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urgery center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4초

대퇴골두 부위에 발생한 양성 골 종양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치료 (증례보고)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apy of Benign Bone Tumors in the Femoral Head)

  • 서재곤;김응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4-92
    • /
    • 2003
  • 서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양성일지라도 수술적 병변의 제거시 관절내 도달이 필요하거나 대퇴골 경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등 주위 고관절의 구조 및 기능을 위협할 수 있어 그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으나 고관절부의 동통을 유발하는 양성 골종양의 치료는 비관혈적 수술이 현재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CT등을 이용한 경피적 절제술,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등 비교적 덜 침습적인 치료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대퇴골 근위부 종양중 비교적 흔한 유골골종(osteoid osteoma)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는 대퇴골두내 발생한 내연골종 및 피질골내 연골종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통해 치료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1 - 31세 여자환자로 1년 전부터 시작된 우측 둔부 및 서혜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사무직 여성으로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통증의 양상은 간헐적으로 야간에 심해지는 양상으로 통증 발현 시에는 체중 부하하기 힘든 정도였다. 통증에 대해 수개월간 대증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일에서 수주 후 재발되는 양상이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에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내원 시에는 증상이 점차 심해지며 지속적인 양상으로 소염진통제가 계속적으로 필요하였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고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으나 Patrick 검사 양성이었으며 내회전시 불쾌감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우측 대퇴 골두 부위에 주변으로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면서 1.5${\times}$1cm 크기로 경계가 비교적 분명하였고 주변에 반응성 부종이 관찰되어.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아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마취하에서 먼저 CT시행 하에 세침 생검을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을 삽입하여 병변 중앙에 위치시킨 후 $80^{\circ}C$ 평균모드으로 6분간 고주파 열 치료 시행하였으며 시행 중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는 마취에서 의식이 돌아온 직후와 술 후 14시간 후에 통증 전혀 호소하지 않았으며 술후 1일째 체중 부하시 통증 없는 것 확인 후 퇴원 조치 하였으며 술 후 3주 뒤 MRI로 병변 부위 관찰하였으며, 이때 병변부위 소실된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술 후 15개월째 환자는 일상 생활에 지장없었으며 통증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 검사결과는 피질골내 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증례 2- 56세 여자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측 둔부 및 대퇴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주로 밤에 악화되었으며 1달 전부터 통증 심해지고 지속되는 양상으로 타 병원에서 아스피린으로 통증 조절되었고 유골 골종 의심 하에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사항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고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없었으나 외전과 내회전시 좌측 서혜부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좌측 대퇴골두 하방 내측으로 석회화를 동반하고 주변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비교적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양상으로,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CT시행 하에 먼저 세침 조직 검사를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 삽입 후에 평균 모드 $80^{\circ}C$로 6분간 열 치료 시행하였고 환자는 마취에서 회복 후 즉시 통증 감소 보였으며 시술 후 1일째 이학적 검사 및 체중 부하 시행하였을 때 통증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퇴원 조치 할 수 있었으며 술 후 1달째 MRI검사를 통해 병변이 사라지고 성공적으로 시술을 시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후 시술 3개월째로 통증호소없었고 이학적소견상 정상이었다. 조직검사결과는 내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저자들은 수술적으로 치료가 비교적 어려운 대퇴 골두 부위에 발생한 피질골내 연골종과 내연골종에 대해 경피적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동통을 유발하는 유골 골종 이외의 다른 양성골 종양에 대해 치료 계획시 그 도달이 어렵거나 술 후 주위 구조물과 관절의 불안정성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는 경우 그 적응증의 확대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발 반사마사지가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통증 및 기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oot Reflexology on Patient's Pain and Mood Following a Mastectomy)

  • 장화경
    • 종양간호연구
    • /
    • 제1권2호
    • /
    • pp.204-21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on pain and mood in patients who have just had a mastectomy.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8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 first or second day after mastectomy surgery. The first 12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second 16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8, 2001 to December 22, 2001 on a surgical unit of Y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Pain intensity,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mood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instrument used for pain intensity and mood was a 10 cm visual analogue scale. Cronbach alpha for this study was .70. For the experimental group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immediately before and 15 minutes after completion of foot reflexology. Foot reflexology was performed once for 20 minutes. After the pretest,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instructed to have a quiet time for a 35 minute period and then the post-test was done.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small so the data were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for pain intensity (z=-3.47, p<.001), diastolic blood pressure (z=-2.67, p<.01) and pulse rate (z=-3.44, p<.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post test. 2.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post test. 3. The mood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foot reflexology(z=-3.52, p=.00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lso significant (u=49.0, p=.03). In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od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difference for pain intensity, blood pressure, or pulse rat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pain intensity,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foot reflexology can be an effective method of relieving pain and improving mood in clinical practice in women who have had mastectomy surgery.

