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Performance for Life Care of Delirium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섬망환자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간호학생의 섬망간호 수행 영향요인

  • Received : 2019.05.23
  • Accepted : 2019.06.27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among nursing students. A total of 252 fourth year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nursing department in Gwangju.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lf-administrat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7. The used statistical analysis were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nowledge of delirium 29.0±7.24, self-confidence in the care for delirium 71.65±28.55 and nursing performance level for patients with delirium was 41.16±8.97.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lirium knowledge, self-confidence of delirium car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ursing experience for delirium patients, self-confidence of delirium care, practice experience in intensive care unit, use of nursing diagnosis related to delirium,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ere significant factors of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explaining 29.8% of the variables. In conclusion, to enhance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for increasing nursing experience for delirium pati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self-confidence of delirium care.

병원 입원환자들이 갈수록 고령화되고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져서 섬망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과 섬망간호 수행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섬망간호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섬망간호 교육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3개교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52명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2017년 4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섬망지식은 조귀래(2001)가 개발하고 박용숙(2011) 수정한 도구, 섬망간호 자신감은 Akechi 등(1996)이 개발하고 김문자(2014)가 번역하고 수정 보완한 도구, 섬망간호 수행은 서희정과 유양숙(2006)이 개발한 도구를 김미영과 은영(2013)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요인에 대한 자료는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섬망 지식은 47점 만점에 29.0점, 섬망간호 자신감은 150점 만점에 71.7점, 섬망간호 수행은 69점 만점에 41.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섬망간호 수행은 섬망환자 경험(t=7.719, p<.001), 섬망 간호진단 사용 경험(t=4.850, p=<.001), 섬망간호 교육(t=3.039, p=.003), 임상실습 만족도(t=3.526, p=.001), 섬망환자 경험 부서(t=3.446, p=.001), 중환자실 실습 경험(t=5.34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섬망간호 수행은 섬망 지식(r=.140, p=.026)과 섬망간호 자신감(r=.341, p<.001) 간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섬망간호 수행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섬망환자 간호 경험(β=.314, p<.001) 섬망간호 자신감(β=.174, p=.003), 중환자실 실습 경험(β=.170, p=.001), 섬망 간호진단 사용경험(β=.129,p=.026), 실습만족도(β=.109, p=.048)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28.8%였다(F=22.307, p<.001). 본 연구결과, 간호학생들의 섬망간호 수행을 높이기 위해 섬망환자 간호 경험, 섬망간호 자신감, 중환자실 실습 경험, 섬망관련 간호진단, 실습만족도를 고려한 섬망간호 교육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