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ision-tree technique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41초

CAE와 Decision-tree를 이용한 사출성형 공정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jection Molding Process Using CAE and Decision-tree)

  • 황순환;한성렬;이후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80-586
    • /
    • 2021
  • 현재 사출성형분야의 Computer Aided Testing(CAT) 방법론으로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를 이용한 수치 해석 기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시뮬레이션에 추가로 인공지능 기법을 응용하는 방법론이 연구되고 있다. 우리는 지난 연구에서 다양한 Machine Learning 기법을 활용하여 사출 성형 공정에 따른 변형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MLP(Multi-Layer Perceptron) 예측모델을 생성하였고, HMA(Hybrid Metaheuristic Algorithm)를 이용하여 최적화 결과를 얻어냈다. 그러나 MLP는 예측 성능이 우수한 반면 블랙박스와 같이 결정 과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Radiator Tank 부품에 대하여 사출 성형 해석 소프트웨어인 Autodesk Moldflow 2018을 이용하여 수치 해석 기법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Machine Learning 소프트웨어인 RapidMiner Studio version 9.5를 활용하여 여러 Machine Learning Algorithms 모델을 생성하여 평균 제곱근 오차를 비교하였다. Decision-tree는 Root Mean Square Error(RMSE) 값이 다른 Machine Learning 기법에 비해 양호한 예측 성능을 갖추고 있었다. Decision-tree의 크기를 결정하는 Maximal Depth에 따라 분류 기준을 높일 수 있지만 복잡성도 함께 증가시켰다. Decision-tree를 이용하여 구속 조건을 만족하는 중간 값을 선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기존의 시뮬레이션만 진행한 것보다 7.7%의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의사결정나무법을 이이용한 병인(病因)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thogenesis Classification using Decision Tree Method)

  • 이혁재;김민용;오환섭;박영배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7-40
    • /
    • 2008
  • Background : In spite of the predominant of the theory of Pathogenesis, the method of Pathogenesis classification is depending on the doctor's clinical trials because od the lack of the objective test criteria.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is trying to improve the objectiveness of classification using a new statistical method, decision tree. Decision tree method -a classification techniqu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 of pathogenesis questionnaire instead of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s a result, 10 among 38 pathogenesis questionnaire was selected as important questions and 12 terminal nodes was built to classify the pathogenesis. Conclusions : Using only 10 questions shown in the result of decision tree, we can classify and interpret the pathogenesis easily and effectively.

  • PDF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이후 농촌관광객의 선호 특성 세분화 연구 (A Study on Segmentation of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Rural Tourists after COVID-19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 이승훈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411-426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iagnose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ural patterns of rural tourists after COVID-19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to classify and identify key segmentation group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CHAID algorithm was used as the analysis technique for the decision tree. The explanatory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of each decision tree model were demographic variables and rural tourism usage behaviour and perception variables, and the target variables were the preferences of rural tourists' activities after COVID-19. From the Rural Tourism 2020 survey data, 614 samples with rural tourism experience were extracted and used in the analysis. Findings -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preference for each type of rural tourism activity after COVID-19 were rural tourism safety perception, repeated visits to the region, rural tourism priority activity, rural tourism accommodation experience, gender, age group,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Among them, rural tourism safety perception was the most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 in each analysis model.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Overall, to promote rural tourism,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safety image of rural tourism, strengthen loyalty programs for repeat visitors, and develop customized products that reflect the preferred trends of rural tourism.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예측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slope hazards prediction using decision tree model)

  • 송영석;조용찬;채병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233-242
    • /
    • 2009
  •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field investigation and soil testing to slope hazards occurrence section and non-occurrence section in crystalline rocks like gneiss, granite, and so on, 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by the use of a decision tree model.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selected prediction model is composed of the slope angle,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the void ratio in the order. The computer program, SHAPP ver. 1.0 for prediction of slope hazards around an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using GIS technique and the developed model. To prove the developed prediction model and the computer program, the field data surveyed from Jumunjin, Gangneung city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ion result in the same site. As the result of comparison, the real occurrence location of slope hazards was similar to the predicted section.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the accuracy about prediction result of slope hazards will be upgraded and the computer program will be commonly used in practical.

