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due to Heavy Rainfall

집중 강우에 따른 토석류 유출의 수치계산

  • 김정한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민선홍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강상혁 (강원대학교 환경방재공학과)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In spite of many numerical analysis of debris flow, a little information has been found out. In this paper the watershed is divided to apply rainfall runoff and to estimate debris flow integrating flow and soil article. We use the contour data to extract spatially distributed topographical information like stream channels and networks of sub-basins. A Quasi Digital Elevation Model (Q-DEM) is developed, integrated, and adopted to estimate runoff based on marked one. As a results,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debris flow was close to observed flow hydrograph. Because debris flow is finished in 30 second, it is important that we have to prepare its prior countermeasure to minimize the damage of debris flow. The GIS-linked model will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to plan river works for debris flow.

토석류에 대한 많은 수치 해석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일관된 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유출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소유역별 대상유역을 분할하고 토석류 입자와 유체를 일체화한 토석류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유역 하도망과 같은 유역의 지형량을 자동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준 수치고도모델(Quasi Digital Elevation Model)을 모형화함으로써 강우 유출량을 해석하였다. 계측된 토석류 자료와 강우자료를 입력하여 토석류 모형을 통합화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결과 대체로 토석류 유출과 유사한 하이드로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의한 점으로써 토석류는 30초 이내에 유출되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적 대응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GIS와 연계한 본 모형은 향후 토석류 유출에 따른 유역별 하천계획의 수립시 유효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혁, 2007, 유역 상류지역의 개발이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GIS학회, 15(2), pp.147-158.
  2. 강상혁, 2008, 집중호우에 따른 부유토사 유출특징 및 주민 대응, 한국GIS학회, 16(1), pp.11-17.
  3. 김성준, 2002, 수자원관리에서 분포형 수문모델링의 역할, 한국수자원학회지, 35(2), pp.45-56.
  4. 김성준, 2002, 분포형 수문모델의 구축, 보정 및 검증, 한국수자원학회지, 35(4), pp.55-65.
  5. Egashira et al., 1991, Derivation of bed-load formula from a view point of contineous body, Annua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JSCE, Vol. 35, pp.441-446.
  6. Ashida K et al., 1987, Ocurrence of slope failure and mechanics of debris flow Annuals Disaster Prevence Research Institute, No 30(B-2), pp.507-526.
  7. Itoh T., and Miyamoto K., 2002, Study on one 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Annua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JSCE, Vol. 46, pp.671-676.
  8. Takahashi T and Tsujimoto H. 1984,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ing and deposition of a debris flow, Annuals Disaster Prevence Research Institute, No 27(B-2), pp.467-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