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dline Monotonic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9초

마감 단조 스케줄링을 사용한 ISA100.11a 슈퍼프레임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ISA100.11a Superframe Using Deadline Monotonic Scheduling)

  • ;신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2호
    • /
    • pp.1338-1345
    • /
    • 2014
  • 최근 무선 기술은 저가, 유연성, 쉬운 설치,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하게도 라우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산업용 네트워크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 ISA100.11a는 산업용 무선 환경에서 촉망 받는 표준들 중의 하나이다. 산업 환경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은 일반적으로 주기성을 가지며, 데드라인이라는 실시간성을 만족해야 하는 요구사항을 갖는다. 본 논문은 ISA100.11a의 주기적 태스크들의 처리를 위해 deadline monotonic scheduling 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이러한 제안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ISA 100.11의 성능을 schedulability 및 beacon 오버헤드 관점에서 평가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 결과 대비 schedulability를 유지하면서도 스케줄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추가로, 이러한 네트워크 오버헤드의 감소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은 무선 산업용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 없이 더 많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AN기반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확장된 EDS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Extended EDS Algorithm for CAN-based Real-Time System)

  • 이병훈;김대원;김홍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369-2373
    • /
    • 2001
  • Usually the static scheduling algorithms such as DMS (Deadline Monotonic Scheduling) or RMS(Rate Monotonic Scheduling) are used for CAN scheduling due to its ease with implementation. However, due to their inherently low utilization of network media, some dynamic scheduling approaches have been studi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In case of dynamic scheduling algorithms, two considerations are needed. The one is a priority inversion due to rough deadline encoding into stricted arbitration fields of CAN. The other is an arbitration delay due to the non-preemptive feature of CAN. In this paper, an extended algorithm is proposed from an existing EDS(Earliest Deadline Scheduling) approach of CAN scheduling algorithm haying a solution to the priority inversion.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available bandwidth of network media can be checked dynamically by all nodes. Through the algorithm, arbitration delay causing the miss of their deadline can be avoided in advance. Also non real-time messages can be processed with their bandwidth allocation. The proposed algorithm can achieve full network utilization and enhance aperiodic responsiveness, still guaranteeing the transmission of periodic messages.

  • PDF

Development of an Extended EDS Algorithm for CAN-based Real-Time System

  • Lee, Byong-Hoon;Kim, Dae-Won;Kim, Hong-Ryeo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60.3-60
    • /
    • 2001
  • Usually the static scheduling algorithms such as DMS(Deadline Monotonic Scheduling) or RMS(Rate Monotonic Scheduling) are used for CAN scheduling due to its ease with implementation. However, due to their inherently low utilization of network media, some dynamic scheduling approaches have been studi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In case of dynamic scheduling algorithms, two considerations are needed. The one is a priority inversion due to rough deadline encoding into stricted arbitration fields of CAN. The other is an arbitration delay due to the non-preemptive feature of CAN. In this paper, an extended algorithm is proposed from an existing EDS(Earliest Deadline Scheduling) approach of CAN scheduling algorithm having a solution to the priority inverstion ....

  • PDF

우선순위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정확한 확률적 분석 방법 (An Exact Stochastic Analysis Method for Priority-driven Real-time Systems)

  • 김강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3_4호
    • /
    • pp.170-186
    • /
    • 2004
  • 최근 멀티미디어, 신호처리와 같은 실시간 응용들에 대해서 그 응용에 속한 태스크들이 일정한 확률로 마감시간을 만족하는 것을 보장하는, 소위 확률적 보장을 제공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확률적 보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시스템에서 각 태스크의 마감시간 위반확률(deadline miss probability)을 예측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ate Monotonic 또는 Earliest Deadline First와 같은 우선순위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각 태스크의 마감시간 위반확률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분석 방법은 임의의 실행 시간 분포를 갖는 태스크들에 대해서 각각의 응답 시간 분포를 정확하게 계산함으로써 개별 태스크들의 마감시간 위반확률을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분석 방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고, 기존의 다른 분석 방법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분산 실시간 시스템에서 개선된 EDF 정책을 사용한 메시지 스케줄가능성 분석 (A Message Schedulability Analysis using an Improved EDF Scheduling for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 이은미;허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9호
    • /
    • pp.520-529
    • /
    • 2002
  • 본 논문은 분산 실시간 시스템에서 실시간 동적 알고리즘으로 메시지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개선된 접근법을 제안한다. EDF(Earliest Deadline First) 스케줄링 정책에서 메시지의 중간 종료시한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이는 우선순위 할당을 위해 사용하는 슬랙값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수정된 슬랙값으로 메시지의 우선순위값은 보다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메시지의 스케줄가능성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개선된 EDF 스케줄링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전송 메시지의 최악의 응답시간을 줄일 수 있었고, 메시지 전송의 실시간적 보장성 문제를 개선하였다. 또한, 개선된 EDF 스케줄링 정책을 기반으로 전송되는 메시지 집합에 대한 스케줄 가능성을 검사하기 위해 간단한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전의 DM(Deadline Monotonic)과 기존의 EDF을 적용한 예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의 효율성을 보였다.

