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dranthema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국화 '백마'의 플러그 육묘시 삽목조건이 삽목묘와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Growth of Rooted Cuttings and Cut Flower in Plug Cutt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Baekma')

  • 유용권;노용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13-20
    • /
    • 2012
  •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백마' 품종의 플러그 묘 생산에 있어서 삽수의 조건이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정식 후의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삽수에 잎을 많이 부착할수록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잎을 4-6장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다른 처리에 비해 발근에 효과적이었다. 삽수길이에 따른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삽수길이를 5-7cm로 처리하는 것이 발근상태가 양호하였다. 삽수 굵기는 3.1mm 처리에 비해 3.6mm와 4.2mm 처리에서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이 양호하였다. NAA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뿌리의 길이도 짧아졌다. NAA $100mg{\cdot}L^{-1}$를 1시간 처리하여 삽목하는 것이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에 효과적이었다.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2:2로 혼합한 배지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뿌리의 길이, 수 및 무게 등이 뿌리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잎이 적은 것보다 4-6개 부착된 삽수의 삽목묘를 정식했을 때, 절화장이 길고, 무게가 무거웠으며, 엽수도 많았다. 삽수길이에 있어서 7-9cm 처리가 절화장, 절화무게, 설상화 수 등 전반적인 절화의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백마' 플러그 묘 생산시 7cm 길이에 3.6mm 굵기의 4-6장의 잎을 부착한 삽수를 삽목하는 것이 삽목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정식 후의 절화 생육을 위해 바람직하였다.

국화(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 'Linneker Salmon'에 Agrobacterium을 이용한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유전자의 형질전환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gene in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 'Linneker Salmon')

  • 한봉희;이수영;임진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147-153
    • /
    • 2008
  • 국화에 담배거세미 나방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에 저항성을 나타내 국화를 육성하기 위하여 cry1Ac 유전자를 형질전환하였다. Cry1Ac 유전자는 pCAMBIA2301를 포함하는 Agrobacterium C58C1을 통하여 국화 'Linneker salmon'에 도입하였다. Agrobacterium C58C1을 접종한 후 엽절편을 10 mg/L kanamycin이 함유된 재분화 배지 (MS + 1.0 mg/L BA + 0.5 mg/L IAA)에서 1차 선발을 하였고, 재분화 배지에 20 mg/L kanamycin이 첨가된 배지에서 2차 선발을 하였으며, 20 mg/L kanamycin이 첨가된 MS 배지에서 3차 발근선발을 하였다. 3차 발근선발까지 69개의 신초 (1.6%)가 생존하여 발근하였다. NptII primer로 PCR을 한 결과 그 중 36개의 신초 (0.8%)가 putative transformant로 확인되었고, Southern 분석을 한 결과, 35개체 (0.8%)가 nptII 유전자와 cry1Ac 유전자를 가진 형질전환체로 확인되었다. Cry1Ac 유전자의 형질전환율은 0.8%로 양호하였다. 온실에서 담배거세미 나방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3개체의 형질전환체가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 자생 감국 꽃 추출물 유래 flavonoid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lavonoids Extracted from Dendranthema indicum Flowers in Jeju Island)

  • 현주미;조연정;김윤범;박성민;윤경섭;이남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59-12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감국 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활성을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감국 꽃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 세포독성 없이 우수한 nitric oxide (NO)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감국 꽃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찾고자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실시하여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 및 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Cynaroside (1), Apigetrin (2). 분리된 화합물을 HPLC를 통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감국 꽃 추출물의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1, 2의 항염활성을 확인한 결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NO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국 꽃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및 항염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화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와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dranthema indicum Extracts on Cell and DNA Damage Induced by Oxidative Stress)

  • 박영미;김지인;이창호;임재환;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98-1704
    • /
    • 2011
  • 본 연구는 국화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와 DNA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국화추출물의 DPPH 유리 라디칼과 수산화 라디칼의 제거 활성은 $200{\mu}g$/ml에서 각각 92.8%, 73.8%로 나타났으며, $Fe^{2+}$-chelating 효과는 59.4%로 나타났다. 국화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대조군의 90.3%의 활성을 보였으며, p21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대조군의 79.6%로 나타나 라디칼 처리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화추출물의 DNA 분절화 억제 활성은 대조군의 89.6%를 보였고, DNA tail의 이동은 농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대조군과 비교적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ospho-H2AX 단백질의 발현은 라디칼 처리군의 79.8%에 해당하는 수준을 보여 DNA 인산화를 억제하는 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국화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생체 내 독성으로부터 세포와 DNA를 보호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천연 항산화 물질로서의 응용이 기대된다.

