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p-layered neural network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7초

심층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엔드밀 가공의 절삭 조건 개선 (Improvement of Cutting Conditions in End-milling Using Deep-layered Neural Networks)

  • 이신영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2-409
    • /
    • 2017
  • Selection of optimal cutting conditions is important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implementing efficient process control in metal machining. In this study, improvement of cutting conditions in machining using end-mills is studied by using deep-layered neural networks, which comprise an input layer, output layer, and two hidden layers. System networks are designed with inputs as cutting conditions, and they output the cutting force. A pseudo-inverse network is designed that has the adjustable cutting condition as output and cutting force and other cutting conditions as input. The combination of the system network and pseudo-inverse network enables selection or improvement of cutting conditions that results in the expected cutting force.

A MODIFIED EXTENDED KALMAN FILTER METHOD FOR MULTI-LAYERED NEURAL NETWORK TRAINING

  • KIM, KYUNGSUP;WON, YOO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22권2호
    • /
    • pp.115-123
    • /
    • 2018
  • This paper discusses extended Kalman filter method for solving learning problems of multilayered neural networks. A lot of learning algorithms for deep layered network are sincerely suffered from complex computation and slow convergence because of a very large number of free parameters. We consider an efficient learning algorithm for deep neural network. Extended Kalman filter method is applied to parameter estimation of neural network to improve convergence and computation complexity. We discuss how an efficient algorithm should be developed for neural network learning by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심층 신경회로망 모델을 이용한 일별 주가 예측 (Daily Stock Price Forecasting Using Deep Neural Network Model)

  • 황희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9-44
    • /
    • 2018
  • 심층 신경회로망은 적합한 수학적 모델에 대한 어떠한 가정 없이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해서 예측에 필요한 입출력 관계를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시계열 예측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가의 일별 종가를 예측하기 위한 심층 신경회로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심층 신경회로망은 예측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단일 층의 오토인코더와 4층의 신경회로망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오토인코더 층은 주가 예측에 필요한 최적의 입력 특징을 추출하고 4층의 신경회로망은 추출된 특징을 사용해 주가 예측에 필요한 동특성을 반영하여 주가를 출력한다. 제안된 심층 신경회로망의 학습은 층별로 단계적으로 이뤄지며 최종 단계에서 전체 심층 신경회로망에 대해 한 번 더 학습이 실행된다. 본 논문에 제안된 방법으로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일별 종가를 예측하는 심층 신경회로망을 구현하고 기존 방법과 예측 정확도를 비교, 평가한다.

Shear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Neural Network

  • Yang, Keun-Hyeok;Ashour, Ashraf F.;Song, Jin-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권1호
    • /
    • pp.63-73
    • /
    • 2007
  • Optimum multi-layered feed-forward neural network (NN) models using a resilient back-propagation algorithm and early stopping technique are built to predict the shear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deep and slender beams. The input layer neurons represent geometrical and material properties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and the output layer produces the beam shear capacity. Training, validation and testing of the developed neural network have been achieved using 50%, 25%, and 25%, respectively, of a comprehensive database compiled from 631 deep and 549 slender beam specimens. The predictions obtained from the developed neural network models are in much better agreement with test results than those determined from shear provisions of different codes, such as KBCS, ACI 318-05, and EC2.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atio between predicted using the neural network models and measured shear capacities are 1.02 and 0.18, respectively, for deep beams, and 1.04 and 0.17, respectively, for slender beam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different parameters on the shear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predicted by the developed neural network shows consistent agreement with those experimentally observed.

돌연변이 연산 기반 효율적 심층 신경망 모델 (A Deep Neural Network Model Based on a Mutation Operator)

  • 전승호;문종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12호
    • /
    • pp.573-580
    • /
    • 2017
  • 심층 신경망은 많은 노드의 층을 쌓아 만든 거대한 신경망이다. 심층 신경망으로 대표되는 딥 러닝은 오늘날 많은 응용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다년간의 연구를 통해 심층 신경망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이 식별되고 있다. 이 중 일반화는 가장 널리 알려진 문제점들 중 하나이며, 최근 연구 결과인 드롭아웃은 이러한 문제를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해결하였다. 드롭아웃은 노이즈와 같은 역할을 하여 신경망이 노이즈에 강건한 데이터 표현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오토인코더와 관련된 연구에서 이러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하지만 드롭아웃은 빈번한 난수 연산과 확률연산으로 인해 신경망의 학습 시간이 길어지고, 신경망 각 계층의 데이터 분포가 크게 변화하여 작은 학습율을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돌연변이 연산을 사용하여 비교적 적은 횟수의 연산으로 드롭아웃과 동등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는 모델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하여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이 드롭아웃 방식과 동등한 성능을 보임과 동시에 학습 시간 문제를 개선함을 보인다.

