을 통해 100만회 반복 하중 하에서 지르코니아 지대주가 금속 지대주에 비해 나사 결합부 안정성이 더 크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Accuracy of a direct drill-guiding system with minimal tolerance of surgical instruments used for implant surgery: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 Lee, Du-Hyeong;An, Seo-Young;Hong, Min-Ho;Jeon, Kyoung-Bae;Lee, Kyu-Bo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3호
    • /
    • pp.207-213
    • /
    • 2016
  • PURPOSE. A recently introduced direct drill-guiding implant surgery system features minimal tolerance of surgical instruments in the metal sleeve by using shank-modified drills and a sleeve-incorporated stereolithographic guide templ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is new guided surgery system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using geometric analyse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study, 21 implants were placed in 11 consecutive patients using the direct drill-guiding implant surgery system. The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 was fabricat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digital scanning,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ssisted manufacturing, and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After surgery, the positional and angular deviations between planned and placed implants were measured at the abutment level using implant-planning software. Th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deviations (${\alpha}=.05$). RESULTS. The mean horizontal deviations were 0.593 mm (SD 0.238) mesiodistally and 0.691 mm (SD 0.344) buccolingually. The mean vertical deviation was 0.925 mm (SD 0.376) occlusogingivally. The vertical devia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horizontal deviation (P=.018). The mean angular deviation was 2.024 degrees (SD 0.942) mesiodistally and 2.390 degrees (SD 1.142) buccolingually. CONCLUSION. The direct drill-guiding implant surgery system demonstrates high accuracy in placing implants. Use of the drill shank as the guiding component is an effective way for reducing tolerance.

Effects of crown retrieval on implants and the surrounding bone: a finite element analysis

  • Ozkir, Serhat Emre;Unal, Server Mutluay;Yurekli, Emel;Guven, Seda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2호
    • /
    • pp.131-136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stress concentration in the implant, the surrounding bone, and other components under the pull-out force during the crown removal. MATERIALS AND METHODS. Two 3-dimensional models of implant-supported conventional metal ceramic crowns were digitally constructed. One model was designed as a vertically placed implant ($3.7mm{\times}10mm$) with a straight abutment, and the other model was designed as a 30-degree inclined implant ($3.7mm{\times}10mm$) with an angled abutment. A pull-out force of 40 N was applied to the crown. The stress values were calculated within the dental implant, the abutment, the abutment screw, and the surrounding bone. RESULTS. The highest stress concentration was observed at the coronal portion of the straight implant (9.29 MPa). The stress concentrations at the cortical bone were lower than at the implants, and maximum stress concentration in bone structure was 1.73 MPa. At the abutment screws, the stress concentration levels were similiar (3.09 MPa and 3.44 MPa), but the localizations were different. The stress at the angled abutment was higher than the stress at the straight abutment. CONCLUSION. The pull-out force, applied during a crown removal, did not show an evident effect in bone structure. The higher stress concentrations were mostly observed at the implant and the abutment collar. In addition, the abutment screw, which is the weakest part of an implant system, also showed stress concentrations. Implant angulation affected the stress concentration levels and localizations. CLINICAL IMPLICATIONS. These results will help clinicians understand the mechanical behavior of cement-retained implant-supported crowns during crown retrieval.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hydrophilic tapered implant placement at maxillary posterior area: 6 weeks and 12 weeks loading

  • Kim, Seong-Beom;Yun, Pil-Young;Kim, Sang-Yun;Yi, Yang-Jin;Kim, Ji-Yun;Kim, Young-Ky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5호
    • /
    • pp.396-403
    • /
    • 2016
  • PURPOSE. Early loading of implant can be determined by excellent primary stability and characteristic of implant surface. The implant system with recently improved surface can have load application 4-6 weeks after installing in maxilla and mandibl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healing period to the stability of hydrophilic tapered-type implant at maxillary posterior ar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 patients treated by hydrophilic tapered-type implants (total 41 implants at maxilla) and classified by two groups depending on healing period. Group 1 (11 patients, 15 implants) was a control group and the healing period was 12 weeks, and Group 2 (19 patients, 26 implants) was test group and the healing period was 6 weeks. Immediately after implant placement, at the first impression taking, implant stability was measured using Osstell Mentor. The patients also took periapical radiographs after restoration delivery, 12 months after restoration and final followup period. The marginal bone loss around the implants was measured using the periapical radiographs. RESULTS. All implants were survived and success rate was 97.56%. The marginal bone loss was less than 1mm after 1 year postoperatively except the one implant. The stabilities of the implants were not correlated with age, healing period until loading, insertion torque (IT), the diameter of fixture and the location of implant. Only the quality of bone in group 2 (6 week) was correlated with the stability of implant. CONCLUSION. Healing period of 6 weeks can make the similar clinical prognosis of implants to that of healing period of 12 weeks if bone quality is carefully considered in case of early loading.

