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 to 50% germination rat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2초

옥수수밭 난방제(難防除) 잡초(雜草) 어저귀의 발아특성(發芽特性) 및 방제(防除)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butilon theophrasti, Troublesome Weed in Corn Fields)

  • 이인용;박재읍;류갑희;박태선;오세문;김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68
    • /
    • 1997
  • 사료용(飼料用) 옥수수 포장에서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외래잡초(外來雜草)인 어저귀의 발생분포(發生分布),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 및 약제방제(藥劑防除)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료작물용(飼料作物用) 옥수수 재배면적(我培面積)이 넓은 경기(京幾), 강원(江原), 충남(忠南), 전남북(全南北) 등(等) 17개(個) 지역(地域)을 대상(對象)으로 어저귀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경기도(京幾道) 지역(地域)이 사료용(飼料用) 옥수수를 엔씨레지용(用)으로 이용(利用)함으로써 어저귀의 발생정도(發生程度) 및 발생량(發生量)이 강원(江原), 충남(忠南), 전남북지역(全南北地域)보다 높았다. 2. 어저귀 종자(種子)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15~$20^{\circ}C$ 내외(內外)이고, 1~5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73~93%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3. 어저귀 방제(防除)를 위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는 펜디유제, 리누론수화제 및 펜디 리누론유제 이며 약제처리시기(藥劑處理時期)는 어저귀가 발생(發生)된 후(後)인 파종후(播種後) 10일(日) 경(頃)에 처리(處理)하는 것이 방제효과(防除效果)가 가장 높았으며 초기(初期) 옥수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도 적었다.

  • PDF

연초 버어리종의 자연교잡율과 종자생산에 관련된 몇가지 요인 (Some Management Practices Affecting Outcrossing and Seed Production in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 정석훈;최상주;조천준;김대송;조명조;이승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6-131
    • /
    • 1996
  • In this study effects of isolation distance, transplanting time of maternal plants, and bagging of flower head with the gauze-cloth bag on the outcrossing of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were investigated. Also the effect of fertilizer level and control of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on seed production and quality were examined. A male sterile line. produced 0.3 to 3.8 capsules Per plant when it was Planted with normally flowering tobacco with the average outcrossing of 7.2 plants, ranging from 2 to 18 out of 20 plants. With the farther the isolation distance between maternal plants and pollen donor plant, the lower the outcrossing occurred. Outcrossing occurred even at the isolation distance of 312 m. When the maternal plants were transplanted 35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pollen donor ones, the outcrossed plants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bagging of the flower head with the gauze-cloth bas (#0.9∼ 1.0 mm) decreased the outcrossed plants significantly, but couldn't prevent the outcrossing completely. The seed amount per plant was higher in the highly fertilized cultivation. The number of seed capsules per plant affected significantly on seed yield and quality. When the seed capsules was controlled by 30 or 50 capsules per plant, the weight of 1,000 seeds and germination rate were higher than those with 70 or 90 capsules per plant. Key words : Nicotiana tabacum, outcrossing, bagging.

  • PDF

Accumulation and Inhibitory Effects of Microcystin on the Growth of Rice and Broccoli

  • Maejima, Kazuhiko;Muraoka, Terukazu;Park, Ho-Dong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19-30
    • /
    • 2014
  • Microcystins (MCs) produced by cyanobacteria are severe hepatotoxins for mammalian and protein phosphatase inhibitors. Irrigation water for grain and vegetables is often contaminated with cyanobacteria and microcystin during warm seasons. We assessed the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0, 0.01 to $10{\mu}gmL^{-1}$) of microcystin-LR (MC-LR) and microcystin-RR (MC-RR) exposure on Oryza sativa (rice) and Brassica oleraces var. italica (broccoli). The $EC_{50}$ of leaves and roots of rice was 0.9 and $1.1{\mu}gMC-LRmL^{-1}$, respectively. The no observed effect level (NOEL) of rice was less than $0.1{\mu}gmL^{-1}$ ($100{\mu}gL^{-1}$). The $EC_{50}$ of the stems and roots of broccoli was 8.7 and $7.2{\mu}gMC-RRmL^{-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rmination rate of broccoli among microcystin-RR concentrations. After exposure to 0, 0.01 to $10{\mu}gmL^{-1}$ MC-RR for seven days, 14, 89 and 154 ng mg-1 (dry weight) MC-RR accumulated in B. oleracea. These $EC_{50}$ values showed that microcystin-LR and -RR affected the growth of rice and broccol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C is carried into terrestrial ecosystems via irrigation, and that the biota of higher ecological niches can be influenced by MC through bioaccumulation. Therefore, a guideline for MC concentrations in irrigation water should be set using the NOEL.

