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fect types

Search Result 48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상악골 부분절제술 시행 환자에서 one-step 중합 기술로 만든 hollow bulb 폐색장치를 이용한 악안면 수복 증례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of hemi-maxillectomy patient using a closed hollow bulb obturator fabricated by one-step polymerization technique: a clinical report)

  • 심재혁;김민규;한중석;이재봉;김성훈;여인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5-40
    • /
    • 2016
  • 상악골 결손은 악안면 부위의 해부학적 기형과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기능적 측면에서, 상악골 결손은 발음, 저작, 연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상악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폐색장치는 이러한 기능적 회복에 큰 역할을 한다. 폐색장치가 구강 내에서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유지의 증가를 위해서는 폐색장치의 무게 감소가 필요하다. Hollow bulb 폐색장치에는 개방형, 폐쇄형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폐쇄형 형태는 많은 장점을 가지나, 제작이 어렵고 누수가 발생할 경우 처치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존재하여 많은 술자들은 개방형 형태로 제작한다. 본 증례에서 두 열가소성 레진 시트로 만든 hollow body를 이용하여 one-step 중합 기술로 폐쇄형 hollow bulb 폐색장치를 제작하였고, 이는 기존의 폐쇄형 hollow 폐색장치 제작법의 단점들을 보완할 것이다.

Type II 상아질형성부전증의 임상 증례 (TYPE II DENTINOGENESIS IMPERFECTA : CASE REPORT)

  • 김지현;이제호;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4-660
    • /
    • 2001
  •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유전적인 상아질의 결함으로 치아 발육과정 중 조직분화기에 발생되며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나타난다. Shields등은 상아질형성부전증을 type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Witkop에 따르면 1/8000명의 빈도로 이러한 유전적 소인을 갖게 되며, 남녀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다고 한다. 이환받은 치아는 적갈색의 변색과 함께 심한 마모현상으로 인해 구치부 교합면과 전치의 절단면의 법랑질이 파괴되고 그후 급속도로 상아질의 파괴가 뒤따른다. 방사선학적으로 가느다란 치근과 구근상치관, 치경부 협착, 작거나 결손된 치수강이 관찰되고, 유치열에서 치근단병소나 다발성 치근파절이 관찰되기도 한다. 본 증례의 4세 남자환아는 치아색이 이상하다는 것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치아는 전반적으로 황갈색의 변색과 중등도의 마모도를 보였으며, 방사선 검사 소견에서 치아의 치수강 폐쇄, 구근상치관, 짧은 치근들이 관찰되었다. 가족력상 각 세대마다 환아와 같은 치아변색과 마모의 유전양상이 관찰되었으며, 10세된 환아의누나는 영구치열에 전체적으로 회갈색의 변색과 경도의 마모도를 보였다.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상 상아질형성부전증으로 판단되어 환아의 손상된 치아에 대해 구치부는 기성금관 수복을,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으로 치근파절로 인해 발거된 상악 좌측 유중절치를 포함한 손상된 전치부를 수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를 하는 바이다.

  • PDF

Myogenic Differentiation of p53- and Rb-deficient Immortalized and Transformed Bovine Fibroblasts in Response to MyoD

