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 to flower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Application over Time for Each Type of Blending Tea on Bovine Tooth Coloration

  • Bae, Se-Won;Jung, Im-Hee;Hong, Min-Ha;Kwon, Eun-Jin;Kim, Ji-Hyeon;Lee, Ji-Hyeon;Lim, Hee-Jung;Lim, Do-Seo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7-66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ecting commercially available blending teas and applying them to bovine teeth on color change over time. Methods: After selecting healthy bovine teeth, using a cutting-disc, 105 specimens with a dimension of 5×5×3 mm were prepared, and 15 specimens were distributed to each group. Black tea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water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blended tea of five types was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First, pH and buffering capacity were measured with a pH meter, and tooth color was determined using a spectrophotometer before immersion in the blending tea solution and 1, 5, 7, 14, and 21 days after immersion. Thereafter, the shape change of the enamel surface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SPSS ver.26 was used to analyze the color change. Results: The average pH of the five blending tea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3.78, and the pH of group 3 (strawberry rhubarb) was the lowest at 3.22. The pH levels of black tea and water were 5.19 and 7.30, respectively. The buffering capacity was the highest in group 3 at both pH levels of 5.5 and 7.0. The L*a*b* color change according to immersion time was the largest in group 4 (rooibos yellow flower), and the amount of color change was large in black tea and group 4.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namel surface of bovine teeth, changes in the surface shape were noted in all groups immersed in the experimental solution for 21 days, except for water.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in terms of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immersion time, and color and enamel surface changes were observed in black tea and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for water.

뽕나무발효톱밥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딱정벌레목: 꽃무지과) 유충 사육에서 적정 사육밀도 및 저온처리 조건 (Optimal Larval Density and Low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for Rearing of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Cetoniidae) using a Fermented Mulberry Sawdust-base Diet)

  • 임주락;문형철;박나영;이상식;김웅;최창학;김희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555-562
    • /
    • 2022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을 사육상자(가로 543 × 세로 363 × 높이 188 mm) 안에서 뽕나무 발효톱밥 기반 사료를 이용하여 집단으로 사육할 때(25℃, 16:8 L:D), 투입될 수 있는 갓 부화한 유충의 밀도를 검토하였다. 100-175마리 투입구는 90일후 생존율이 80% 이상으로 사육밀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00마리 밀도에서는 생존율이 약 10% 이상 감소하였다. 100-150마리 밀도에서 유충 평균 무게는 처리 밀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75마리와 200마리 밀도에서는 100마리 밀도에 비해 유충 무게가 유의하게 낮았다.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유충 무게가 더 빨리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100-150마리가 처음 투입밀도로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두 번째 실험으로, 종령 유충을 저온에 보관하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종령 유충을 4개의 무게 집단(1.8-2.0, 2.0-2.3, 2.3-2.5, 2.5 g 이상)으로 구분하여 4, 8, 10℃에 보관하였을 때, 4℃에서는 70일 보관된 유충들은 무게에 관계없이 모두 사망하였다. 그러나 8℃에서는 70일 보관집단에서 약 80%의 유충이 생존하였다. 보관하는 유충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생존율이 높았다. 4℃ 보관에서는 무게가 2.3 g 이상인 유충을 50일까지 보관한 후 우화한 성충들만 적은 수의 산란을 하였다. 8℃와 10℃ 처리에서는 유충 무게에 관계 없이 모두 산란을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무게가 2.3 g 이상인 흰점박이꽃무지 종령 유충을 8℃에서 30-50일 범위에서 저장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차광(遮光)이 나리속(屬) 식물(植物)의 생육(生育) 및 주아형성(珠芽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and Bulbil Formation of Lilium spp.)