시험용 수집형 두류 수확기의 나물 콩 수확성능 (Harvesting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Pick-up Type Pulse Crop Harvester for Sprout Bean)

  • 최영수;유수남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2호
    • /
    • pp.165-173
    • /
    • 2017
  • 본 연구는 시험용 수집형 자주식 두류 수확기를 설계 제작하여 예취 건조된 나물 콩을 대상으로 수확작업 성능을 파악하였다. 수확시험은 수확기의 엔진 회전속도 2000, 2400, 2800rpm, 작업속도 0.6, 1.0, 1.4m/s의 설정에 따라 수집 손실비율, 배진 손실비율 등 수확손실과 수확된 곡물 품질로서 완전립 비율, 손상립 비율, 미탈곡립 비율, 이물질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그 외 수확된 나물 콩의 발아세와 발아율, 작물 재배 폭과 작업속도를 고려한 작업능률을 조사 분석하였다. 시험기는 운전조건이 엔진 회전속도 2800rpm, 작업속도 1.0m/s일 때 가장 좋은 작업 성능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때 수집 손실비율 약 2.7%, 배진 손실비율 약 0.5%, 총 손실비율 약 3.1%, 완전립 비율 약 99.3%, 손상립 비율 약 0.2%, 미탈곡립 비율 약 0.0%, 이물질 비율 약 0.2%의 작업 성능과 수확된 나물 콩의 발아세, 발아율은 약 100%, 71.7%를 보여 국외 보통형 콤바인 보다 곡물 손실이 적고, 수확 곡물의 품질도 높아 우수한 작업 성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기는 나물 콩의 수확시험 조건이 불량한 상태에서도 재배 폭이 약 2m인 3조 예취 건조 나물 콩을 약 1.0m/s의 작업속도로 수집 탈곡할 수 있어서 유효포장작업능률은 약 50a/h 정도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Evaluation of Growth and Yield When Harvesting Italian Ryegrass Transplanted After Cultivation of Paddy Rice

  • Hyeonsoo Jang;Yun-Ho Lee;Hui-woo Lee;Pyeong Shin;Dae-Uk Kim;Jin-hui Ryu;Jong-Tag Yo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67
    • /
    • 2022
  • Seed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has a problem of lodging during ripening and a decrease in quality due to difficulty in drying seeds during harvest. 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s, it was carried out to reduce the density and solve the lodging problem through transplanting. In this experiment, Lolium multiflorum cv. Kowinearly was transplanted in autumn from a paddy field in Sindong-ri, Gwansan-eup, Jangheung-gun, Jeollanam-do. var. Kowinearly was made into a bed at 90 g/box and stacked in boxes. It was transplanted on October 27th after 2 days of germination at 30℃ and 15 days of seedling and greening. When transplanting, they were transplanted at intervals of 30×14cm. The existing cultivation method, drill seedling, was sowed at a level of 50 kg/ha, and both transplanting and drilling were carried out at a nitrogen fertilization rate of 45 kg/ha. The number of ears during transplant cultivation was 1,016/m2 and the drilling tended to be higher at 2,278/m2, but this wa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in seeding amount. The seed number of an ear tended to be 56% higher in transplantation,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yield. The seed yield was 2,096 ka/ha in transplantation, which was 21% higher than that of drilling.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with weed occurrence, there were areas where all the weeds, such as amul foxtail, occurred due to the low density. Even in the same transplanting area, the seed yield was about 1,000kg/ha less in the area where the weeds were abundant. It seems that weed management is important in paddy cultivation.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n exclusive herbicide for Italian ryegrass cultivation.