  • Jin, Xun;Lee, Joong-Seub;Kwak, Sungwook;Jung, Ji-Eun;Kim, Tae-Kyung;Xuo, Chenxiong;Hong, Zhongshan;Li, Zhehu;Kim, Sun-Myoung;Whang, Kwang Youn;Hong, Ki-Chang;You, Seungkwon;Choi, Yun-Jaie;Kim, Hyungg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2호
    • /
    • pp.206-212
    • /
    • 2006
  • We have established in culture a spontaneously immortalized bovine embryonic fibroblast (BEF) cell line that has lost p53 and $p16^{INK4a}$ functions. MyoD is a muscle-specific regulator capable of inducing myogenesis in a number of cell types. When the BEF cells were transduced with MyoD they differentiated efficiently to desmin-positive myofibers in the presence of 2% horse serum and 1.7 nM insulin. The myogenic differentiation of this cell line was more rapid and obvious than that of C2C12 cells, as judged by morphological changes and expression of various muscle regulatory factors. To confirm that lack of the p53 and $p16^{INK4a}$ pathway does not prevent MyoD-mediated myogenesis, we established a cell line transformed with SV40LT (BEFV) and introduced MyoD into it. In the presence of 2% horse serum and 1.7 nM insulin, the MyoD-transduced BEFV cells differentiated like the MyoD-transduced BEFS cells, and displayed a similar pattern of expression of muscle regulatory proteins.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MyoD overexpression overcomes the defect in muscle differentiation associated with immortalization and cell transformation caused by the loss of p53 and Rb functions.

위상배열초음파를 이용한 손상된 열가소성 플라스틱배관 전기융착부 비파괴검사 (Non-Destructive Testing of Damaged Thermoplastic Pipes Electrofusion Joints Using Phased Array Ultrasonic)

  • 길성희;김병덕;권정락;윤기봉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4-68
    • /
    • 2013
  • 열가소성 플라스틱배관의 전기융착부에 대한 비파괴검사방법은 융착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 정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융착된 접합부에서도 배관의 진원도와 전기융착 소켓과의 진원도 차이 또는 기공 등에 의해 융착부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상배열초음파를 이용하여 손상된 폴리에틸렌 전기융착부의 검사를 수행하였다. 검사 대상인 250mm 직경의 폴리에틸렌 배관 전기융착부는 1994년 12월에 융착되었으며 실제 작동 압력은 2.45kPa이다. 2004년 2월 소켓 이음부 근처에서 가스가 누설되어 수거되었다. 손상된 전기융착부에 대하여 첫 번째로 육안검사를 실시하고 다음에 위상배열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절단 검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검사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위상배열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결과와 절단 검사 결과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진행성 유방암에서 즉시 유방 및 흉벽 재건술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 양정덕;김학태;정호윤;조병채;최강영;이정훈;이정우;박호용;정진향;채의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627-635
    • /
    • 2011
  • Purpose: Advanced breast cancer traditionally has been perceived as a contraindication to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because of concerns regarding adjuvant treatment delays and the cosmetic effects of radiotherapy to breast reconstruction, so delayed reconstruction is usually preferred in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mastectomy. However, with the improved outcome using multimodality therapy, consisting of perioperative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is now being performed as surgical option for selected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Additionally,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may be needed soft tissue coverage of an extensive skin and soft tussue defect after mastectomy. Current authors have experienced several types of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Methods: From December of 2007 to June of 2009, 14 women performed for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They had been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or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modified radical mastectomy or radical mastectomy. Four different techniques were used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which are pedicled TRAM flap (4 cases), extended LD flap with STSG (3 cases), thoracoabdominal flap (4 cases) and thoracoepigastric flap (3 cases). Results: The mean age was 53 years and mean follow up period was 9 months. Patients' oncologic status ranged stage IIIa to stage IV. Two patients had major complications: partial flap necrosis of TRAM flap and one distal necrosis of thoracoabdominal flap. Three patients with stage IV disease died from metastas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can be considered as surgical op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But we need long term follow up and large prospective studies for recurrence and survival.