  • PDF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다변량 공정관리 절차 (Multivariate process control procedure using a decision tree learning technique)

  • 정광영;이재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639-652
    • /
    • 2015
  • 현대의 제조공정은 컴퓨터의 발전과 통신 및 네트워크의 발달로 컴퓨터통합제조가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고품질 제품의 고속 생산공정이 확대되고, 공정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다양한 품질변수들의 데이터 축적 또한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통계적 공정관리 절차가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다변량 관리도는 이상상태 발생시 이상신호를 주지만, 이상원인이 어떠한 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과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사결정나무 학습 기법을 이용한 다변량 공정관리 절차를 소개하고, 이변량인 경우 모의실험을 통하여 그 효율을 살펴보았다. 모의실험 결과를 살펴볼 때, 상관계수에 따라 이상상태 탐지 능력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상상태에 대한 분류 정확도는 상관계수와 이상원인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존의 다변량 관리도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이상원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라프셋 이론이 적용에 의한 ID3의 개선 (Improvement of ID3 Using Rough Sets)

  • 정홍;김두완;정환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70-174
    • /
    • 1997
  • This paper studies a method for making more efficient classification rules in the ID3 using the rough set theory. Decision tree technique of the ID3 always uses all the attributes in a table of examples for making a new decision tree, but rough set technique can in advance eleminate dispensable attributes. And the former generates only one type of classification rules, but the latter generates all the possibles types of them. The rules generated by the rough set technique are the simplist from as proved by the rough set theory. Therefore, ID3, applying the rough set technique, can reduct the size of the table of examples, generate the simplist form of the classification rules, and also implement an effectie classification system.

  • PDF

의사결정수 기법을 이용한 교량확폭에 관한 의사결정모델 개발 (Decision Making Model for Widening Bridges Using Decision Tree Technique)

  • 조효남;박진형;선종완;윤만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87-194
    • /
    • 2008
  • 도로교량의 경우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증가한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 교량확폭과 신설교량의 추가 건설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확폭 또는 신설 교량의 추가건설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합리적인 절차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교량 확폭 공사 시에는 일반적인 교량신설 공사에 비해 불확실성을 내포한 사건들이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수 방법을 이용해 교량확장에 따라 발생 가능한 사건의 기대 위험비용을 체계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생애주기비용 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적용한 DSRC 통행속도패턴 분류방안 (Study on the Classification Methodology for DSRC Travel Speed Patterns Using Decision Trees)

  • 이민하;이상수;남궁성;최기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1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DSRC 기반 통행속도 이력데이터를 활용하여 IC-IC 구간 단위의 통행패턴을 도출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방대한 이력정보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단순하지만 정확성 높은 방법으로 도로의 통행패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통행패턴 분류는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적용하였고, 월 시간대 구간 단위로 분리된 통행패턴을 생성하여 시 공간이 변화되어도 이에 대응 가능하도록 하였다. 경부고속도로 서울TG~안성IC 구간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적용한 결과, 요일 기준으로 (월)(화 수 목)(금)(토)(일) 5개 그룹으로 고정 통행패턴이 분류되었다. 분류 결과를 영동, 중부, 중부내륙 고속도로의 9개 구간에 적용하여 통계적 검증을 수행한 결과 약 93%의 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를 통한 통행패턴 오차를 개선하기 위하여 4개의 추가변수를 도입한 결과, "직전월의 소통상황"을 설명변수로 추가할 경우 통행속도 분산이 약 50%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실제 상황에 적용할 경우 소통 원활 시의 오차가 약 4% 감소되었다.

계층구조의 속성을 가지는 의사결정 문제의 선호순위도출을 위한 수리계획모형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s for Establishing Dominance with Hierarchically Structured Attribute Tree)

  • 한창희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4-55
    • /
    • 2002
  • This paper deals with the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aking problem when a decision maker incompletely articulates his/her preferences about the attribute weight and alternative value. Furthermore, we consider the attribute tree which is structured hierarchically. Techniques for establishing dominance with linear partial information are proposed in a hierarchically structured attribute tree. The linear additive value function under certainty is used in the model. The incompletely specified information constructs a feasible region of linear constraints and therefore the pairwise dominance relationship between alternatives leads to intractable non-linear programming. Hence, we propose solution techniques to handle this difficulty. Also, to handle the tree structure, we break down the attribute tree into sub-trees. Due to there cursive structure of the solution technique, the optimization results from sub-trees can be utilized in computing the value interval on the topmost attribute. The value intervals computed by the proposed solution techniques can be used to establishing the pairwise dominance relation between alternatives. In this paper, pairwise dominance relation will be represented as strict dominance and weak dominance, which ware already defined in earlier researches.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단기부하예측 (Short-term demand forecasting Using Data Mining Method)

  • 최상열;김형중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6-1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단기 부하 예측을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기존의 단기 부하 예측은 시계열 분석 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방법은 방대한 양의 자료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계수를 이용하여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좀 더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부하예측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요일별 그리고 특수 일의 패턴을 분석하고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한 예측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전력거래소를 통해 거래되고 있는 계통한계가격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예측 계수에 계통한계가격을 추가하여 예측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