  • PDF

개의 어깨 관절에서 박리성 골연골염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탐색적 관절내시경의 적용 (Exploratory Arthroscopic Treatment to Diagnose and Treat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Shoulder Joint in a Dog)

  • 김충섭;이해범;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49
    • /
    • 2013
  • 6개월 된 수컷 Great Pyrenees (35 kg)가 왼쪽 앞다리에 2주 동안 지속된파행으로 전북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파행은 병원 내원 3일 전부터 더욱 심해졌다고 한다. 신체검사 상에서 환자는 왼쪽 어깨 부분에 통증을 보였고, 보행 검사에서 파행을 보이고 있었다. 방사선 검사와 신경계 신체검사에서는 유의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의학적 기왕력과 보행검사를 토대로 박리성 골연골염을 의심하였다. 어깨관절에 대한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 탐색적 관절내시경 수술이 시행되었다. 미미한 두갈래근건초염과, 활막염, 그리고 상완골 머리 후내측에 위치한 박리성 골연골염 병변이 관찰되었다. 연골편의 제거, 연골하골의 변연절제가 관절내시경과 전기 버(electric burr)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환자는 수술 다음 날에 퇴원하였다. 2주 후, 환자는 술 부를 핥아서 생긴 염증과 피하조직에 생긴 장액종으로 인해 내원하였다. 항생제 처치와 무균적 붕대가 적용되었고, 장액종은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며, 관절내시경을 실시한 11주 후 환자의 보행은 정상이었다. 관절내시경은 관절낭 안쪽의 구조물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운 관절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Current Status of Pediatric Critical Care in Korea: Results of 2015 National Survey

  • Yoon, Jong-seo;Jhang, Won Kyoung;Choi, Yu Hyeon;Lee, Bongjin;Kim, Yoon Hee;Cho, Hwa Jin;Eun, Byung Wook;Kim, Jintae;Kim, Kyung Won;Cho, Joongbum;Shin, Hong Ju;Ryu, Jeong Min;Chung, Jae Hee;Yoo, Young;Huh, June;Park, Seong Jong;Park, June Dong;Korean Society of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9호
    • /
    • pp.308.1-308.10
    • /
    • 2018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tructur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staffing of pediatric critical care (PCC) in Korea. Methods: We dire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all Upper Grade General Hospitals (n = 43) in Korea in 2015. The first questionnaire was mainly about structure, organization, and staffing and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32 hospitals. The second questionnaire was mainly about patients and management. Responses to second questionnaire were obtained from 18 hospitals. Results: Twelve from 32 Upper Grade General Hospitals had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PICUs) and 11 of them had the PICU which was exclusive for children. Total number of PICU beds in Korea was 113. The ratio of the number of PICU beds to the number of children was 1:77,460 in Korea and this ratio is lower than that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The mean number of beds in the PICUs was $9.4{\pm}9.3$ (range, 2-30). There were 16 medical doctors who were assigned for PCC and only 5 of them were full time pediatric intensivists. In the 18 Upper Grade General Hospitals that responded to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there were 97 patients in the PICUs with an average number of $5.7{\pm}7.2$ (range, 0-22) on the survey day.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4{\pm}5.6$ years. The mean length of hospital stay was $82{\pm}271days$. The mean Pediatric Risk of Mortality score III was $9.4{\pm}7.8$ at the time of admission to the PICUs. Conclusion: There is a considerable shortage of PICU beds compared to those in 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PICUs with PCC specialists is much lower than those in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이 환자의 통증, 수면 및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n, sleep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underwent robotic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ies)

  • 박수현;장인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65-274
    • /
    • 2019
  • 본 연구는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절개술 접근과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술 접근을 이용한 심장판막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수면, 자가간호수행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심장수술을 시행한 대상자 중 정중흉골절개술군 64명, 최소침습절개술군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chi}^2$ 검증,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2일째, 5일째 모두 통증은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절개술군이 정중흉골절개술군에 비해 높았다. 통증발생부위는 두 군 모두 수술접근부위로 크게 나타났다. 수면은 수술 후 2일째 정중흉골절개술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가간호수행은 최소침습절개술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로봇 수술의 재원기간 단축과 빠른 회복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의 통증관리를 위해 정확한 통증 사정 및 차별화된 프로토콜의 적용이 필요시 된다. 또한 성별, 연령 및 수술방법의 차이를 고려하여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요구되어진다.