Ophthalmic Findings in 547 Korean Sapsaree Dogs

  • Chae, Je-Min;Kim, Won-Tae;Jeong, Man-Bok;Yi, Na-Young;Park, Shin-Ae;Kim, Se-Eun;Park, Young-Woo;Ha, Ji-Hong;Han, Koog-Il;Seo, Kang-M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82-487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phthalmic findings of the Korean traditional 'Sapsaree' dogs, and to provide ophthalmic references. Five hundred forty-seven Sapsaree dogs were randomly chosen without any criteria preference. Ophthalmic examination was performed bilaterally using ocular equipments, including slit-lamp biomicroscope, tonometer, direct and indirect ophthalmoscope. The obtained data for ophthalmic findings were analysis by the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model to identify effects of sex, age and hair coat type. For congenital conditions, the incidence of persistent pupillary membrane (PPM) was the most common defect and there was present 8.8 % whereas for acquired ophthalmic diseases, cataract was the most commonly observed (3.7 %) in Sapsaree dog. Other frequent ocular finding included persistent hyaloid vessel remnant (PHVR, 6.2 %) in congenital conditions, and postinflammatory retinal degeneration (PIRD, 3.1 %) and corneal dystrophy (2.4 %) in acquired ophthalmic diseases. Only one significant effect was age of the Sapsaree for PIRD (P=0.040). There are no any significant effect for sex and hair coat types.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guidelines to clinicians and breeders for the basic ophthalmic information on this breed.

마찰교반용접 툴 변화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압출 판재 마찰교반용접부 기계적 물성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Extruded Magnesium Alloy Joints by Friction Stir Welding : Effect of Welding Tool Geometry)

  • 선승주;김정석;이우근;임재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80-2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찰교반용접을 마그네슘 합금에 응용하기에 앞서 형상이 다른 두 종류의 용접 툴을 마찰교반용접 시험에 적용 및 비교하여 마그네슘 합금 마찰교반용접에 더 적합한 용접 툴을 제안하였다. 용접 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용접조건 변수 중 이송속도는 200mm/min으로 고정하였고 회전속도를 400, 600, 800rpm으로 변화시키면서 용접부의 거동과 용접 툴 변화에 따른 효과를 평가 및 관찰하였다. 기계적 물성 평가를 위해 인장시험과 경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용접부 내 거동 및 결함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용접부에 수직인 방향의 횡단면을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용접 툴에 관계없이 회전속도가 400rpm일 때 결함이 관찰되었으며,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결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회전속도 800rpm에서 결함이 없는 용접부를 얻었다. 용접 툴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평가 결과 C type 용접 툴을 적용한 경우 보다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다. 기계적 물성이 가장 우수한 용접조건은 회전속도 800rpm, 이송속도 200mm/min 이었고, 이때 용접부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그리고 연신율은 모재 대비 90.0%, 69.1%, 83.2% 수준으로 각각 나타났다.

주기성을 갖는 입출력 데이터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회귀 모델 학습 방법 (Learning Method for Regression Model by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Data with Periodicity)

  • 김혜진;박예슬;이정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7호
    • /
    • pp.299-306
    • /
    • 2022
  • 최근 로봇이나 설비, 회로 등에 센서 내장이 보편화 되고,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학습하여 기기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고장 진단 연구는 고장 상황이나 종류를 예측하기 위한 분류(Classification) 모델 개발과 정량적으로 고장 상황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Regression) 모델 개발로 구분된다. 분류 모델의 경우, 단순히 고장이나 결함의 유무(Class)를 확인하는 반면, 회귀 모델은 무수히 많은 수치 중에 하나의 값(Value)을 예측해야 하므로 학습 난이도가 더 높다. 즉, 입력과 출력을 대응시켜 고장을 예측을 할 때, 유사한 입력값이 동일한 출력을 낸다고 결정하기 어려운 불규칙한 상황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기성을 지닌 입출력 데이터에 초점을 맞추어, 입출력 관계를 분석하고,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패턴화 하여 입출력 데이터 간의 규칙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회로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성을 지닌 전류,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ANN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 주기의 2% 이상의 윈도우를 적용하였을 때, 적합도 97% 이상의 성능이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집성재 단면구성에 따른 휨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Bending Properties of Glulam with Different Cross-Section)

