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se Acquisition System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3초

국방무기체계 획득영향요인 상호관계 분석 : 함정획득지연 사례 및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A Methodology for Analyzing on the Correl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Acquisition of Military Weapons Systems : Focused on Factor Analysis of Naval Ship Acquisition Delay Cases)

  • 황정오;오현승;최봉완;임동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8-58
    • /
    • 2020
  • Naval weapons systems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acquired through the Defense Planning Management System. Recently, acquisition of some naval ships have been delayed, and the causes of the delays have been recognized as inappropriate project management at the Execution Phase. However, we argue that the delay problem in naval ships acquisition should be approached, with due regard for the entire Defense Planning Management System. That is, We should try to investigate from Planning Phase to those of Programming, Budgeting and Execution Phas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ctual cases of the delay in naval acquisition at all phases of the Defense Plan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nvestigation, we tried to identify the naval ship Acquisition Delay Factors and find out the Weights of those factors. As the next step, we calculated the Influence Measures on the naval missions, including the Cost of Naval Capability Gap derived from the delays in acquisition of naval ships. As a final step, we calculated the Acquisition Delay Measures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Acquisition Delay Factors and the Influence Measures. Then we evaluated and analyzed what the results stand for. Finally, we made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The improvement suggestions we made for preventing delay in acquisition of naval ship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a shift in perception.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cquisition Delay Factors in acquiring naval ships and manage them from the Planning Phase. Second, resolution must be concerted efforts. All relevant agencies, not just a few, should work together to resolve the problems of acquisition delay. Third, analysis must be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data. This allows the elaborating of naval ship Acquisition Delay Factors and Delay Measures. If this research method is applied to other military weapons systems in the future, we may be able to not just identify the Acquisition Delay Factors in acquisition of other military weapons systems, but also pursue improvement in those cases.

Improvement of ITSM IT Service Efficiency in Military Electronic Service

  • Woo, Hanchul;Jeong, Suk-Jae;Huh, Jun-H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246-260
    • /
    • 2020
  • IT Service Management (ITSM) achieves consolidated management for the IT services supporting the acquisition system, and no outside connections can be established with such ITSM. Issues pertaining to the D2B can be addressed to System Q&A or a Call Center for problem-solving. In other words, internal staff can take the necessary measures for problems by directly connecting with ITSM. Currently, diverse innovative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electronics an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his allows us to create a better world by providing the backbone for remarkable development in our human society in the fields of electronics, device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Following the expansion of IT services in the military acquisition sector such as Defense Electronic Procurement, military export/import support system, etc., customers' dependence on IT for conducting business with the military or related companies is increasing, including the military's dependence on the same technology for services to the public. Nonetheless, issues pertaining to the simplified/integrated management of complex IT service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slow system recovery, lack of integrated customer service window,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have become the priority problems that IT managers are required to solv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T services provided by Korea's national defense acquisition system,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IT Infrastructure Library (ITIL) v2, and investigat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ervices with focus on ensuring that it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the system and its advancement in the future.

An Integrated DEA-AHP Model for the Acquisition of a Weapon System: Selection of a Next-Generation Fighter System in Korea

  • Moon, Jaehun;Kang, Seokjo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3권2호
    • /
    • pp.97-104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tegrated model to improve the selection process in the acquisition of a weapon system which is the key component to the success of the project. In particular, we applied DEA in the first stage to choose a frontier group among the candidate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next-generation fighter system (the 3rd FX) in Korea. Then, by using the Delphi technique, we surveyed military experts and applied AHP to determine the best choice among the candidates. The results of the study match the actual decision made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weapon system acquisition. The results of the proposed DEA-AHP integrated method in the selection of the next-generation fighter systems in Korea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In this paper, we also discuss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 proposed model.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국방조달 부정당업자 예측모형 개발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for the Prediction of Unlawful Company in Defense Procurement)

  • 한홍규;최석철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
    • /
    • 2011
  • 현대 국방획득 업무에서 계약업체의 관리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국방조달에 있어서 부정당업자의 발생은 무기체계의 전력화에 큰 차질을 유발시켜 획득사업이 원활히 이행되지 못하는 원인을 야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국방조달에서 부정당업자를 판별할 수 있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모형에 사용된 데이터는 국내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구축된 학습용 및 검증용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모형의 결과로 사업관리자들의 사업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견실한 국방조달업체의 진입을 통한 조달질서 확립에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기동무기체계 개발에서 외형 디자인 결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xterior Design Decision Process of the Maneuver Weapon System Development)

  • 윤병조;이호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3권2호
    • /
    • pp.1-8
    • /
    • 2017
  • The Core in Weapon system R&D is to realize the user required capabilities in limited schedule and cost. Therefore, the design of weapon system focuses to functional design for realization of requirement capabilities. However, the weapon system should not only basically bring the confidence to friendly forces bring fear to enemy forces to maximize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weapon systems and we consider the exterior design as the important factor to compete with foreign systems in international defense market besides capabilities and cost. For that reason, we made study case about the visual design decision process applied to the LVT(light tactical vehicle) project which was recent successful deployment among the many R&D projects of auto industry. Based on this cas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exterior design decision process the maneuver weapon system is developed.