Shear strength estimation of RC deep beams using the ANN and strut-and-tie approaches

  • Yavuz, Gunnur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7권4호
    • /
    • pp.657-680
    • /
    • 2016
  • Reinforced concrete (RC) deep beams are structural members that predominantly fail in shear. Therefore, determining the shear strength of these types of beams is very important. The strut-and-tie method is commonly used to design deep beams, and this method has been adopted in many building codes (ACI318-14, Eurocode 2-2004, CSA A23.3-2004).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in predicting the shear strength of RC deep beams is investigated as a different approach to the strut-and-tie method. An ANN model was developed using experimental data for 214 normal and high-strength concrete deep beams from an existing literature database. Seven different input parameters affecting the shear strength of the RC deep beams were selected to create the ANN structure. Each parameter was arranged as an input vector and a corresponding output vector that includes the shear strength of the RC deep beam. The ANN model was trained and tested using a multi-layered back-propagation method. The most convenient ANN algorithm was determined as trainGDX. Additionally, the results i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accuracy of the strut-and-tie model in ACI318-14 in predicting the shear strength of the RC deep beam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ame test data. The study shows that the ANN model provides acceptable predictions of the ultimate shear strength of RC deep beams (maximum $R^2{\approx}0.97$). Additionally, the ANN model is shown to provide more accurate predictions of the shear capacity than all the other computed methods in this study. The ACI318-14-STM method was very conservative, as expected. Moreover, the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ANN model predicts the shear strengths of RC deep beams better than does the strut-and-tie model approaches.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KOMPSAT-3/3A/5 영상으로부터 자연림과 인공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Forests from KOMPSAT-3/3A/5 Images Using Deep Neural Network)

  • 백원경;이용석;박숭환;정형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3호
    • /
    • pp.1965-1974
    • /
    • 2021
  • 위성 원격탐사 기법은 산림 모니터링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 독자 운영 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을 활용하였을 때 특히 의미 깊다. 최근 들어 위성 원격탐사 자료에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산림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머신러닝 기법을 통하여 제작된 산림모니터링 정보는 기존 산림 모니터링 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머신러닝 기법의 경우 관심 지역과 활용 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분류 정확도가 크게 달라지므로 다양한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분류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삼척 지역에 대해 심층신경망을 적용함으로써 인공림과 자연림의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픽셀 정확도가 약 0.857, F1 Score가 자연림과 인공림에 대해 각각 약 0.917과 0.433로 확인되었다. F1 score를 보았을 때 인공림의 분류 성능이 절대적으로는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하지만 기존의 인공림과 자연림 분류 성능에 대해 F1 score를 기준으로 약 0.06, 그리고 0.10 향상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에 합성곱신경망 기반의 추가적인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모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Multi-layered attentional peephole convolutional LSTM for abstractive text summarization

  • Rahman, Md. Motiur;Siddiqui, Fazlul Hasan
    • ETRI Journal
    • /
    • 제43권2호
    • /
    • pp.288-298
    • /
    • 2021
  • Abstractive text summarization is a process of making a summary of a given text by paraphrasing the facts of the text while keeping the meaning intact. The manmade summary generation process is laborious and time-consuming. We present here a summary generation model that is based on multilayered attentional peephole convolutional long short-term memory (MAPCoL; LSTM) in order to extract abstractive summaries of large text in an automated manner. We added the concept of attention in a peephole convolutional LSTM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a summary by giving weights to important parts of the source text during training.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with regard to semantic coherence of our MAPCoL model over a popular dataset named CNN/Daily Mail, and found that MAPCoL outperformed other traditional LSTM-based models. We found improvements in the performance of MAPCoL in different internal settings when compared to state-of-the-art models of abstractive text summarization.

블록체인 기반의 시계열 정보를 이용한 클라우드 엣지 환경의 효율적인 AIoT 정보 연계 처리 기법 (Efficient AIOT Information Link Processing in Cloud Edge Environment Using Blockchain-Based Time Series Information)

  • 정윤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15
    • /
    • 2021
  • 최근 5G와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클라우드 엣지 환경에서 정보를 수집/처리/분석 하기 위한 AIoT 기술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AIoT 기술은 다양한 스마트 환경에 적용되고 있지만 수집된 정보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빠른 대응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환경에서 수집된 정보를 AIoT에서 빠른 처리와 정확한 분석/예측을 통해 AIoT 정보들간 연계 처리를 블록 처리함으써 대역폭 및 처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블록체인으로 수집된 정보를 다중 연계하여 AIoT 장치에서 데이터 인덱스에 대한 시드를 생성하여 수집정보와 함께 블록처리하여 데이터 센터로 전달한다. 이 때, 클라우드와 AIoT 장치사이는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배치하여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이도록 하였다. 그리고, 서버/데이터센터에서는 전달된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통해 정확하지 못한 AIoT 정보의 정확도를 개선하여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기법은 AIoT 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블록체인으로 그룹핑하기 때문에 계층화된 다층 네트워크로 분할 가능하도록 하여 데이터 지연시간을 최소화하였다.

적은 양의 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계층별 데이터 증강 알고리즘 (A layered-wise data augmenting algorithm for small sampling data)

  • 조희찬;문종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5-72
    • /
    • 2019
  • 데이터 증강(Data Augmentation)은 적은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의 양을 늘리는 기술이다.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셋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데이터의 부족은 모델 학습 시, 데이터 셋의 특징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 이외에도 과소적합 및 과적합에 빠질 위험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토인코더와 고유값 분해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증강 기법을 통해 데이터를 증강 시키고 이를 심층 신경망의 각 층 마다 적용하여, 심층 신경망을 효과적으로 사전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후, WOBC 데이터와 WDBC 데이터에 대해 실험을 통하여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지 측정하고 기존 연구들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실질적으로 의미가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델의 학습에 효과적임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