  • 최상태;박인환;정영문;한교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61-70
    • /
    • 1993
  • 나리속(屬) 식물(植物)에 있어서 차광정도(遮光程度)에 따른 종(種) 혹은 품종간(品種間)의 광반응(光反應)의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여 약광(弱光)에 둔감(鈍感)한 식물(植物)의 선발(選拔)과 차광(遮光)이 주아형성(珠芽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자연광처리(自然光處理)(대조품(對照品)) 및 약 30%, 50%, 75%, 90%의 차광(遮光) 조건하에서 실험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개화율(開花率)에 미치는 차광(遮光)처리의 효과는 'Roma'를 제외한 공시품종 모두 75% 차광(遮光)처리까지는 차광(遮光)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95% 정도의 극심한 차광(遮光)처리구에서는 공시 품종 모두 매우 낮은 개화율을 보였다. 화수(花數)에 미치는 차광(遮光)처리의 효과도 이와 동일한 경향(傾向)이었다. 개화소요일수(開花所要日數)에 미치는 차광(遮光)처리의 영향을 보면 공시품종 모두 차광(遮光)이 심할수록 개화소요일수가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Roma'와 Tiger lily가 개체로 둔감(鈍感)하여 대조구와 7일의 차이를 보인 반면, 다른 품종은 12-13일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공시품종 모두 본엽수(本葉數)에는 차광(遮光)이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iger lily와 'Connecticut king'에서는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본엽수가 감소(減少)되었다. 포엽수(苞葉數)에 있어서는 공시 품종 모두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京鄕)이었다. 초장(草長)과 절간(節間)은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는데 'Georgia'가 가장 높은 신장율(伸長率)을 나타냈다. 주아(珠芽)형성과 생육 정도에 미치는 차광(遮光)의 영향을 보면 'Enchantment'와 Tiger lily는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전체(全體) 주아수(珠芽數)와 주아중(珠芽重)이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Enchantment'의 경우 포엽부위(苞葉部位)에 발생된 주아(珠芽)의 중량(重量)이 타 부위에서 형성된 주아(珠芽)보다 약간 무거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Connecticut king'과 'Roma'의 주아형성(珠芽形成)은 차광(遮光) 75%와 90%처리구에서 재배한 식물의 줄기 상부(上部)에서만 관찰(觀察)되었다. 주아(珠芽)의 인편엽(隣片葉) 출엽율(出葉率)에 있어서는 'Enchantment'와 'Connecticut king'에서만 관찰(觀察)되었고, 특히 포엽(苞葉)부위에서 형성된 주아(珠芽)에서만 관찰되었는데 차광(遮光)정도가 강(强)할수록 출엽율(出葉率)이 양호(良好)하였다.

  • PDF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환경조건과 화학적 처리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hemical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Astilbe koreana (Kom.) Nakai)

  • 장보국;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5-240
    • /
    • 2016
  • 본 연구는 절화, 관상 및 의약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은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 번식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종자는 크기가 0.62×2.22 ㎜이며, 1,000립중은 40.5 ㎎으로 조사되었다. 종자의 기간별 수분흡수율을 조사한 결과, 2.57%였던 수분함량이 침지처리 24시간 만에 29.8%로 증가하였으며, 종피의 팽창이 관찰되었다.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는 저온요구성 광발아성으로 15℃, 명조건에서 최종발아율(40.8%)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상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율은 낮아졌다. 암조건에서는 어느 온도조건에서도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종자에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를 처리한 결과, KNO3는 농도에 관계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발아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KNO3 20 mM 처리구에서 최종발아율(77.8%)과 발아세(96.1%)가 향상되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11.3일)와 T50 (6.5일)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Diniconazole 처리가 일일초와 샐비어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niconazole on Growth and Flowering of Vinca rocea and Salvia splendis)

  • 최성환;강점순;최영환;이용재;박영훈;김미라;손병구;김현경;김홍열;오욱;심학보;임기병;김진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04-1008
    • /
    • 2011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생장 억제에 효과 있는 기존의 생장억제제인 스미세븐은 고가의 생장억제제이므로 이을 대신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주로 살균제로 사용되고 있는 빈나리의 농도별 처리가 일일초과 샐비어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일일초와 샐비어 모두 빈나리처리에 의해서 생장이 억제되었다. 두 식물체 모두 빈나리 100 mg/l 처리가 스미세븐 5 mg/l보다 높은 생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빈나리 처리에 의해서 두 식물체 모두 엽장은 감소하였으나 엽폭은 큰 변화가 없었다. 그 결과 엽형이 둥굴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개화소요일수는 일일초과 샐비어 모두 대조구에 비해 빈나리 처리시 증가하였다. 일일초의 꽃수는 빈나리 400 mg/l 처리를 제외하고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샐비어의 경우 빈나리 100, 200 mg/l 처리에 의해서 소화수가 증가하였다.

저면관수 시스템에서 배양액 농도와 Arbuscular 균근균 처리가 분식 미니 장미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Growth and Flowering of Potted Miniature Rose in Ebb and Flow System)

  • 이범선;이인호;지성희;손보균;조자용;강종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2-119
    • /
    • 2004
  • 분화장미의 생장에 미치는 배양액 농도와 AMF(Arbuscular Mycorrhizal Fungi) 접종 및 접종시기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면관수(ebb and flow) 시스템에서 일본 원예시험장 배양액을 6농도(0.125, 0.25, 0.5, 1, 2, 4배)로 처리하고, AMF를 무접종, 삽목 시 접종 및 정식 시 접종 처리하여 식물을 재배하였다. 배양액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배지 침출액의 EC가 높아졌으며, AMF무접종 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의 배지 침출액 EC변화는 유사하였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EC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배지 침출액의 pH변화는 AMF무접종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가 서로 비슷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경우 pH변화가 크지 않고, 배앙액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다. 배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초장, 건물중과 엽면적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AMF접종처리에 의해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개화단축 및 개화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삽목 시 AMF접종처리보다 정식 시 AMF접종처리가 우수하였다. 엽록소 함량에 있어서도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양액농도의 증가에 의해 N, P, K, Na 및 Mn의 엽중함량이 증가되었으며, AMF접종에 의해서도 증가되었으며,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Hexaconazole의 처리가 수박의 생육 및 박의 ethylene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xaconazole on growth of watermelon(Citrullus lanatus Schrad) and ethylene evolution of gourd(Lagenaria siceraria Standl))

