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irium knowledg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섬망간호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in Hospital Nursing Units)

  • 김문자;이해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89-49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on the nurses' knowledge of delirium,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levels in caring patients with delirium. Methods: The study was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131 nurses in general nursing units in B and J hospitals. Sixty four nurses in B hospital were allocat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67 nurses from J hospital into the control group. The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of lecture and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of delirium care was applied everyday for 4 consecutive weeks starting from the admission day of the older adults(${\geq}70$ years old), using 'short CAM' and 'nursing checklist for delirium prevention'. Results: The knowledge of delirium, self-confidence in caring patients, and performance levels of nursing ca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for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and underscored the needs of broader applic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of delirium care for nurses in general nursing units.

섬망의 조기 발견을 위한 진단 및 평가 방법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the Early Detection of Delirium)

  • 천영훈;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3-14
    • /
    • 2011
  • 연구목적 : 섬망은 병원 내의 임상적 상황에서 만날 수 있는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질환 중 하나이다. 섬망이 고령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고 높은 사망률과 연관이 있기에 섬망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여 치료적 개입을 시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섬망이 잘못 진단되어 지거나 간과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치료팀이 섬망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해 내기 위해서는 섬망의 정의, 병태생리 및 여러 가지 다양한 검사 도구들을 특정 내 외과적인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을 통해서 섬망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들을 소개하고 임상적 상황에서 섬망을 정확하게 진단해 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간호수행도 및 스트레스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 서희정;유양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5
    • /
    • 2007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involving deliriu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8 nurses from three hospitals in Seoul, who had worked at the intensive care unit more than six month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December, 2005 to January, 2006. Results: The mean score of knowledge about delirium was 31.60 out of 50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those with clinical experience of 12-35 months and 60-119 months and those who didn't experience conflicts with patients' families. The mean score of nursing performance for delirium was 16.10 out of 23,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who took care of 2 patients. The mean score of stress related to delirium was 63.92 out of 100,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aged over 40, nurses who were university graduates, nurses who experienced conflicts with patients' families, and nurses who took care of 5 patients. Conclusion: We need to develop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in charge of patients with delirium.

  • PDF

섬망환자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간호학생의 섬망간호 수행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Performance for Life Care of Delirium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 오효숙;장미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01-410
    • /
    • 2019
  • 병원 입원환자들이 갈수록 고령화되고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져서 섬망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과 섬망간호 수행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섬망간호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섬망간호 교육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3개교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52명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2017년 4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섬망지식은 조귀래(2001)가 개발하고 박용숙(2011) 수정한 도구, 섬망간호 자신감은 Akechi 등(1996)이 개발하고 김문자(2014)가 번역하고 수정 보완한 도구, 섬망간호 수행은 서희정과 유양숙(2006)이 개발한 도구를 김미영과 은영(2013)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요인에 대한 자료는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섬망 지식은 47점 만점에 29.0점, 섬망간호 자신감은 150점 만점에 71.7점, 섬망간호 수행은 69점 만점에 41.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섬망간호 수행은 섬망환자 경험(t=7.719, p<.001), 섬망 간호진단 사용 경험(t=4.850, p=<.001), 섬망간호 교육(t=3.039, p=.003), 임상실습 만족도(t=3.526, p=.001), 섬망환자 경험 부서(t=3.446, p=.001), 중환자실 실습 경험(t=5.34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섬망간호 수행은 섬망 지식(r=.140, p=.026)과 섬망간호 자신감(r=.341, p<.001) 간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섬망간호 수행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섬망환자 간호 경험(β=.314, p<.001) 섬망간호 자신감(β=.174, p=.003), 중환자실 실습 경험(β=.170, p=.001), 섬망 간호진단 사용경험(β=.129,p=.026), 실습만족도(β=.109, p=.048)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28.8%였다(F=22.307, p<.001). 본 연구결과, 간호학생들의 섬망간호 수행을 높이기 위해 섬망환자 간호 경험, 섬망간호 자신감, 중환자실 실습 경험, 섬망관련 간호진단, 실습만족도를 고려한 섬망간호 교육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Evaluation of Nursing Documentation of Delirium Care

  • KANG,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12-121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 delirium educational program has a positive outcome on nurses' documentation in patient records of delirium care. A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used. A convenient sample of 60 consecutive records that included documentation by participating nurses in four medical wards of one regional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was audited two months before and two months after a delirium educational program. Although an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positively changed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hese positive effects did not translate to improvement in the documentations of delirium care.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nursing documentation of delirium assessment following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nursing documentation of the use of non-pharmacological management following the documentation of keywords associated with delirium afte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 The findings indicate the need to develop, implement and record a systematic risk assessment for delirium an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existing delirium based on evidence-based guidelines in clinical practice in South Korea.