원광대학교 산본치과병원에서 770명의 환자에 식립한 2158개의 골유착성 임플란트의 보철 전 초기 생존율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survival rate of 2158 osseointegrated implants placed in 770 patients in Sanb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 선화경;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278-288
    • /
    • 2014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및 하악의 완전 무치악 및 부분 무치악 부위에 식립된 골유착성 임플란트의 보철 전 초기 생존율 및 생존과 관련된 요소를 평가하고 실패를 야기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4년부터 2013년까지 770명의 환자에서 총 2158개의 골내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임플란트의 소실과 환자의 연령 및 성별, 식립 위치, 임플란트 시스템, 길이 및 직경, 그리고 골이식 방법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적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라 상악 전치부에서 98.23%, 상악 구치부 96.97%, 하악 전치부 97.85%, 하악 구치부 98.75%의 임플란트 생존율을 보였다(P < 0.05). 임플란트의 종류 및 표면처리 기법은 임플란트 생존율과 특이성을 보이지 않았다.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에 따라 3.0 mm 이하의 임플란트에서 100%, 3.0 - 3.5 mm 97.09%, 3.5 - 4.0 mm 98.19%, 4.0 - 4.5 mm 98.29%의 생존율을 보였고, 5.0 mm 이상의 직경을 가진 넓은 폭경의 임플란트에서 75%의 비교적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P < 0.05). 임플란트 매식체의 길이에 따라 9 - 11 mm 및 11 - 13 mm의 길이를 가진 임플란트에서 각각 98.12% 및 98.17%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가지진 못하였다. 골이식술의 방법에 따라 상악동 골이식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부위에서 임플란트 생존율은 89.05%, 골유도 재생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 98.28%, 상악동 골이식술과 골유도 재생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 98.34%, 골이식술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99.28%의 생존율을 보였다(P < 0.05). 결론: 이번 연구에서 임플란트 식립 후 최종 보철물 시적 전 초기단계에서의 임플란트 생존율은 임플란트의 식립위치,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그리고 골이식 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각각 상악 구치부, 5.0 mm 이상의 넓은 임플란트, 그리고 상악동 골이식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부위에서 현저하게 낮은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ntal CAD-CAM system을 통한 고정성 전악 임플란트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via dental CAD-CAM system)

  • 홍정민;한중석;윤형인;여인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97-106
    • /
    • 2021
  • 임플란트를 사용한 수복치료에서는 보철물을 위한 이상적인 위치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한다. 치조골이 부족한 환자의 경우에는 최종 보철물을 위한 적절한 연조직 및 경조직 지지를 얻기 위해서 수술적인 처치를 포함한 구강내 처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CAD-CAM 기술을 활용한 보철물 설계는 위와 같은 수술적 처치의 필요성에 대해 임상가가 사전적으로 평가해볼 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해준다. 본 증례에서는 CAD-CAM system을 통해 환자의 치료 전 구내상황, 수술적 처치에 대한 예상, 일련의 임시 보철물을 반영하여 최종 보철물을 계획하고 제작하였다. 최종 보철물을 반영하여 제작한 수술용 가이드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함과 동시에 치조골 증대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CAD-CAM을 활용하여, 맞춤형 지대주와 1차 및 2차 잠정 수복물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으며, 환자의 구내에서 평가를 거친 2차 잠정 보철물과 동일한 형태의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저작, 발음, 심미 기능에 있어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완전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 및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Sinus floor elevation and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in the posterior area, with full-digital system: a case report)

