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ay Curve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Numerical Model for Cerebrovascular Hemodynamics with Indocyanine Green Fluorescence Videoangiography

  • Hwayeong Cheon;Young-Je Son;Sung Bae Park;Pyoung-Seop Shim;Joo-Hiuk Son;Hee-Jin Ya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4호
    • /
    • pp.382-392
    • /
    • 2023
  • Objective : The use of indocyanine green videoangiography (ICG-VA) to assess blood flow in the brain during cerebrovascular surgery has been increasing. Clinical studies on ICG-VA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qualitative analysis. However, quantitative analysis numerical modelling for time profiling enables a more accurate evaluation of blood flow kinetic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multiple exponential modified Gaussian (multi-EMG) model for quantitative ICG-VA to understand accurately the status of cerebral hemodynamics. Methods : We obtained clinical data of cerebral blood flow acquired the quantitative analysis ICG-VA during cerebrovascular surgery. Varied asymmetric peak functions were compared to find the most matching function form with clinical data by using a nonlinear regression algorithm. To verify the result of the nonlinear regression, the mode function was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ata. Results : The proposed multi-EMG model is well fitted to the clinical data. Because the primary parameters-growth and decay rates, and peak center and heights-of the model are characteristics of model function, they provide accurate reference values for assessing cerebral hemodynamics in various conditions. In addition, the primary parameters can be estimated on the curves with partially missed data. The accuracy of the model estimation was verified by a repeated curve fitting method using manipulation of missing data. Conclusion : The multi-EMG model can possibly serve as a universal model for cerebral hemodynamics in a comparison with other asymmetric peak fun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del can be helpful for clinical research assessment of cerebrovascular hemodynamics in a clinical setting.

In Vitro 자계(磁界) 측정에 의한 비소화합물의 폐포 Macrophage 독성 평가 (In Vitro Magnetometric Evaluation far Toxicity to Alverolar Macrophage of Arsenic Compounds)

  • 조영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4호
    • /
    • pp.467-472
    • /
    • 1999
  • 본 연구는 반도체 산업에서 반도체소자로서 주목받고 있는 GaAs, InP및 InAs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햄스터의 폐포 대식세포를 사용하여 in vitro 자계 측정, LDH 활성치측정 및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 등을 검토하였다. 세포자계측정 결과 GaAs, InP 및 InAs첨가군 모두 대조군(PBS첨가군)에 비해 완화곡선이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특히 GaAs 첨가군은 농도증가에 따라 용량의존적으로 완화곡선이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자화 후 2분간의 완화계수는 대조군에 비해 GaAs 첨가군은 농도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낮아지는 용량의존성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InP 및 InAs 첨가군에서는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LDH활성치는 GaAs, InP 및 InAs첨가군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소견은 GaAs첨가군에서는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막의 현저한 파괴, 핵의 형태적 변화 등 심한 세포장해가 유발된 반면, InP첨가군과 InAs첨가군에서는 세포내의 구조는 유지되었으나 세포질의 변성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GaAs는 InP나 InAs보다 폐포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의료용(醫療用) 선형가속기(線型加速器)에 의한 산난공간(散亂空間) 선량분포(線量分布)와 유도방사능(誘導放射能) (Induced Activity and Space Dose Distribution from Medical Linear Accelerator)

  • 추성실;박창윤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51-56
    • /
    • 1986
  • 방사선(放射線)의 의학적(醫學的) 진단치료(診斷治療) 이용률(利用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의료인(醫療人)과 환자(患者)들에 대한 방사선(放射線) 피폭확률(被曝確率)이 비예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되어 정량적(定量的)인 분석(分析)과 피폭관리(被曝管理)의 필요성(必要性)이 요구(要求)되고 있다. 연세(延世) 암센터는 암치료(癌治療)를 위하여 설치사용(設置使用)되고 있는 의료용(醫療用) 고(高)에너지 선형가속기(線型加速器)에 대한 누출(漏出) 및 산난선(散亂線)의 방어벽(防禦壁)과 방어계획(防禦計劃)이 이미 준비(準備)되어 있다. 그러나 장치(裝置)의 사용빈도(使用頻度)가 증가(增加)됨에 따라 치료실내(治療室內)의 공간(空間) 선량분포(線量分布)와 광핵반응(光核反應)으로 인한 유도방사능(誘導放射能)의 위험성(危險性)을 인식(認識)하고 이들에 대한 노출량(露出量)을 전리함(電離函), 열형광측정기(熱螢光測程器) 및 에너지 분석기등(分析器等)을 이용(利用)하여 측정(測定)하였다. 18 MeV 전자선(電子線)에 의한 실중선량(室中線量)은 1 m 지점(地點)에서 종양선량(腫瘍線量)의 0.02%였고 X-선(線)에 의한 실중선량(室中線量)은 약(約) 0.12%였다. 선형가속기(線型加速器)에서 10 MV X-선(線)을 30 Gy 조사(照射)한 직후 광핵반응(光核反應)에 의한 유도방사능(誘導放射能)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0.65 mR/hr 였으며 광핵반응(光核反應)에 의한 중성자(中性子) 방사화(放射化)는 주로 Cu-64, W-185, Mo-94, Ta-182등(等)의 원소(元宵)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

CsI(Br) 단결정의 육성과 섬광특성 (Growth and Scintillation Characteristics of CsI(Br) Single Crystals)

