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cay rate

검색결과 603건 처리시간 0.038초

마의 수확후 처리 및 저장 온도 최적화 (Optimization of Curing Treatment and Storage Temperature of Chinese Yam)

  • 이동석;박윤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289-298
    • /
    • 2013
  • 마의 수확 후 관리기술 최적화 일환으로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치유 처리 및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마 괴근은 11월 초 중순에 수확하였고 수확후처리로서 상온과 $29^{\circ}C$ 열풍 조건에 따라 기간을 달리하는 치유과정을 거쳤다. 치유처리 후 저장온도는 저온장해 발생여부 판단과 저장 기간 최적화를 위해 $0.5-7.5^{\circ}C$ 범위에서 검증과정을 거쳤고 저장기간은 4개월에서 7개월까지 점진적으로 연장하였다. 저장 후 유통품질 유지를 위한 처리로는 단시간 $60^{\circ}C$ 열풍처리 후 $20^{\circ}C$ 상온유통과 $7^{\circ}C$ 저온유통 효과를 비교하였다. 수확 후 치유처리는 마의 호흡속도를 감소시켰고 상온치유보다는 3-5일 열풍치유가 장기저장 후 경도를 유지하고 중량감소를 낮춤으로써 품질유지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다양한 저장온도를 설정한 장기 저장 실험결과, $0.5^{\circ}C$에 저장된 마는 유통과정에서 저온장해 현상으로 판단되는 호흡속도의 증가와 조직붕괴 및 연화현상으로 인한 상품성의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적정 저장온도로는 저온장해 현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3-4^{\circ}C$ 범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기저장 후 유통과정에서는 발근과 부패 억제 등 품질유지를 위해 저온유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는 수확 후 열풍치유와 $3-4^{\circ}C$ 저장 및 저장 후 저온유통 과정으로 구성되는 최적화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7개월 이상 저장 후까지 품질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막 단백질인 Proteorhodopsin과 Anabaena Sensory Rhodopsin의 다양한 측정 환경에 따른 광화학/생물리학적 특성 (Photochemical/Biophysical Properties of Proteorhodopsin and Anabaena Sensory Rhodopsin in Various Physical Environments)

  • 최아름;한송이;정영호;정광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2-29
    • /
    • 2011
  • Chromophore로 레티날(vitamin A)을 사용하는 막 단백질인 로돕신은 7개의 막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최근 광화학/생물리학 측정 방법이 다양해지면서, 그에 따른 새로운 특성도 함께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측정 환경에 따른 그 광화학/생물리학 특성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첫째,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소 이온 펌프 역할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roteorhodopsin (PR)은 해양 proteobacteria에서 발견 되었다. 둘째, 한 오페론에서 14 kDa 전달자와 같이 발현되면서 신호 전달 기능을 하는 Anabaena sensory rhodopsin (ASR)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미생물 로돕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각 단백질이 막에 끼어 있는 상태(membrane state), polyacrylamide gel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 nonionic detergent일종인 DDM (n-dodecyl-${\beta}$-D-maltopyranoside)과, OG (octyl-${\beta}$-D-glucopyranoside)에 녹아 있는 상태, 좀더 자연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위해 단백질만 깨끗하게 정제한 다음 다시 Escherichia coli의 지질인 DOPC (1,2-di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에 재조립한 상태, 이렇게 5가지 조건에서 각각의 광화학/생물리학 특징을 흡수스펙트럼(absorption spectrum), 빛-어둠 차이 흡수스펙트럼(light-induced difference spectrum), 포토사이클(photocycl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DM에 녹아 있는 PR과 ASR에서 각 다른 파장에서 M과 O state와 같은 선명한 photointermediate를 가지고, 가장 signal/noise 비율이 좋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막단백질의 다양한 측정 환경에 대한 그 특성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다양한 종류의 로돕신 연구에 기초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 배에서 분리한 Penicillium속의 배양적 특성과 RAPD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enicillium species Isolated from Postharvest Decay of Pear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김주희;이왕휴;유영진;정성수;최정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8-85
    • /
    • 2002
  • 저장배에서 분리한 15그룹 3종을 KCTC, KCCM, 충남대에서 분양받은 16균주를 대상으로 상호 유연관계를 분석하고자 배양적 특성을 관찰하고 RAPD 검정에 의한 진단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병원균의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배지상 생육형태, 색, 속도 등에 있어서 균주간 차이를 보였으며 배양적 특성과 RAPD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배에서 분리한 15개 균주와 16개 표준 균주의 종간 다형성을 관찰하였다. RAPD을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5개의 URP primer를 이용하여 genomic DNA를 증폭시킨 결과 $0.1{\sim}2.0kb$ 크기의 총 744개 band들이 증폭되었다. cluster 분석결과 전체 유사도는 47.7%로 31 균주들은 4개의 genomic DNA RAPD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배에서 분리한 P. expansum 균주간에는 87.4%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고, P. solitum 균주간에는 97.5%, P. crustosum 균주 간에는 95.1%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배에서 분리된 동일한 종내에서는 배양적 특성에 의한 동정결과와 RAPD에 의한 분석결과와 일치하였다.