효율적인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사업 관리 핵심성공요인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 전남희;김병삼;김동호;김광용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3-69
    • /
    • 2010
  • 국방무기체계획득사업 관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요구된 성능, 예산, 전력화시기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2006년 출범한 방위사업청은 무기체계 획득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통합사업관리제를 도입하여, 방위력개선사업 관리를 위한 프로젝트 조직이 61개가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한국적인 국방획득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관리 측면에서 실증적인 분석연구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기체계획득사업관리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인식하고, 프로젝트관리 연구에서 제시된 프로젝트 성공요인(CSF : Critical Success Factors)과 무기체계획득사업관리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는 의사소통, 사용자 참여, 명확한 요구사항 변수가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SF 요소는 사업추진단계별, 사업의 특성, 규모에 따라서 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통합사업관리팀이 무기체계획득사업 수행 시 사업 단계, 특성, 규모에 따라서 중점 관리 분야를 식별한 것이 이 논문의 의의라고 생각한다.

방위력개선사업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획득대안 분석 연구 (A Study on Cost-benefit analysis of Defense Improvement Project for Acquisition Alternative Analysis)

  • 김병찬;안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3-119
    • /
    • 2021
  • 무기체계 획득사업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국가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특성이 있어 무기체계 획득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획연구 단계에서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 획득대안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획득연구 단계에서 획득대안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나, 현재는 초기 단계로 경제적 분석에 따른 획득대안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획득대안에 대한 의사결정 방법인 효과분석의 제한점을 식별하고 추가로 비용편익분석 방법을 제시하여 획득대안에 대한 경제성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비용편익 분석의 결과를 비용/편익비율(Benefit/Cost Ratio)로 제시하여 복수 대안뿐만 아니라 단일 대안에 대한 경제성 분석이 가능하고,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 보편적인 결과 제시가 가능하다. 제시 방법을 OO 유도로켓 사업 획득연구에 적용하여 각 대안에 대한 경제성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방산육성 기본계획 기반 군수품(군용차량) 생산량 증진 방안 연구 (Study on Increase the Production of Materiel(Military Vehicles) based 'Basic Plan for Defense Industry Promotion')

  • 이범구;이석희;계중읍;이춘범;정도현;이천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5-32
    • /
    • 2014
  • There are many type vehicles in army. They are jeep and truck by basic type. Recently many countries are developing new conceptual military vehicles. And they try for export of those military vehicles to another countries. Also Korea Army is developing military tactical and combat vehicles, and considering various necessary factors for export. But as easing the cold war system tension and reducing of defense budget, decrease in quantity of military vehicles. We think this trend is accelerative. Therefore Government(Military) and defense industry make every effort to increasing sales and productions. In this study, I'll inquire '2013~2017 basic plan for defense industry promotion' for strengthen the power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n suggest the increasing method for productions of military vehicles.

군(軍) 보고서 등장 문장과 관련 법령 간 비교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mparison System between the Statement of Military Reports and Related Laws)

  • 정지인;김민태;김우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3호
    • /
    • pp.109-125
    • /
    • 2020
  • 군(軍)에서 방위력개선사업(이하 방위사업)은 매우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방위사업 관련 법 및 규정의 과도한 다양화로 많은 실무자들이 원활한 방위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방위사업 관련 실무자들이 각종 문서에서 다루는 법령 문장은 문장 내에서 표현 하나만 잘못되더라도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이를 실시간으로 바로잡기 위한 문장 비교 시스템 구축에 대한 노력은 미미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iamese Network 기반의 자연어 처리(NLP) 분야 인공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군(軍)의 방위사업 관련 문서에서 등장할 가능성이 높은 문장과 이와 관련된 법령 조항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위법 위험 여부를 판단·분류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는 '군(軍) 보고서 등장 문장과 관련 법령 간 비교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안하려고 한다. 직접 제작한 데이터 셋인 모(母)문장(실제 법령에 등장하는 문장)과 자(子)문장(모(母)문장에서 파생시킨 변형 문장) 3,442쌍을 사용하여 다양한 인공 신경망 모델(Bi-LSTM, Self-Attention, D_Bi-LSTM)을 학습시켰으며 1 : 1 문장 유사도 비교 실험을 통해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상당히 높은 정확도로 자(子)문장의 모(母)문장 대비 위법 위험 여부를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모델 학습에 사용한 자(子)문장 데이터는 법령 문장을 일정 규칙에 따라 변형한 형태이기 때문에 모(母)·자(子)문장 데이터만으로 학습시킨 모델이 실제 군(軍) 보고서에 등장하는 문장을 효과적으로 분류한다고 판단하기에는 제한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제 군(軍) 보고서에 등장하는 형태에 보다 더 가깝고 모(母)문장과 연관된 새로운 문장 120문장을 추가로 작성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해본 결과, 모(母)·자(子)문장 데이터만으로 학습시킨 모델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방위사업 관련 군(軍) 보고서에서 등장하는 여러 특정 문장들이 각각 어느 관련 법령의 어느 조항과 가장 유사한지 살펴보고, 해당 조항과의 유사도 비교를 통해 위법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간 군(軍) 문서와 관련 법령 간 자동화 비교 시스템'의 구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기업 관점에서의 국방IT융합 추진방향 (Suggestions for IT Convergence on Defense in the IT Firm's Perspective)

  • 이동훈;이상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7-69
    • /
    • 2014
  • IT convergence technology can boost the advancement of weapon systems and efficient operation for the military reformation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IT firms' concern about the defense acquisition process for IT-convergent systems and the role of IT firms in the process with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on executives of IT firms, and classified the concern to three major issues. They are the clarification of IT firms' role in the defense IT-convergent efforts,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ol tower for defense IT convergence, and reasonable estimation of software development cost in the defense acquisi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