데드라인이 주기보다 긴 멀티 태스크를 가진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최적 체크포인트 배치 (Optimal Checkpoint Placement for Real-Time Systems with Multi-Tasks Having Deadlines Longer Than Periods)

  • 곽성우;양정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1호
    • /
    • pp.148-154
    • /
    • 2012
  • For a successful checkpointing strategy, we should place checkpoints so as to optimize fault-tolerance capability of real-time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scheme of checkpoint placement for real-time systems with periodic multi-tasks. Under the influence of transient faults, multi-tasks are scheduled by the Rate Monotonic (RM) algorithm. The optimal checkpoint intervals are derived to maximize the probability of task comple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is concerned about the general case that the deadline of a task is longer than the period. Compared with the special condition that the deadlin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eriod, this general case causes a more complicate test procedure for schedulability of the RM algorithm with respect to a given set of checkpoint re-execution vectors. The probability of task completion is also derived in a more complex form. A case study is given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실시간 시스템에서 태스크 이용율을 이용한 스케줄링 가능성 검사 (Schedulability Test using task utilization in Real-Time system)

  • 임경현;서재현;박경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5-35
    • /
    • 2005
  • 실시간 스케줄링 알고리즘에서는 비율단조(RM) 스케줄링 알고리즘과 마감시한(EDF)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에서는 태스크 집합의 전체 이용율 값을 가지고 수행 가능성을 판별하였다. 그러나 임의의 태스크에서 이용율 값이 초과되면 개별 태스크의 한계성을 전혀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이용율 값이 초과한 태스크를 예측하고, 개별 태스크의 이용율 값을 기반으로 스케줄링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시간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가능성 검사의 한계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경성 실시간 태스크를 위한 확장된 스케줄 가능성 검사를 갖는 비율단조 스케줄러 (Rate-Monotonic Scheduler with Extended Schedulability Inspection for Hard Real-Time Tesk)

  • 신동헌;조수현;김영학;김태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50-60
    • /
    • 2004
  • 오늘날 대부분의 내장형 시스템은 목적상 많은 기능뿐만 아니라 실시간성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특히, 경성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주기 태스크들의 엄격한 마감시간 보장이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한다. 본 논문에서는 CPU 이용률이 놓아 비율단조 기법으로는 마감시간을 보장 할 수 없는 주기 태스크 셋을 위한 비율단조 기반의 스케줄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스케줄러는 확장된 스케줄 가능성 검사를 실시하여, 태스크 셋의 수행 전태스크들의 공통주기를 찾아 마감시간 우선 기법을 기반으로 마감시간 보장 수행패턴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수행패턴을 참조하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태스크 셋을 실행하게 된다. 마감시간 우선 기법을 기반으로 생성된 패턴은 그 특성에 따라 CPU 이용률을 100% 까지 가능하게 하며, 수행패턴을 참조하여 수행함으로써 동적 우선순위 할당 기법의 단점인 실행시간 스케줄링 오버헤드를 없앨 수 있다.

  • PDF

스케줄러 선택기반의 실시간 리눅스의 성능분석 (Peformance Analysis of Scheduler Selection based Real-time Linux Systems)

  • 강민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1-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스케줄러 선택방식 기반의 실시간 리눅스 시스템에서 비율단조(RMS)와 마감시간우선(EDF)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를 선택함으로서, 개선된 스케줄링 검사가 가능하고 태스크 특성에 맞는 스케줄링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스케줄러 선택방식의 성능분석을 위해 다양한 프로세서 이용률을 갖는 태스크의 평균 응답 시간과 마감시간에 따라 효율적인 태스크 스케줄링 방식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경성 실시간 태스크를 위한 확장된 가능성 검사를 통한 비율단조 기반 스케줄링 기법 (The Scheduling Technique Based on Rate-Monotonic with Extended Schedulability Inspection for Periodic Task in Hard Real-Time System)

  • 신동헌;이준택;조수현;김영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202-204
    • /
    • 2003
  • 경성 실시간 시스템(Hard Real-Time System)어서는 주기 태스크들의 엄격한 마감시간(Deadline) 보장이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한다. 본 논문에서는 CPU의 이용률(Utilization)이 높아 비율단조 정책으로는 마감시간을 보장 할 수 없는 주기 태스크들을 위해 확장된 스케줄 가능성 검사를 통해 수행할 태스크들의 공통 주기(L.C.M : Least Common Multiple)내에서 EDF(Earliest-Deadline First) 정책을 기반으로 마감시간 보장 수행패턴(Feasible Pattern)을 찾고, 이를 참조하여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태스크들을 강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비율단조 기반의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EDF를 기반으로 생성된 패턴은 EDF 정책의 특성에 따라 CPU의 이용률을 100% 까지 가능하게 하며 패턴을 참조하여 강제 수행함으로써 EDF 정책이 갖는 실행시간 스케쥴링 오버헤드를 없앨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