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bris flow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1초

A Study on the Debris Flow Hazard Mapping Method using SINMAP and FLO-2D

  • Kim, Tae Yun;Yun, Hong Sic;Kwon, Jung Hwan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24
    • /
    • 2016
  • This study conducted an evaluation of the extent of debris flow damage using SINMAP, which is slope stability analysis software based on the infinite slope stability method, and FLO-2D, a hydraulic debris flow analysis program. Mt. Majeok located in Chuncheon city in the Gangwon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to compare the study results with an actual 2011 case. The stability of the slope was evaluated using a DEM of $1{\times}1m$ resolution based on the LiDAR survey method, and the initiation points of the debris flow were estimated by analyzing the overlaps with the drainage network, based on watershed 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used measured data from the actual case in the simulation instead of existing empirical equations to obtain simulation results with high reliability.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impact of the debris flow showed a 2.2-29.6%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dat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ent of damage can be effectively estimated if the parameter setting for the models and the debris flow initiation point estimation are based on measured data.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method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future as a useful hazard mapping technique among GIS-based risk mapping techniques.

부유잡목에 의한 흐름차단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Intercepted Flow Characteristics by Accumulated Debris)

  • 최계운;김영규;황영만;조상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46-850
    • /
    • 2007
  • In this study debris like branch or trash are washed and flowed from land to stream by rainfall runoff at mountain or urban stream specially rainy season. These kinds of debris are accumulated at hydraulic construct on the way of flow along the stream. The shape or ratio of like these accumulated debris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it is accumulated and the material what it is, so that it is influenced to be varied to flow characteristics. To be simple of accumulated debris shape, it was made experiments though the variation of open ratio and the shape of accumulated debris by lab experiment using straight channel with two piers. From the result, the water level is inverse proportion to open ratio, and the water level more sensitive to the debris‘ width than length at the same area of accumulated debris.

  • PDF

2상 유한체적모델 기반의 광역적 토석류 유동해석기법 (Two-phase Finite Volume Analysis Method of Debris Flows in Regional-scale Areas)

  • 정상섬;홍문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5-2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유동과 밀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운동량방정식으로 단순화된 2상 유한체적모델(Landflow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Hershel-Buckley 유동모델을 사용하여 토석류의 내부 및 기저 마찰과 복잡한 지형 및 연행침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토석류 해석 모델을 수치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Harten-Lax-van Leer-Contact(HLLC) 방법을 포함한 관련 유한체적모델을 도입하여 토석류의 경계면에 대한 해를 구하였다. 충격흡수능력, 수치적 등방성, 모델정확도, 질량보존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을 기반으로 원형 댐파괴, 비뉴턴 유체의 댐파쇄 및 다중 토석류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로부터 본 해석모델의 토석류 해석에 대한 수치적 안정성과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유동학적 특성의 토석류 흐름을 체계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토석류 유동특성이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탈면 경사 변화에 따른 토석류 거동의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Behavior of Debris Flow according to the Variances of Slope Angle)

  • 김성덕;윤일로;오세욱;이호진;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9-6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경사를 가진 비탈면에서 토석류의 거동과 메카니즘을 평가하는 것이다. 수치모의는 질량보존 및 운동량 보존에 관한 방정식에 기초하여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토석류 유동 메카니즘은 토석류, 소류집합유동, 소류이동 등의 3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우선 하류부에서 공급유량의 변화에 따른 직선 사면과 2단 경사 사면에 대한 유량, 유동심, 토사체적 농도를 조사하였다. 공급유량이 적을수록 토석류가 도달한 직후에만 유량과 유동심의 상승이 있었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공급유량의 증가로 인해 유량과 유동심의 곡선이 불안정하면서 높게 나타났다. RMS비 비교 결과 2단 경사 비탈면이 직선 비탈면보다 유량과 유동심이 적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2단 경사 비탈면에서 하류부의 경사각도 변화에 따른 유량, 유동심, 토사체적 농도를 조사하였다. 하류부 경사각도 $14^{\circ}$$16^{\circ}$사이의 유량과 유동심 곡선의 밴드폭이 다른 각도 사이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10초 이후에는 높은 값의 파동이 지속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중 강우에 따른 토석류 유출의 수치계산 (Study on the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due to Heavy Rainfall)

  • 김정한;민선홍;강상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89-395
    • /
    • 2009
  • 토석류에 대한 많은 수치 해석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일관된 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유출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소유역별 대상유역을 분할하고 토석류 입자와 유체를 일체화한 토석류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유역 하도망과 같은 유역의 지형량을 자동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준 수치고도모델(Quasi Digital Elevation Model)을 모형화함으로써 강우 유출량을 해석하였다. 계측된 토석류 자료와 강우자료를 입력하여 토석류 모형을 통합화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결과 대체로 토석류 유출과 유사한 하이드로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의한 점으로써 토석류는 30초 이내에 유출되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적 대응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GIS와 연계한 본 모형은 향후 토석류 유출에 따른 유역별 하천계획의 수립시 유효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방어구조물 형상에 따른 토석류의 유입특성과 위험도 평가 (In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nd Risk Assessment for Different Shapes of Defensive Structure)