간호사의 섬망 지식수준과 섬망 사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Nurses' Knowledge Level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Delirium)

  • 이영휘;김춘길;공은숙;김귀분;김남초;김희경;송미순;안수연;이경자;장성옥;전시자;조남옥;조명옥;최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5-44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knowledge level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nurses in regards to delirium, and to utilize the study results as baseline data for planning delirium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Methods: Subjects were 465 nurses who were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A 'delirium related knowledge and assessment experienc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Knowledge levels regarding delirium averaged 70 out of 100, and at each domain, they scored 87 for etiology of delirium, 62 for symptoms, and 69 for nursing management. The knowledge level of deliriu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3.851, p=.022), past education related to geriatrics(t=2.471, p=.014), and awareness of need for in-service education on geriatric nursing(F=2.663, p=.032). About 85% of nurses had past experience of dealing with delirious patients and only 7.7% of nurses used delirious state assessment tool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provide delirium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but also to emphasize the usefulness of applying the assessment tool.

  • PDF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Hospice-Palliative Care Nurses' Knowledge of Delirium,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on Delirium)

  • 장보정;염혜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2호
    • /
    • pp.65-74
    • /
    • 2018
  • 목적: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전국 19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센터에 근무하는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첫째,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에 대한 지식 정도는 45점 만점 중 평균 32.83점으로 73%의 정답률을 보였다. 섬망에 대한 지식은 4년제 대학 졸업 이하 군, 종교가 없는 군, 호스피스 경력이 59개월 미만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정도는 10점 만점 중 평균 7.08점이었다. 하위영역에서는 간호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7.36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사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6.79점으로 가장 낮았다. 자기효능감은 40세 이하, 미혼, 4년제 대학 졸업 군, 종교가 없는 군, 일반간호사 군, 임상경력이 120개월 미만 군과 호스피스 경력이 59개월 미만 군, 가족의 생애말기 돌봄 경험이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의 섬망에 대한 간호수행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5점이었다. 간호수행도는 23~29세, 미혼, 4년제 대학 졸업 군, 종교가 없는 군, 임상경력이 59개월 미만 군, 호스피스 경력이 낮은 군, 가족의 생애말기 돌봄 경험이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넷째, 섬망에 대한 간호수행도는 지식(r=0.28) 및 자기효능감(r=0.5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지식은 자기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24). 결론: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 간호수행도는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지만 4년제 대학 졸업 이하군과 종교가 없는 군, 호스피스 경력이 5년 미만 군에서는 낮았다. 따라서 호스피스완화 간호에서 섬망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지식 정도 및 요구를 선택적으로 반영한 양질의 섬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야 하며 섬망 간호 지식 및 수행도가 낮은 집단에 대한 중재전략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 간호수행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for General Hospital Clinical Nurses)

  • 김지연;이은주
    • 임상간호연구
    • /
    • 제22권2호
    • /
    • pp.183-19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among general hospital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and conducted from July 20 to July 30 2015, with a sample consisting of 167 registered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Results: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knowledge about delirium (r=.25, p=.001),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 (r=.45,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29, p<.001).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were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 (${\beta}=.33$,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beta}=.26$, p<.001), experience in nursing education about delirium(${\beta}=.18$, p=.007) and clinical experience (${\beta}=.18$, p=.007). The factors explained 32% of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delirium care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and to improve work environment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enhance nursing performance for patients with delirium.

Development of a Delirium Educational Program for Hospital Nurses

  • KANG,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70-78
    • /
    • 2019
  • This paper outlines an intervention protocol used to educate nurses in a project that implemented and evaluated a delirium educational program in one general hospital. It outlines an evaluation of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and processes used to deliver the intervention through an analysis of reflective notes. The educational protocol was designed for adult learners and grounded in the six assumptions of Knowles' learning theory. Results suggest the educational program positively impacted on participating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family caregiver involvement in delirium care of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dementia. This paper also acknowledges the challenges involved in sustaining a practice change through an educational intervention.

러프 하한 근사를 갖는 로컬 커버링 기반 규칙 획득 기법을 이용한 섬망 환자의 분류 방법 (A Classification Method of Delirium Patients Using Local Covering-Based Rule Acquisition Approach with Rough Lower Approximation)

  • 손창식;강원석;이종하;문경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37-144
    • /
    • 2020
  • 섬망은 의식 장애, 주의력 장애 및 언어력 장애와 같은 일시적인 인지 장애가 있는 환자, 특히 노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 장애 중 하나이다. 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고통을 주고, 통증과 같은 증상의 관리를 방해할 수 있으며 노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기 요양 시설에서 섬망 환자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적 지식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러프 하한 근사 영역을 갖는 로컬 커버링 규칙 기법을 활용하여 섬망과 관련된 임상적 분류 지식을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 기간이 12일 이상 지속될 수 있는 6가지 유용한 임상적 증거를 발견하였고, 체질량 지수, 동반질환 지수, 입원경로, 영양결핍, 감염, 수면박탈, 욕창, 기저귀 사용과 같은 8가지 인자들이 섬망 결과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분류 성능은 통계적 5-겹 교차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3가지 벤치마킹 모델, 즉 ANN, RBF 커널 함수를 활용한 SVM, 랜덤 포레스트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가지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한 SVM 모델과 비교했을 때 정확도와 AUC 기준에서 평균 0.6%와 2.7%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