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th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7초

일반인 대상 웰 다잉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모델링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Targeted at the general public for the Modeling of Well-dying Program Development)

  • 김광환;김용하;안상윤;이종형;이무식;김문준;박아르마;황혜정;심문숙;송현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369-376
    • /
    • 2014
  • 죽음교육의 주체이자 대상인 의료진의 죽음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와 수용방식을'병원 공간을 중심으로'분석하여 죽음교육에 활용하고자, 2014년 4월부터 동년 4월30일까지 대전지역 일반인 281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분석 결과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죽음교육을 받은 경우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환자가 회불 불가상태인 경우 의료진은 누구에게 알리는가의 물음에 전체적으로는 보호자가 가장 높았으며, 임종하기 적합한 장소로는 살던집이 가장 많았고,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활용하면 죽음이라는 현상을 이해하고 다룸에 있어 보건의료적 시각과 인문학적 시각, 사회적 시각을 동시에 수용하여 일반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죽음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로 죽음준비프로그램을 대중화 일반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노년층을 위한 마을단위 죽음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mmunity-Based Death Educ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 김숙남;김소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5-45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death educ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community elders aged over 65 registered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and were convenience sample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3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32 participants. Experiments are conducted from June 18 to July 24, 2020. We tested our hypothesis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reatment (t=2.24, p=.028). In general attitude toward the use of life-sustaining technology, however, on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ith lower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5.41, p<.001).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community-based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artially effective in improving older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eral attitude toward the use of life-sustaining technology.

간호대학생의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 (A Stud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s Death by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 황경혜;조옥희;정미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nurs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was conducted as a pre-investigation to prepare them for coping with terminally ill patients in their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21 nursing students. Their attitudes towards death were measured by using the Collett-Lester Fear of Death Scale(CLFOD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using the one-wayANOVA and Duncan's multiple test using the SAS 9.2 soft ware program. Results: The mean CLFODS score was 2.99. Among the 4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with respect to grade, indirect experience of death, social isolatio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past year. Conclusion: A negative attitude towards death was observed i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with indirect experience of death, social isolatio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past year.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on how to care for dying pati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This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by developing a death education program after considering the above mentione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noted in this study.

  • PDF

대학생의 자아효능감이 우울과 만족도,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Depression, Level of Satisfaction and Death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 조계화;이현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29-23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death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232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self-efficacy, depression, satisfaction with life, and death attitud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WIN. 12.0 program. Results: Death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frequency of death ideation. Death attitude for college students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death attitude for college students was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death attitude for college students is influenced by self-efficac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death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to gi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death is needed for college students.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Hospice Palliative Educa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ospice,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 최금희;권수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1호
    • /
    • pp.14-22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일 지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 교육을 실시하여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호스피스 인식확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11월 17일까지이다. 본 연구는 U시 소재 일개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실시하는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 설계였다. 실험군에게는 총 10주간 매주 3시간씩 총 30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군, 대조군에게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호스피스 완화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호스피스 인식(t=6.63, P<0.001), 죽음에 대한 태도(t=2.36, P=0.023), 삶의 의미(t=5.06, P<0.001) 정도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 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우리 사회에 편만한 호스피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며 삶의 의미를 고취시키는 적극적인 시도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본다.

뇌사 장기기증 교육이 간호사의 뇌사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 유혜숙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2호
    • /
    • pp.57-6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Methods: It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 total of 100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5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in control group.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t-test and ANCOVA by SPSS 12.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F=13.29, p<.001), and attitude (F=4.35, p=.040)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Brain 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Conclusion: The Brain 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was revealed as an effective tool in improving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노년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 송현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5호
    • /
    • pp.51-73
    • /
    • 2011
  • Korean society with low fertility rate and high aging rate crisis has been tried very hard to find out alternatives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ese efforts resulted in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The education for the elderly have been development in various different academic fields. Therefore, this is the time to establish database for education programs which develop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For this purpose, 62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hich developed so fa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The topics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married couples, leisure programs, death educa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programs, economic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programs for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asks of future research about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presented.

웰다잉을 위한 교육이 노인복지 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 (Impact of Education for Welldying on Workers Related to Senior Welfare)

  • 정의정;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15-222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복지 종사자 중 죽음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요양보호사에게 웰다잉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요양보호사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요양보호사들이 죽음과 죽음과정, 죽음관련요인을 이해하여 노인의 편안한 임종을 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주지역에 소재한 J요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웰다잉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총 9회기가 진행되었고, 수집된 교육 전후 요양보호사들의 변화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웰다잉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죽음불안이 감소하였다. 둘째, 웰다잉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죽음수용정도가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웰다잉을 통한 교육이 노인복지종사자 중 요양보호사의 죽음불안 감소와 즉음수용정도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in Volunteers)

  • 윤매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199-208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에게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1월 11일부터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전주시에 거주하는 자원봉사자로서 죽음준비의 목적과 내용을 소개하고 연구에 참여하고자 동의한 자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0명이었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총 5단계로, 도입단계에서 삶과 죽음의 이해, 수용단계에서 유서쓰기, 체험단계에서 입관, 나눔 단계에서 느낌 공유하기, 마무리단계에서 결단과 축복하기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60분씩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서술통계와 사전 동질성검증은 t-test,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죽음불안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F=4.01, P=0.046).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의미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6.32, P=0.015). 결론: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죽음불안을 감소시키고 삶의 의미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삶의 의미 향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며, 좀 더 다양한 자원봉사자에게 확대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Nursing Students)

  • 안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5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총 6주간 30시간의 간호윤리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과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윤리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본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선행연구에서 실시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또한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