  • 김수정;이정명;강충길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8-112
    • /
    • 1998
  • Hexaconazole의 처리가 수박의 생육 및 박의 ethylene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약제처리 방법에 따른 수박 생장의 억제효과는 경엽처리가 현저하게 효과적인데 반하여 토양관주 처리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미미하였다. Hexaconazole 경엽처리시 수박생장은 약제처리 7일후에는 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신장, 마디수가 억제된 반면 약제처리 42일후에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Hexaconazole 처리시 수박의 암꽃 착화위치는 착과부위인 제 2번 암꽃까지의 길이생장 및 마디수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고, 측지길이에 미치는 영향은 제 2, 제 3마디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는데 이는 처리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xaconazole 처리시 박의 ethylene 발생량은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ethylene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약제처리 5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 PDF

CO2 처리농도 및 공급시간이 분화 호접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2 Concentration and Fertilization Time on the Growth of Potted Phalaenopsis)

  • 황승재;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7권1호
    • /
    • pp.29-35
    • /
    • 2009
  • 분화 호접란의 이산화탄소 시비 농도와 공급시간을 구명하고자, Phalaenopsis 'Brother Spring Dance', 'Brother Girl' 및 'Queen Bear' 품종을 2개월, 7개월 그리고 12개월 생장된 묘에 이산화탄소 농도 1,000 및 $2,000{\mu}mol{\cdot}mol^{-1}$을 06:00~12:00시, 00:00~06:00시와 18:00~24:00시에 99일간 처리하였다. 호접란 모든 처리 품종은 이산화탄소 농도 $1,000{\mu}mol{\cdot}mol^{-1}$ 보다 $2,000{\mu}mol{\cdot}mol^{-1}$ 에서 엽수, 엽장, 엽폭, 뿌리길이 및 생체중 등의 생육이 촉진되었고, $CO_2$ 공급시간은 00:00~06:00시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다수성 매실 품종 '옥주' (Breeding of a New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old et Zucc.) Cultivar 'Okjoo' with High Yields)

  • 김윤경;강삼석;최장전;조광식;원경호;이한찬;최진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912-916
    • /
    • 2014
  • 매실(Prunus mume Siebold et Zucc.)은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로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침이나 소화불량의 민간 요법 과실로써 사랑받아 왔다. 1993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옥영'과 '임주'를 교배하여 그 중 과실이 크고 과형이 좋으며 풍산성인 '옥주' 품종을 2006년에 선발, 육성하여 새로운 품종으로 등록하였다(등록번호: 4556호, 2013.6.18). '옥주' 품종의 만개기는 '옥영'보다 4일, '임주'보다 2일 빠르며 꽃잎색은 분홍색이고 꽃가루는 없다. PCR을 이용한 자가불화합인자 분석결과, 옥주의 자가불화합성 인자는 $S_3S_6$이었다. '옥주'의 성숙기는 6월 하순으로 과실은 원형이며 봉합선이 얕다. 평균과중 18.5g이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7.66^{\circ}Brix$, 산 함량은 4.81%, 과피색은 녹색이지만 햇빛을 많이 받는 쪽의 과실 일부가 적색을 띄기도 한다. 또한, 검은별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의 발생이 비교적 적고, 수량성이 높아 재배농가들이 새로운 품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예취가 알팔파 근류의 발달과 질소고정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on Nodule Development and Nitrogen Fixation in Alfalfa)

  • Jong Won Ryoo;Ho Jin Lee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8-134
    • /
    • 1987
  • 刈取가 알팔파根瘤의 着生 및 發達과 室素固定活性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기 위하여 圃場實驗에서는 刈取區와 非刈取區로 구분하여 時期別로 Acetylene還元法에 의하여 根瘤의 室素固定活性을 測定하였다. 養液栽培實驗에서는 地上部의 50%와 90%刈取, 花芽의 除法, 根瘤의 50%와 100% 除法등을 組合處理後 알팔파 再生과 根瘤의 着生과 發達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였다. 1. 圃場實驗에서 根瘤의 무게는 1回刈取後 30%, 2 回刈取後 25%의 減少가 있었고 2 回刈取後 30日부터는 減少가 없었다. 2. 7月初, 8月初, 9月初에 刈取區의 specific nodule activity(SNA)는 非刈取區보다 높았으며 total nodule activity도 刈取區가 非刈取區보다 높았다. 開花期의 刈取는 根瘤의 室素固定活性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養液栽培實驗에서는 地上部의 50% 刈取는 알팔카의 再生과 根瘤의 發達에 影響이 없었으나 地上部의 90% 刈取는 再生을 느리게 하고 根瘤의 脫落을 심하게 조장하고 着生된 根瘤나 새로이 着生된 根瘤의 發達을 나쁘게 한 것으로 보아 알팔파根瘤의 室素固定活性을 높은 狀態로 維持하기 위해서는 너무 낮은 刈取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