미디에이터 시스템의 적응적 구체화 질의 선택방법 (An Adaptive Materialized Query Selection Method in a Mediator System)

  • 주길홍;이원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1호
    • /
    • pp.83-94
    • /
    • 2004
  • 다양한 분산정보의 통합을 위하여 전역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데이터들을 지역서버의 자치성을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미디 에이터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미디에이터에서의 전역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미디에이터에서 전역질의는 원격지서버의 질의처리 단위인 부분질의의 집합으로 표현되어진다. 따라서, 미디에이터가 부분질의의 결과를 구체화방법으로 관리한다면 관련된 질의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미디에이터에서는 통합 스키마의 변경이 자유롭고, 사용자의 질의가 자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구체화부분질의를 결정하기 위해서 전역질의의 빈발정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부분질의의 수가 증가할수록 최적화의 수행시간이 매우 길어지기 때문에 부분질의 빈도의 최근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디에이터 시스템의 저장공간의 활용율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구체화부분질의 군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과거와 최근의 부분질의의 활용형태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므로 시간에 따른 감쇄율을 활용빈도에 적용하여 최근의 활용빈도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활용형태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새로운 구체화부분질의 군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천연항균제처리에 의한 과채류의 선도유지 및 병해방지에 관한 연구 -저장중 병리적 장해 방지를 중심으로- (Prevention from microbial post-harvest injury of fruits and vegetables by using grapefruit seed extract, a natural antimicrobial agent)

  • 조성환;서일원;이근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5-270
    • /
    • 1993
  • 과채류의 저장중, 신선도를 유지하고 병리적 장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천연 식물성 항균제인 grapefruit종자추출물(GFSE)로 처리하여 과채류의 품질향상을 유도할 수 있었고 저장시 과채류 부패병원균의 감염 및 생육을 억제할 수 있었다. Grapefruit종자추출물은 세균, 곰팡이 등, 광범위한 범위의 식물변패미생물에 대하여 $50\;ppm{\sim}2,000\;ppm$의 처리농도로 뚜렷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변패된 과채류에서 분리한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세균을 100 ppm의 GFSE용액으로 처리하여 균체세포의 세포막기능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균체외부로 유출되어 균체의 생육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곰팡이 Fusarium sp.의 균사체도 1,000 ppm의 용액처리로 세포벽기능이 파괴되었고, Penicillum sp.의 포자 내용물도 GFSE처리로 소실되어 정상적인 발아기능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농가에서 수확한 대파, 양파, 고추 등을 GFSE용액에 침지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색택 및 조직면에서 우수한 저장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감자의 발아를 억제하고, 호박, 오이, 토마토, 밀감 등 과채류의 신선도를 상당기간 동안 연장할 수 있었다.

  • PDF

DAF를 이용한 정수처리 공정에서의 오존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Ozone Application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DAF)

  • 강태희;오병수;정연정;권순범;손병용;강준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67-5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이용한 정수처리 공정에 오존을 도입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오존의 수처리 적용시 공정제어 인자로 활용할 수 있는 I.D, $k_c$, 오존-Ct 및 OH 라디칼-Ct 등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원수, DAF 처리수 및 여과수에 대한 오존처리 실험을 실시하여 오존공정의 최적 위치 및 주입량을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오존-Ct와 OH 라디칼-Ct는 DAF 처리수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DAF 공정의 체류시간인 30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각 공정수에 대한 오존처리 실험을 실시한 결과, 중오존이 전 후오존에 비해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오존주입농도는 $1{\sim}2\;mg/L$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중오존 / DAF(ozoflotation) 공정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Synthesis and Evaluation of F-18 Labeled 2'-Deoxy-2'-fluoro-5-methyl-1-β-L-arabinofuranosyluracil (L-[18F]FMAU)

  • Jo, Nam-Hyun;Moon, Byung-Seok;Hong, Su-Hee;An, Gwang-Il;Choi, Tae-Hyun;Cheon, Gi-Jeong;Cho, Jung-Hyuck;Yoo, Kyung-Ho;Lee, Kyo-Chul;Oh, Chang-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449-2453
    • /
    • 2007
  • L-[18F]FMAU ([18F]1b) was prepared from the precursor 2-O-[(trifluoromethyl)-sulfonyl]-1,3,5-tri-Obenzoyl- α-L-ribofuranose, by coupling the radioactive fluoro-sugar with the corresponding silylated thymine in 4 steps. The final products, including the α and β anomers, were purified using reverse phase HPLC with an appropriate solvent (5% CH3CN/H2O) at a flow rate of 3.0 mL/min. The total elapsed time of synthesis was about 180-200 min from EOB. The α/β anomeric ratio of the compounds was about 1:9, and the radiochemical purity of the product (β-form) was >98% with decay-corrected yields of 25-35%. All radioactive samples were confirmed using co-injection with pure non-radioactive analogues in every step. In the cellular uptake in vitro test of herpes simplex virus-thymidine kinase (HSV1-TK) gene expressed cells, the percent uptake of injected dose (%ID) of L- and D-FMAU was 37.28 and 65.86, respectively after 240 min incubation. However, the relative uptake (MCA-TK/MCA cellular uptake ratio) of L-FMAU was higher than that of D-FMAU (%ID of L-FMAU, 0.36 and D-FMAU, 0.93 after 240 min incubation in MCA cells). This means that L-FMAU will show better specific HSV1-TK gene expressed cell uptake for selective HSV1-TK gene imaging.

