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단기 고온 스트레스가 마우스 혈청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Thermal Stress on the Mouse Serum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 차정호;최광수;최형송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9-113
    • /
    • 2000
  • 단기 고온스트레스가 혈청 cortisol, DHEAS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기 고온스트레스 (Short-term TS)를 받은 BALB Ic 생쥐의 혈청 cortisol과 DHEAS 농도를 방사선면역측정 (RI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분 TS를 받은 그룹(T30) 에서 대조군에 비해 cortisol 의 유의적인 증가(P<0.01)를 보였으나, 120 분 부과 (T120) 시에는 T30 에 비해 유의성 없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DHEAS 의 경우 30분 TS를 받은 그룹 (T30) 과 120 분 TS를 받은 그룹 (T120)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으나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특히, DHEAS 의 경우 단기고온 스트레스라는 국한된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단기 고온스트레스가 혈청 cortisol과 DHEAS 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DHEAS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스트레스 마커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단기 속박스트레스가 마우스 혈청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Immobilization Stress on the Mouse Serum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 차정호;최광수;최형송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5-120
    • /
    • 2000
  • 단기 속박스트레스가 혈청 cortisol과 DHEAS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단기 속박스트레스 (IS)를 받은 BALB / c 숫컷 생쥐의 혈청 cortisol과 DHEAS 농도를 방사선면역측정 (RI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rtisol의 경우 30분 IS를 받은 그룹 (Ⅰ-30N)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p<0.01), 120분 부과 (Ⅰ-120N) 시에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가시오갈피 (SG) 처리군에서도 30분 IS를 받은 그룹 (Ⅰ-30T)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증가를 보였고 (p<0.01), 120분 부과(Ⅰ-120T) 시에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G 처리군과 비처리군 모두에서 cortisol의 계속적인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30분 부과 그룹에서 SG 비처리군 (Ⅰ-30N)에 비해 SG 처리군 (Ⅰ-30T)에서 cortisol 농도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 120분 부과 그룹에서도 SG 비처리군 (Ⅰ-120 N)에 비해 SG 처리군 (Ⅰ-120T)에서 cortisol 농도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DHEAS의 경우 30분 속박 (Ⅰ-30N)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120분 속박 (Ⅰ-120N)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1). SG 처리군에서도 30분 속박 (Ⅰ-30T) 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120분 속박 (Ⅰ-120T)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1). 그러나 30분, 120분 부과그룹 모두에서 SG 처리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단기 속박이라는 국한된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DHEAS가 지속적으로 감소됨으로써 단기 속박스트레스가 혈청 cortisol과 DHEAS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DHEAS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장기 고온스트레스가 마우스 혈청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DHEAS)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Thermal Stress on the Mouse Serum Concentrations of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DHEAS))

  • 최형송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9-25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half-life가 긴 DHEAS를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 매일 30분씩 3주간 장기 고온스트레스 부과 후 4일간의 휴식을 준 생쥐에서의 DHEAS 변화를 관찰하여 이를 cortisol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cortisol의 경우 장기 고온스트레스 부과 후 즉시 혈액을 채취한 그룹(LW)과 4일간의 휴식 후 혈액을 채취한 그룹(LR) 모두 대조군(C)에 비해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에 반해 DHEAS는 장기 고온스트레스 부과 후 즉시 혈액을 채취한 그룹(LW)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p<0.05)를 보였으며, 4일간의 휴식(LR)을 준 후에도 여전히 유의적인 차이를 유지하였다(p<0.05). 실험 2) 고온스트레스를 매일 30분씩 1주간, 2주간, 3주간 부과한 그룹에서의 휴식 기간별 혈청 DHEAS농도 차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 기간이 길어질수록 혈청 DHEAS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0일간의 휴식을 주었음에도 2주간, 3주간 부과한 그룹에서 여전히 대조군에 비해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로 보아 cortisol을 이용한 기존방식은 스트레스가 사라진 후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데 반해, DHEAS는 변화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스트레스가 사라진 후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적합한 호르몬으로 판단된다.

  • PDF

한방치료를 통한 허로환자의 증상개선과 DHEAS 수치개선의 연관성에 관한 증례보고 2례 (Two Cases of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of General Weakness Symptoms and DHEAS Level through Korean Medical Treatment)

  • 이해솔;전찬용;최유경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59-1068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reports on the efficacy of treating patients with general weakness symptoms with Korean medicine. Methods: Two patients with general weakness symptoms were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modalities, including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s. Blood tests,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patients' complaints were used to assess the treatment effects. Results and Conclusions: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DHEAS), DHEAS/cortisol index, VAS, and the patients' complaints improved after treatment. Korean medical treatment is effective in improving DHEAS and the DHEAS/cortisol index according to the improvements in the patients' conditions. However,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validate its use with other patients.

Promotion of Liver Lesion Development in the Syrian Hamster by Deitary fat Following Multi-Organ Initiation is Inhibited by Dhea-S Administration

  • Park, Cheol-Beom;Kim, Sun-Hee;Shim, Young-Hee;Kim, Dae-Joong;Lee, Jong-Sung;Park, Jong-Il;Kang, Jong-Koo;Moore, Malcome.A.;Iroyuki, Tsuda.H.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8-118
    • /
    • 2003
  • The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ehydroepiandrosterone-sulphate (DHEA-S) at 0.6% was investigated in male Syrian golden hamsters initiated by treatments with azoxymethane(AOM), and dihydroxy-di-n-propyl nitrosamine (DHPN), timed after transfer from a choline-deficient to a normal diet.(omitted)

  • PDF

저항트레이닝 운동 강도가 비만 중년 여성의 근 손상지표와 노화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Intensity on Muscle Damaged Index and Aging-Related Hormones in Obese Middle-Aged Women)

  • 신소영;장병호;신군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24-93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intensity levels on muscle damaged index and aging-related hormones in obese middle-aged women. Thirty middle-aged women having over 30% of body fa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3 groups on the basis of workout intensity, 50% intensity, 60% intensity, and 70% intensity. After performing three different types of exercise for 12 weeks, the levels of creatine kinase (CK), lactate dehydrogenase (LDH), melatonin, dehydroepiandrosterone-sulphate (DHEA-S), and growth hormone (GH) in all subject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Muscle damaged index was effectively changed in low exercise intensity group. However, aging-related hormones were effectively changed in high exercise intensity group. DHEA-S and G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70% intensity group than the other groups.

작약섭취와 복합운동 중재가 중년여성의 혈청 면역글로불린 및 DHEAs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Peony Drinking with Combined Exercise on Serum Immunoglobulin and DHEAs in Middle Aged Women)

  • 남상남;김대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61-268
    • /
    • 2018
  • 본 연구는 8주간 작약섭취와 복합운동을 통해 혈청 면역글로불린 및 DHEAs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40-50대 중년여성 15명을 대상으로 복합운동군, 통제군, 작약섭취와 복합운동군으로 무선 배정하며 8주간 주 3회 60분간 1RM 60~70%, HRmax 60~70%로 실시하였다. 작약섭취는 작약6g(백작약)을 107ml의 물을 넣고 고온으로 증탕 시키고 원액을 채취한 후 작약섭취와 복합운동군에 한하여 8주간 매일 아침 식전에 1봉(100ml)씩 섭취 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면역글로불린의 결과 8주간 복합 운동군과 작약섭취와 복합 운동군에서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DHEAs의 결과 8주간 복합 운동군과 작약섭취와 복합 운동군에서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작약섭취와 복합운동 이 면역기능과 치매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