  • 오승명;송창근;이승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3-98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ccording to shape of defensive structure and computed risk index. In order to simulate debris flow, two shapes of defensive structure were considered. Initial mass distribution was set with a rectangular shape and defensive structures were set semi-circular shape and rectangular shape,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a defensive structure with semicircular shape was more vulnerable to debris impact compared with rectangular shape because the flow mass became concentrated in quadrant part of the inner circle. If the velocity of the debris flow was less than 1 m/s, the risk assessment by FII (Flood Intensity Index) was much appropriate. However, when the movement of debris runout was faster than 1 m/s, the risk index of FHR (Flood Hazard Rating) provided improved classification due to its subdivided hazardous range.

토석류 피해저감을 위한 유연성 방호책 적용에 관한 연구 (Debris Flows Mitigation by means of Flexible Barriers)

  • 유병옥;장범수;최승일;최우경
    • 기술발표회
    • /
    • 통권2006호
    • /
    • pp.220-231
    • /
    • 2006
  • Debris flows are a natural hazard which looks like a combination of flood, land and rock slide. Large rainfall in July 2006 produced several large scale debris flows and many small debris flows that resulted in loss of life and considerable property and highway damage, as was widely reported in the national media. The hazard "debris flow" is still insufficiently researched Furthermore debris flows are very hard to predict. In this paper, a general over view of the debris flow problems along the highway, a generic way for the design and dimensioning of flexible barrier systems will be presented. A brief description of the various unique barrier types will be provided, too. The future for these barrier concepts looks promising because these barriers represent the state of art for such applications and are superior to many other available options.

  • PDF

한국 토석류의 이동거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s in Korea)

  • 최두영;백중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3B호
    • /
    • pp.193-201
    • /
    • 2012
  • 지난 10년이래 집중강우에 의해서 유발된 토석류가 우리나라에서 현저히 발생하고 있다. 그로 인해 산지유역에서 토석류는 가장 위험한 자연재해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토석류 위험지도와 방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이해해야 하고 정확히 예측해야 하는 것 중 하나는 발생한 토석류의 이동거리이다. 단순하고 적용범위가 넓은 sled 모형에 근거해서, 이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구한 토석류 자료를 이용하여 토석류의 수평이동거리(L)에 대한 토석류 시작점과 퇴적점의 표고차(H) 비로 정의되어 이동성을 나타내는 토석류의 순효율을 산정하였다. 2002년 이후 현재까지 확보된 국내 238개의 토석류 현장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토석류의 순효율 대푯값은 4.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토석류가 발생하는 강원지역의 경우 강릉과 평창지역보다는 인제지역의 토석류가 상대적으로 표고차에 비해 이동거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토석류를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토석류의 전반적인 순효율 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한 토석류 퇴적조건 적용과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산정하는 방법은 토석류의 순효율을 과대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토석류에 적합한 퇴적조건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분할 격자크기에 따른 토석류 흐름 특성 (Characterization of Debris Flow at Various Topographical Division Sizes)

  • 진현우;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55
    • /
    • 2015
  • 토석류가 발생할 때는 강우패턴, 강우강도 및 해석을 위한 지형여건에 따라 토석류의 발생량과 흐름의 속도가 달라진다. 지형여건의 고려는 일정규모의 격자로 지형을 구분하고 구분된 격자 내의 지형경사는 평균경사로 가정하여 계산하므로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는 분할되는 격자를 세분할수록 실제와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해석알고리즘 및 컴퓨터 계산능력, 해석수행 시간 등의 한계로 인해 지형분할 격자를 상당히 크게 구분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토석류 해석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지형구분 격자크기를 가급적 작게 하여야 하므로, 실무적 접근을 위한 적절한 격자규모의 제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누가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및 선행 강우량 등의 강우 특성 이외에 지형분할 격자크기가 토석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로부터 합리적이고 현실성 있는 지형분할규모를 제시하였다.

Investigation of the 2013 Hadari Debris Flow in Korea Through Field Survey and Numerical Analysis

  • Choi, Junghae
    • 지질공학
    • /
    • 제28권3호
    • /
    • pp.341-348
    • /
    • 2018
  • Landslides can be caused by localized intense rainfall. The loss of human lives and damage to property from landslides is increasing. However, little information exists on the movement and flow of sediment material at the time of rapid landslides. In this study,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of landslides that occurred in 2013 in the Hadari area of Yeoju city in Korea. This was followed by numerical analysis.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consequent debris flow and its movement at the time of failure.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and numerical analysis a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 maximum velocity of the debris flow was ~9.335 m/s and the maximum sediment thickness ~4.674 m. The latter is similar to the traces of debris flow observed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