Haloperidol의 약물속도론적 연구 (III) -정신분열증 환자에 있어서 Haloperidol의 일회 주사 및 경구투여시의 Pharmacokinetics- (Pharmacokinetics of Haloperidol (III) -The Pharmacokinetics of Haloperidol after single oral and intravenous doses in schizophrenic patients-)

  • 박경호;이민화;이명걸;권준수;박원명;박진생
    • 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75-383
    • /
    • 1990
  • The pharmacokinetics of haloperidol were determined after single oral and intravenous doses in 13 male schizophrenic patients. Plasma concentrations of haloperidol(HP) and reduced haloperidol(RH)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lasma concentration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obth model dependent (one-or two exponential decay models using nonlinear regression) and model independent (AUC and first moment curve) approaches. The two methods were found to be in close results. After intravenous injections of HP in 8 patients (10 mg/man), the mean central and peripheral volume of distributions were $2.85\;{\pm}\;1.70$ and $8.09\;{\pm}\;2.10\;l/kg$, respectively, and mean steady state volume of distribution was $11.87\;{\pm}\;3.21\;l/kg$. Mean clearance, MRT and elimination half life were $12.39\;{\pm}\;3.25\;ml/min/kg$, $925.10\;{\pm}\;166.79\;min$ and $676.35\;{\pm}\;126.45\;min$, respectively. After oral administrations of HP in 5 patients, mean peak time and peak concentration were $217.63\;{\pm}\;61.60\;min$ and $9.77\;{\pm}\;2.92\;ng/ml$, respectively. Mean MRT and elimination half life were $1112.23\;{\pm}\;131.73\;min$ and $724.02\;{\pm}\;120.03\;min$, respectively, and these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intravenous injection of HP. Absolute bioavailability of HP oral product was found to be about 44%. The profiles of plasma RH concentration-time curves after oral or intravenous doses of HP were similar. Also it was found that the elimination rate of RH was solwer than that of HP by comparing the slopes of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s of HP and RH.

  • PDF

Polyethylene Film 두께에 따른 딸기의 MA(Modified Atmosphere) 저장 효과 (Effect of PE Film Thickness on MA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Strawberry)

  • 김종국;문광덕;손태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84
    • /
    • 1993
  • 딸기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PE 필름포장에 의한 저장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두께의 PE 필름에 딸기를 저온저장하면서 포장내부의 기체조성변화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 그리고 여러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내 기체조성은 저장 초기에 급격히 변화하여 저장 14일 이후에는 $CO_2$농도 5~10%, $O_2$농도 1~3%를 유지하였다. 딸기의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은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으며 pH, 적정산도 및 당도는 저장 전기간을 통하여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PE 필름의 두께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PE 필름 포장에 의해 감소가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과육의 a value 역시 PE 필름 포장에 의하여 감소가 억제되었다. 딸기의 유리당은 glucose 와 fructose가 비슷한 함량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저장중 다소 감소하였으나 필름의 두께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의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sco-rb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및 pyruvic acid의 순으로 그 함량이 많았으며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ascorbic acid는 저장중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oxalic acid와 tartaric aci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pyruvic acid는 다소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유기산의 저장중 변화는 필름이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다. 저장을 위한 최적 필름두께는 0.08mm PE 필름으로 나타났다.

  • PDF

저온저장 온도가 '상주둥시' 감의 과실품질 및 저장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Fruit Quality Attributes and Storage Disorders in Cold-stored 'Sangjudungsi' Persimmon Fruit)

  • 유진기;강인규;박준연;김경욱;나이묘위;류슬기;김대현;정명근;이진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2-269
    • /
    • 2016
  • 본 연구는 '상주둥시' 감을 3개월동안 -1, 0.5, $3^{\circ}C$에 저장하면서 감 과실의 과실품질 변화와 저장장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감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그 발생량이 낮았으나 호흡율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과실의 경도는 모든 처리구들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였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과실 경도의 저하는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지고 저장온도가 높을 수록 과실의 연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과실의 감모율도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더 높게 유지되었다. 감 과실의 과정부와 과실측면의 과피색 $L^*$, $a^*$, $b^*$ 값의 변화는 저장온도 $-1^{\circ}C$$0.5^{\circ}C$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3^{\circ}C$처리구에서는 과피색의 변화가 현저히 적었다. 저장중 발생하는 생리장해증상인 과피흑변, 과실연화 및 부패정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그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과실품질이 현저히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