  • PDF

감마선 조사가 귀리(Avena sativa)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ray Irradiation on Radio Sensitivity in Oat (Avena sativa))

  • 류재혁;권순재;임승빈;정상욱;안준우;김진백;최기춘;김원호;강시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8-135
    • /
    • 2016
  • 귀리 종자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발아율과 생존율 및 초기 생장 특성을 조사하여 돌연변이 유도를 위한 적정 방사선량을 구명하고, DNA 손상 정도를 평가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발아율은 500 Gy 이상의 선량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단순회귀분석으로 평가한 LD50 선량은 392 Gy였다. 감마선 조사 30일 후 초장, 생체중, 근장, 분얼수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100∼200 Gy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며, RD50 선량은 초장과 생체중은 411 Gy로 동일하였고, 근장 403 Gy, 분얼수 394 Gy였다. LD50과 RD50 선량을 바탕으로 결정한 귀리의 적정 조사선량은 300~400 Gy였다. Comet assay로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한 결과, 파종 7일 후에는 모든 감마선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DNA 손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파종 30일 후에는 300 Gy 이상의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성 있는 DNA 손상이 관찰되어 생육형질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선량과 생장, 코멧분석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머리의 비율을 제외한 다른 조사 항목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2 세대의 생육특성은 400 Gy 이상에서 생육이 감소하였고, 돌연변이 양상은 주로 고선량에서 단간, 불임이었다.

Field Sanitation and Foliar Application of Streptomyces padanus PMS-702 for the Control of Rice Sheath Blight

  • Yang, Chia-Jung;Huang, Tzu-Pi;Huang, Jenn-W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57-71
    • /
    • 2021
  • Rice sheath blight (ShB),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ühn AG1-IA, is one of the destructive rice diseases worldwid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biocontrol strategies focusing on field sanitation and foliar application with a biocontrol agent for ShB management. Streptomyces padanus PMS-702 showed a great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R. solani. Fungichromin produced by S. padanus PMS-702, at 3.07 mg/l inhibited 50% mycelial growth, caused leakage of cytoplasm, and inhibited the formation of infection structures of R. solani. Fungichromin could reach to 802 mg/l when S. padanus PMS-702 was cultured in MACC broth for 6 days. Addition of 0.5% S. padanus PMS-702 broth into soil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the pathogen compared to the control. Soil amended with 0.5% S. padanus broth and 0.5% tea seed pomace resulted in the death of R. solani mycelia in the infested rice straws, and the germination of sclerotia was inhibited 21 days after treatment. Greenhouse trials revealed that S. padanus cultured in soybean meal-glucose (SMGC-2) medium after mixing with different surfactants could enhance its efficacy for inhibiting the pathogen. Of six surfactants tested, the addition of 2% tea saponin was the most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pathogen. S. padanus broth after being fermented in SMGC-2, mixed with 2% tea saponin, diluted 100 fold, and sprayed onto rice plants significantly reduced ShB disease severity. Thus, S. padanus PMS-702 i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The efficacy of S. padanus PMS-702 for disease control could be improved through formulation.

하대두 재배방법의 차이가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al Methods on Seed Production in Summer Type Soybeen)

  • 김두열;김광호;홍정기;이성렬;이한범;허범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1
    • /
    • 1990
  • 하대두 채종시 문제가 되는 발아율 저하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1987년 천안재래를 공시하여 평야지인 춘천(해발 74m)과 고랭지인 진부(해발 600m)에서 4월 25일부터 20일 간격으로 4회 파종하였고, 개화후 35일부터 5일 간격으로 5회의 수확시기를 두어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생장기간은 조기 파종의 경우와 고랭지인 진부에서 길었고 경장도 같은 경향이었다. 2. 본당협수 및 백립중은 고랭지인 진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한파할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큰 값을 보였다. 3. 종실수량도 진부가 춘천보다 많았고 한파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는데 진부에서 파종기간 수량차이가 뚜렷하였으며 등숙기간이 길수록 수량도 많았다. 4. 한기파종하여 수확시기를 빨리하면 미숙립의 발생이 많았고 늦게 수확하면 미이라병의 발생립율이 높았다. 5. 미이라병의 발생은 기온이 높은 춘천의 경우 항수량과 항수일수가 많은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기온이 낮은 진부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6. 파종기에 관계없이 한기 수확하여 수분이 많은 종자는 건조과정에서 부패립이 많이 발생하였다. 7. 하대두 종자 생산을 위한 재배는 평야지인 춘천보다는 고랭지인 진부가 유리하였고 진부에서 5월15일부터 6월 5일 사이에 파종하여 개화후 45-50일에 수확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고 종자 생산량도 많았다.