  • 박강수;김선재;표세욱;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57-164
    • /
    • 2024
  • 진단, 수술, 인상, 보철물 제작 등 임플란트 치료 전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수술 가이드를 이용하여 합병증 없이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고,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골유착을 위한 치유 기간 이후, CAD-CAM(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으로 맞춤형 지대주 및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장착하고, 환자의 적응도와 교합을 평가하였다. 임시 보철물상에서 교합 변화가 관찰되어, 광중합형 컴포지트 레진으로 수리하였다. 최종 보철물 제작 시, 지대주의 수직 침하, 임시 보철물의 형태와 적응된 교합 관계를 반영하기 위해, 이중 스캔과 지대주 수준의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다. 치은 압배 없이 치은 연하 변연을 인기하기 위해, CAD-CAM 소프트웨어상에서 라이브러리화된 지대주 데이터를 중첩하고, 지르코니아 최종보철물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 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에서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수술부터 보철물 제작까지 효율적인 치료 과정과 안정적이고 예지성 있는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레이저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한 상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the edentulous maxilla using the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A case report)

  • 김희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3-178
    • /
    • 2018
  •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방식 시스템은 기공 오차 및 주조 결함 없이 제작 비용 및 제조 시간 단축을 장점으로 전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제작에 유용하다. 본 증례에서는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방식과 치과용 캐드캠으로 제작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사용하여 무치악 상악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치과 보철물의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였다. 51세의 건강한 중년 여성이 상악 전 치아의 동요도를 주소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였다. 모든 상악 치아 발치 후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기술 및 캐드캠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사용하여 코발트-크롬 프레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6개월 후, 기계적 및 생물학적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고 보철물은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기공 작업 없이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확도와 적합성을 얻었다.

구치부 지지 소실 및 무너진 교합관계를 보이는 환자에서 Dental CAD-CAM system을 활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loss of posterior support and collapsed occlusion utilizing dental CAD-CAM system)

  • 정지원;허성주;김성균;곽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4-54
    • /
    • 2022
  • 다수 치아의 상실 상태로 장시간 지속시 구치부 지지의 부족 및 치아들의 과정출이 발생되어 교합 부조화, 수직고경 상실 및 기능 장애 등의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본 증례는 장기간 다수치아 결손으로 인하여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에 관한 증례이다. 상기 환자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로 내원한 68세 남환으로 오래된 상악 의치를 빼다가 치아가 함께 발거되었으며, 하악 전치부가 상악 전치부와 강하게 닿아서 불편함을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여러가지 평가를 통해 수직고경을 4 mm 거상하였으며, 무치악부는 진단 및 치료계획시 설계한 최종 보철 수복물 제작을 고려하여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을 이용한 Computer guided implant surgery를 시행하고,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으로 진행하였고,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 모두 큰 개선에 만족하였다.

TiN 및 WC코팅된 치과용 어버트먼트 나사의 안정성 (Stability of TiN and WC Coated Dental Abutment Screw)

  • 손미경;이충환;정재헌;정용훈;최한철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292-300
    • /
    • 2008
  • Dental implant system is composed of abutment, abutment screw and implant fixture connected with screw. The problems of loosening/tightening and stability of abutment screw depend on surface characteristics, like a surface roughness, coating materials and friction resistance and so on. For this reason, surface treatment of abutment screw has been remained research problem in prosthodon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TiN and WC coated dental abutment screw, abutment screw was used, respectively, for experiment. For improv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TiN and WC film coating was carried out on the abutment screw using EB-PVD and sputtering, respectively. In order to observe the coating surface of abutment screw, surfaces of specimens were characteriz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 The stability of TiN and WC coated abutment screw was evaluated by potentiodynamic, and cyclic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method in 0.9% NaCl solution at $36.5{\pm}1^{\circ}C$. The corrosion potential of TiN coated specimen was higher than those of WC coated and non-coated abutment screw. Whereas, corrosion current density of TiN coated screws was lower than those of WC coated and non-coated abutment screw. The stability of screw decreased as following order; TiN coating, WC coating and non-coated screw. The pitting potentials of TiN and WC coated specimens were higher than that of non-coated abutment screw, but repassivation potential of WC coated specimen was lower than those of TiN coated and non-coated abutment screws due to breakdown of coated film. The degree of local ion dissolution on the surface increased in the order of TiN coated, non-coated and WC coated scr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