Paclitaxel 매주 투여 및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을 받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치료 결과 (Treatment Outcome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Weekly Paclitaxel)

  • 김수지;심병용;김치홍;송소향;안명임;조덕곤;조규도;유진영;김훈교;김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30-236
    • /
    • 2006
  • 목 적: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매주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 요법의 안정성과 효과를 알아보고 재발 양상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항암화학방사선 동시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회 1.8 Gy씩 주5회 분할 조사하여 $7{\sim}8$주에 걸쳐 총 선량 $55.8{\sim}64.8$ (median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매주 paclitaxel 50 또는 $60\;mg/m^2$ 용량으로 방사선치료 1일, 8일, 15일, 22일, 29일 36일째에 투여하였다. 항암화학방사선 동시요법을 마친 4주 후부터 paclitaxel $135\;mg/m^2$와 cisplatin $75\;mg/m^2$ 용량으로 3주 간격으로 3주기의 공고 항암화학요법을 추가 시행하였다. 결 과: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23명의 환자 중 3명이 도중에 환자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였고 1명이 5,580 cGy까지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고 세균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방사선 식도염으로 4명(17%)의 환자에서 2도의 식도염이 관찰되었으며 3도 이상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6명의 환자가 추가 공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공고 항암화학요법 중의 급성 부작용으로 3도 이상의 호중구 감소증이 8명(50%)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중 한 명은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 받은 20명의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조사할 수 있었으며 완전 관해 4명(20%), 부분 관해 14명(70%)으로 전체 관해율은 90%이었다. 관해를 보인 환자들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6명 중 14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국소 재발이 9명(5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3명(19%), 원격 전이가 2명(13%)이었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받은 환자들에서의 무진행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5개월이었으며, 2년 무진행 생존율은 18%이었다. 재발된 환자 중 11명에서 2차(second-line) 또는 3차(third-line)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 23명의 중앙 생존 기간은 21개월,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43%, 33%였다. 다변량 분석을 시행했을 때 환자의 나이, 수행 능력, 종양의 크기는 무진행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타났다. 결 론: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paclitaxel 매주 투여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은 안전하고 종양의 관해율도 높았다. 그러나 국소 재발률이 높고 특히 종양의 크기가 큰 환자에서 예후가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부작용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체간이식 환자와 생체간이식 환자들의 삶의 질 비교 연구 (Comparing Quality of Life following Liver Transplantation for Cadaveric versus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 Single-Center Study)

  • 김금희;윤석준;안형식;이준영;박형근;서경석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45
    • /
    • 2004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quality of life(QOL)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to compare QOL betwee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cadaveric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F-36 may be used as a disease-specific instrument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 We conducted a single-center cross-sectional study of 133 LT recipients ages 13 to 65 years, all of whom had had Liver Transplantation(LT) at least 1 months previously. QOL was assessed using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Bang Whal Ran(1991) instruments and the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health status profile measur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F-36 instrument may be used as a disease-specific instrument in LT recipients. Individual scale scores range from 0 to 100, with higher score reflecting better health. Data on demographics, clinical status at pre transplantation 1 day, post transplantation clinical status, and graft function were collected to identify predictors of post transplantation QOL. Results : Standard measures for test-re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examined. The reliability of the SF-36, as measured by test-retest correlation(Pearson coefficients: 0.729, p=0.002) and by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alpha: 0.9431) exceeded conventional acceptability criteria. The correlation between domain scores of SF-36 and the Bang Whal Ran(l991) was clear and logical in tha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F-36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component summary score of the Bang Whal Ran(l991)(r = 0.8155, P<.01). SF-36 scale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Cadaveric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Donor types of post LT did not influence HRQOL(p>0.05). 87% of the liver transplant recipients were satisfied to get LT. Satisfaction of post LT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HRQOL(p<0.001). Conclusion : SF-36 is found reliable and valid. This study indicates thet Donor Type did not influence HRQOL after LT. The information gained from this study will help us to better define expectations and the clinical cours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PDF