코아 식생매트가 국화 'White Miri'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Coir Tapes as Plant Mat on the Growth in Dendranthema grandiflorum 'White Miri')

  • 남유경;이진희;정기령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2-196
    • /
    • 2011
  • 화단용 국화에 적합한 식생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coir tape를 이용한 6가지 처리조건의 매트에 Dendranthema grandiflorum 'White Miri'를 삽목한 결과, 매트 두께가 15 mm인 무토양 C처리구에서는 대부분의 삽수가 고사하였으나 동일한 두께의 매트에 직경 3 mm의 구멍을 뚫어 토양을 충전한 D처리구와 10 mm 두께의 매트 사이에 20 mm 두께의 상토가 들어있는 F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생존율은 각각 식생매트 두께가 10과 15mm인 무토양 처리구인 A와 C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한 56.3과 20% 결과를 나타낸 반면, D와 F처리구에서 각각 100과 90%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초장도 처리구별 결과가 생존율의 그것과 비슷하게 A와 C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인 7.97과 7.15 cm를 나타냈고 D와 F처리구에서 각각 9.74와 9.80 cm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로 화단조성에 국화매트를 적용할 경우에 F처리구보다 상대적으로 토양의 양이 적게 들어가고 부정근 유도에 최소한의 토양을 요구하는 D처리구가 매트의 제작 및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실용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염화물계 제설제의 농도처리에 따른 벼과와 국화과의 종자 발아특성 (Effect of Chloride-containing Deicing Salts Concentration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 양지;이재만;송희연;박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07-91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st tolerant species under salinity stress from amongst Asteraceae and Poaceae. The seeds of six specie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Cl_2$ (0, 9, 18, 45, 90 mM) and NaCl (0, 17, 34, 85, 170 mM), and germination was measured once every two da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nt germination of the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were affected differently by changes in salinity concentration. Seed germination was reduced as salinity levels increase, and longer mean germination times correlated to lower percent germination and earlier germination cessation. Both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ha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s at 18 mM $CaCl_2$ and 34 mM NaCl, and seed germination and growth were severely reduced at salinities greater than 90 mM $CaCl_2$ and 170 mM NaCl. In the seeds of Po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In the seeds of Aster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ster yomena (Kitam.) Honda, and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Overall,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Asteraceae than in Poacea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is the most tolerant species and that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alt tolerance of percent germination and the mean germination time in the leaves.

스프레이국화재배지의 사과뿌리썩이선충과 침선충의 발생 및 피해 (Damage and Occurrence of Pratylenchus vulnus and Paratylenchus sp. on Spray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urm Kitamura)

  • 이재국;박병용;최동로;허재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73-478
    • /
    • 2008
  • 국화재배 포장에서 시들음증이 발생한 토양 내 식물기생선충의 종류와 발생 밀도 및 국화의 품질과 수량 피해 정도를 구명하였다. 구미 원예수출공사의 대규모 유리온실에서 발생한 식물기생선충의 종류는 사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vulnus), 침선충(Paratylenchus sp.), 환선충(Criconemoides sp.)이 검출되었으며, 이중 사과뿌리썩이선충의 평균밀도는 토양 100 g당 667마리, 침선충은 716마리로 나타났고, 토양깊이별 분포는 $0{\sim}30$ cm사이에 87%가 분포하였다. 사과뿌리썩이선충의 국화 생육 기간의 밀도 변동은 정식전 토양 100 g당 854마리에서 정식 10주후에 토양 100 g과 뿌리 1 g에서 14,985마리로 17배 증가하였다. 국화 생육은 정식 10주후 무감염구에서 비해 초장은 8%, 생체중은 24.8% 감소하여 뿌리썩이선충이 국화 품질 및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식물정유 10 종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주요 활성 성분의 탐색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10 Plant Essential Oils and Active Compound Screening Analysis)

  • 김아영;표병식;김선민;박미진;이성숙;이경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27-435
    • /
    • 2019
  • Background: A growing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 antioxidant materials known to play a role in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Curr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on-toxic natural antioxidants with high activity is ongoing.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measure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10 plant essential oils, selecting samples of Dendranthema indicum, Dendranthema zawadskii, and Citrus sunki essential oils. Th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LC) an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LC-based systems with the same conditions. In the LC-mass spectroscopy (MS)/MS analysis of the active compound peak, 2-methoxy-4-vinylphenol with a molecular weight of 150.1 g/mol was identified in C. sunki essential oils. Eugenol or isoeugenol with a molecular weight of 164.1 g/mol as identified in D. indicum and D. zawadskii essential oils as radical scavenging active compounds. Conclusions: In the LC-based measurement system,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identified by simultaneously conducting profile analysis an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ssential oil samples. In addition, LC-MS/MS analysis of the active compound peaks can be performed under the same separation conditions to obtain data that can identify the active compounds in the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