  • PDF

왕겨 피복에 따른 만삼 종자발아와 육묘를 위한 트레이, 토양 및 차광처리 효과 (Effects of Rice Hull Cover for Seed Germination, Types of Tray and Soil, Shading Conditions for Seedling Growth of Codonopsis pilosuala)

  • 이수광;구자정;조원우;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66-73
    • /
    • 2013
  • 본 연구는 왕겨 피복에 따른 만삼의 종자발아와 육묘에 미치는 트레이, 토양 및 차광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 달 간 성장시킨 유묘를 경기도의 특정지역에 이식하여 재배 가능성 또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왕겨 피복 대조구의 발아율은 8%인 반면, 왕겨 피복 처리구의 발아율은 78%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트레이, 토양 및 차광을 달리한 조건에서 만삼의 생육특성은 차광 무 처리 트레이 50구 TKS 토양 처리구에서 초장 11.9 cm, 엽수 71매, 엽폭 3.1 cm, 엽장 2.6 cm 및 근장 14.3 cm로 가장 양호한 생육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생리적 특성은 차광무 처리 TKS+펄라이트 처리구에서 증산량 3.9 $mmol{\cdot}m^{-2}s^{-1}$, 광합성능 9.1 ${\mu}mol{\cdot}m^{-2}s^{-1}$ 및 수분이용효율 2.2 ${\mu}mol{\cdot}m^{-2}s^{-1}$로 가장 양호하였다. 하지만 경제성, 생육 및 생리적 특성과 육묘기간의 생존율을 종합하여 고려하면 차광 무 처리 혹은 30% 차광조건에서 200구 트레이의 TKS 및 TKS+펄라이트 처리구에서 30~45일 간 육묘 후 포지에 이식하는 것이 적합 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경기도 지역에서 5 개월 간 재배 시 88~96%의 생존율과 개화까지 가능하여 경기도 지역에서도 만삼 재배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재배 실험 시 차광 무 처리의 일부 개체는 황화 현상과 위조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만삼 재배에는 30% 및 70% 차광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온도에 따른 강낭콩 싹나물의 재배특성 및 항산화 활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prouts and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with Cultivated Temperature)

  • 김현영;구성철;강범규;이영훈;김현태;윤홍태;백인열;정헌상;최만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201-207
    • /
    • 2014
  • 본 연구는 강낭콩 싹나물의 재배시 재배온도에 따른 싹나물의 재배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강낭콩을 이용한 채소용 싹나물 재배방법 구명과, 강낭콩 싹나물이 가진 성분 및 활성 등을 분석하여 최적 재배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강낭콩 싹나물 재배를 위하여 $20^{\circ}C$, $23^{\circ}C$$25^{\circ}C$의 온도에서 5일간 재배한 결과 전장 및 배축장은 $23^{\circ}C$에서 재배하였을 경우 가장 우수하게 재배되었으며, 배축직경의 경우는 온도와 상관없이 모두 유사하게 재배되었다. 2. 재배온도별 강낭콩 싹나물의 불완전발아율 및 수율을 측정한 결과 재배온도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20^{\circ}C$$25^{\circ}C$에서 재배 시 50%가 넘는 불완전발아율을 보였으나, $23^{\circ}C$에서는 10% 내외로 나타났다. 3. 강낭콩 싹나물의 재배온도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재배온도 및 강낭콩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재배온도($20^{\circ}C$, $23^{\circ}C$$25^{\circ}C$) 및 일수(0일, 3일, 5일 및 7일)별 강낭콩 싹나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재배온도 및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23^{\circ}C$에서 재배 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