The Clinical Outcomes of Marginal Donor Hear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Soo Yong Lee;Seok Hyun Kim;Min Ho Ju;Mi Hee Lim;Chee-hoon Lee;Hyung Gon Je;Ji Hoon Lim;Ga Yun Kim;Ji Soo Oh;Jin Hee Choi;Min Ku Chon;Sang Hyun Lee;Ki Won Hwang;Jeong Su Kim;Yong Hyun Park;June Hong Kim;Kook Jin Chu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4호
    • /
    • pp.254-267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Although the shortage of donor is a common problem worldwide, a significant portion of unutilized hearts are classified as marginal donor (MD) hearts. However,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D and the prognosis of heart transplantation (HTx) is lack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impact of MD in HTx. Methods: Consecutive 73 HTxs during 2014 and 2021 in a tertiary hospital were analyzed. MD was defined as follows; a donor age >55 years,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50%, cold ischemic time >240 minutes, or significant cardiac structural problems.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and postoperative hemodynamic data, primary graft dysfunction (PGD), and the survival rate were analyzed. Risk stratification by Index for Mortality Prediction after Cardiac Transplantation (IMPACT) score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outcomes according to the recipient state.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2 risk groups according to the IMPACT score (low <10 vs. high ≥10). Results: A total of 32 (43.8%) patients received an organ from MD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was more frequent in the non-MD group (34.4% vs. 70.7, p=0.00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GD, 30-day mortality and long-term survival between groups. In the subgroup analysis, early outcomes did not differ between low- and high-risk groups. However, the long-term survival was better in the low-risk group (p=0.01). Conclusions: The outcomes of MD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n-MD group. Particularly, in low-risk recipient, the MD group showed excellent early and long-term outcomes. These results suggest the usability of selected MD hearts without increasing adverse events.

돼지에서 연속형 $CO_2$ 레이저와 펄스형 $CO_2$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절개시 창상치유 평가 (Comparison of Wound Healing in Porcine Skin with Continuous-Wave and Pulsed Mode $CO_2$ Laser Incisions)

  • 이재연;조성환;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7-651
    • /
    • 2010
  • 연속형 $CO_2$ 레이저와 펄스형 $CO_2$ 레이저를 이용한 돼지 피부절개 시 창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섯 마리의 돼지(Landrace x Yorkshire) (45-51 kg, 4-6 개월령, 수컷 3마리, 암컷 2마리)를 이용 하였고, 각각의 돼지에서 우측 및 좌측의 등쪽 피부에 대칭적으로 연속형 $CO_2$ 레이저와 펄스형 $CO_2$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개($2{\times}2{\times}2cm^2$) 하였다. 양측 피부 절개는 Maxon 3-0 를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수술 후 3, 7, 14, 21일에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상 부위의 재상피화는 연속형 $CO_2$ 레이저 군에 비해 펄스형 $CO_2$ 레이저군에서 더 많이 이루어졌다. 육아조직 형성은 창상후 경과일 3일에 펄스 $CO_2$ 레이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섬유아세포는 창상후 경과일 7일에 펄스형 $CO_2$ 레이져군에서 유의적으로 많게 형성되었다(P < 0.05). 결론적으로 피부절개 시에 있어서 펄스형 $CO_2$ 레이저는 연속형 $CO_2$ 레이저에 비하여 재상피화, 육아조직형성 및 섬유아세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레이저 시술에 따른 조직손상을 적게 나타내었다. 따라서 피부절개 시에 있어서 펄스형$CO_2$ 레이저가 연속형 $CO_2$ 레이저 보다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nti-climacterium effects of red clover dry extracts combined with pomegranate concentration powder in ovariectomized rats

  • ;;;;;;;;;;구세광;이영준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3-145
    • /
    • 2014
  • Objective : In this study, the addition of dried pomegranate concentrate powder (PCP) was affected the anti-climacterium activity of red clover dry extracts (RC) in ovariectomized (OVX) rats. Materials and methods : After bilateral OVX surgery, RC 40 mg/kg, PCP 20 mg/kg and RC:PCP 2:1 mixture (g/g) 120, 60 and 30 mg/kg (of body weight)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84 days, and then the changes on the serum estradiol levels, abdominal fat pad and uterus weights were observed for estrogenic effects. In addition, liver weights,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were also evaluated for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serum total cholesterol (TC), low density lipoprotein (LDL),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nd triglyceride (TG) levels were monitored for hypolipidemic effects. Results : As a result of OVX, the estrogen-deficient climacterium symptoms, increments of abdominal fat pad weights, serum AST, ALT, TC, LDL and TG levels with decrease of uterus and liver weights, serum estradiol levels, were demonstrated. However, these estrogen-deficient climacterium symptoms induced by bilateral OVX in rat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continuous oral treatment of RC 40 mg/kg, PCP 20 mg/kg and RC:PCP 2:1 mixture (g/g) 120, 60 and 30 mg/kg,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ed that RC:PCP 2:1 mixtures synergistically increased the anti-climacterium effects of RC in OVX rats. It, therefore, is expected that RC:PCP 2:1 mixture will be promising as a new potent protective agents for relieving the climacterium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