  • 이전제;김광모;한재수;김재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65-7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새로운 집성재 단면구성 방법을 제안하고, 국산 낙엽송과 합판으로 제조된 집성재의 휨시험을 통해 단면 구성에 따른 집성재의 휨성능을 평가 비교하였다. 수평적층(BH), 수직적층(BVN), 수직으로 합판보강된 수직적층(BVV)과 수평으로 합판보강된 수직적층(BVH)의 총 네가지 형태의 단면구성 방법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파괴모드를 관찰하고, 실험을 통해 얻어진 하중-변형 곡선으로부터 MOR 및 MOE를 계산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단면구성 방법의 휨성능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MOR의 경우에는 결함의 분산으로 인해 수직적층에서 수평적층에 비해 23% 정도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MOE의 경우에는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수평으로 합판보강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휨성능이 약한 합판이 사용됨에 따라 MOE가 15% 정도 감소하였으나, 수직으로 합판보강된 경우에는 합판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MOE의 감소 없이 MOR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전단보강의 효과로 생각되며 이러한 효과를 파괴모드의 관찰을 통해서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집성보의 단면 구성시 라미나의 적절한 배치 및 전단보강 등을 통하여 전체적인 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뼈스캔상의 병기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on Bone Scan)

  • 양형인;김의종;김덕윤;류경남;조경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6-213
    • /
    • 1994
  • 연구배경 :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그 병기에 따라 단순 X선과 뼈스캔, MRI상에서 다양하게 보이며 초기에는 X선과 뼈스캔상에서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흔히 있다. 뼈스캔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그 병기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보일 수 있으며 진행된 병변에서는 다른 관절질환과 감별하기 어려울때가 많다. 이에 저자들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병기에 따른 뼈스캔의 유형을 분류하고 다양하게 보일 수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는 고관절통과 보행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90명의 179개의 대퇴골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 환자에서 단순 X선과 뼈스캔, MRI가 모두 시행되었으며 후향적 조사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179개의 대퇴골두 중 156개의 골두는 무혈성괴사를 가지고 있었다. 36개의 대퇴골두는 MRI상 조기 병변이었고 120개는 진행병변이었다. 90명의 환자에서 22명이 한쪽의 병변을 가지고 있었으며 68명이 양측성의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 2) 단순 X선과 뼈스캔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진단율은 MRI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각각 85%, 91.6%였다(Table 1). 3) 9개의 대퇴골두가 뼈스캔상에서 초기의 무혈성 괴사소견(1, 2형)을 보였으나 단순 X선상에서 정상이었다. 이외의 병변들에서는 뼈스캔과 단순 X선의 병기 사이에는 비교적 일치하는 소견을 보였다(Fig. 2). 4) 뼈스캔에는 정상이었으나 13개의 대퇴골두가 MRI상에서는 조기 병변을 보였고, MRI에서 조기병변을 보이는 경우는 뼈스캔상에서 대개 1이나 2의 유형을 보였고 진행병변은 뼈스캔상에서 2, 3, 4형에 해당하였다(Table 2). 5) 뼈스캔상에서 정상소견을 보였으나 MRI에서 무혈성괴사 소견을 보였던 병변은 그 병변의 크기가 1/4에서 1/5정도로 작은 병변이며, 이 작은 병변이 대개는 대퇴골두의 전상방에 위치하며, MRI상의 저신호 강도 띠와 함께 지방골수 신호강도변화를 보였다(Table 3). 6) 뼈스캔상에서 비전형적인 유형을 보인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병변의 단순 X선 소견은 대개가 단순 X선 병기 4와 5에 해당하였고, MRI에서 병변의 크기가 1/2이상의 큰 병변 이었으며 많은 관절삼출액, 심한 관절강 연조직 및 관절막 비후 또는 이차성 골관절염등을 동반하고 있었다(Table 2). 결론 : 결론적으로 뼈스캔은 초기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는 단순 X선 보다는 높고, MRI보다는 낮은 진단율을 보였다. 그 원인으로는 초기 병소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진행성 병변은 MRI상에서 주위의 충혈 정도, 관절삼출액의 정도, 주위의 퇴행성 변화 또는 관절내 연조직 비후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