  • 오문영;정용조;이우교;도시흥;강갑중;김도성;김완;강희동
    • 센서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41-349
    • /
    • 2000
  • CsI에 활성제로 $Br^-$ 이온을 1, 3, 5 혹은 10 mole % 첨가하여 Czochralski방법으로 CsI(Br) 단결정을 육성하였다. 육성한 CsI(Br) 단결정의 결정구조는 체심입방체였으며, 격자상수 ${\alpha}_0$$4.568\;{\AA}$이었다. CsI(Br) 단결정들의 흡수단 파장은 243 nm이었다. 그리고 흡수단 파장으로 여기 시킨 발광스펙트럼의 파장범위는 $Br^-$ 이온 농도에 관계없이 $300{\sim}600\;nm$이었고, 중심파장은 모두 약 440 nm이었으며, 발광강도는 $Br^-$ 이온을 3 mole % 첨가하였을 때 가장 컸다. $Br^-$ 이온을 3 mole % 첨가한 CsI(Br) 섬광체의 에너지 분해능은 $^{137}Cs$(662 keV)에 대해서는 15.0%, $^{54}Mn$(835 keV)에 대해서는 13.1%이었고, $^{22}Na$의 511 keV와 1275 keV에 대한 에너지 분해능은 각각 18.0% 와 6.3%이었다. 형광감쇠곡선은 빠른 감쇠 성분과 느린 감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빠른 감쇠성분은 $Br^-$ 이온의 농도에 관계없이 약 41 ns로 거의 일정하였다. 그리고 CsI(Br) 섬광체들의 시간 분해능은 $Br^-$ 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이성체쌍의 열중성자포획단면적비 측정

  • 박혜일;김헌준;이철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40-344
    • /
    • 1972
  • $^{79}$ Br, $^{80}$ Se, $^{103}$ Rh, $^{115}$ In 및 $^{133}$ Cs의 열중성자 포획시 혈성되는 이성체쌍의 비와 $^{79}$ Br, $^{80}$ Se 및 $^{l33}$Cs의 Epi-Cd 중성자 포획시 형성되는 이성체 쌍의 비를 측정하였다. 동 이성체비는 중성자 조사후 ${\gamma}$-선 분광분석법으로 얻은 붕괴곡선을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계측효율곡선은 전체불확실율이 악 1%인 표준선원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sigma$ high spin/($\sigma$ high spin+$\sigma$ low spin)으로 나타낸 열중성자로 생성된 $^{80, 80m}$Br, $^{81,81m}$Se, $^{014, 104m}$Rh, $^{116,116m}$In 및 $^{134, 134m}$Cs 쌍들의 이성체비는 각각 0.21$\pm$0.01, 0.14$\pm$0.02, 0.12$\pm$0.02, 0.69$\pm$0.07 및 0.058$\pm$0.004 이었다. Epi-Cd 중성자에 의해서 생성된 $^{80, 80m}$Br, $^{81,81m}$Se, 및 $^{134, 134m}$Cs 쌍의 이성체 비는 각각 0.19$\pm$0.02, 0.29$\pm$0.02 및 0,74$\pm$0,011 이었다. 실험적으로 얻은 본값을 통계적 모델로부터 얻은 이론치와 비교하여 본 결과 일반적인 일치를 보였다.다.

  • PDF

도정정도에 따른 식미치 관련 QTL 분석 (QTL Analysis Related to the Palatability Score According to Rice-polishing)

  • 박영희;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4-319
    • /
    • 2018
  • 본 실험은 청청과 낙동 조합을 약배양하여 육성한 120 계통을 이용하여 식미치 관련 알칼리붕괴도에 대한 QTLs를 분석하고 탐색된 QTLs 유전자에 위치한 DNA 마카를 선발하여 기존 품종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NDH 계통을 이용하여 알칼리붕괴도 변이를 조사한 결과 통일형 품종인 청청과 자포니카형 품종인 낙동 현미는 각각 1.9, 1.6를 보였으며 CNDH 계통은 $3.79{\pm}2.01$를 보였으며 변이 분포는 7.0-1.0까지 분포하였다. 모부본인 청청과 낙동 백미는 각각 5.6, 4.1를 보였으며 CNDH 집단의 평균은 $4.86{\pm}1.55$ 보였으며, 변이 분포는 7.0-2.0까지 분포하였다. 변이 분포 곡선은 비정규분포에 가까운 연속변이를 나타내었다. QTLs 분석에서 현미 1,2 반복에서 qBRA2, qBRA6, qBRA11, 백미 1반복에서 qHRA2-1, qHRA2-2, qHRA2-3, qHRA3, qHRA8, 2반복에서 qHRA2-1, qHRA2-2, qHRA2-3, qHRA3, 4반복에서 qHRA5으로, 이들은 각각 2번, 3번, 6번, 8번, 11번 염색체상에 탐색되었다. 현미, 백미 각 염색체상의 qBRA2, qBRA6, qBRA11의 표현형 변이는 1-9% 분포되었다. 알칼리붕괴도 관련 QTLs 분석 결과에서 탐색된 9개 marker를 토대로 모부본인 청청, 낙동을 기준으로 자포니카형 12품종, 인디카형 6품종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밴드양상으로 크기에 차이를 보이는 분리비에 적합한 11번 염색체 RM27258을 선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앞으로 미질이 좋은 벼 품종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 될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