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ing Violence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부모의 폭력 및 지지행동이 이성교제폭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al Violence and Support Behavior on Dating Violence)

  • 장희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0권
    • /
    • pp.131-155
    • /
    • 2002
  • 본 연구는 부모의 폭력 및 지지행동이 자녀의 이성교제폭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그 영양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폭력/지지행동과 이성교제폭력 사이를 갈등해결기술, 우울, 비행이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행동이 자녀의 성별에 따라 이성교제폭력에 다른 영양을 주는지 조사했다. 부모의 행동과 관련된 세 개 변인은 부부폭력, 아동학대, 부모지지이다. 본 연구의 표본은 전체 14개 대학의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760명 남녀 대학생이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해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학대 경험은 이성교제폭력의 확률을 높이고 있었으며 아동학대와 이성교제폭력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비행행동만이 검증되었다. 아동기의 학대경험은 성별에 관계없이 비행을 통해 이성교제폭력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일관되게 보여준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자료에서는 부모간 폭력을 목격한 경험은 이성교제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폭력행동보다 부모의 지지 수준이 자녀의 폭력에 더욱 큰 영양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수준의 부모지지는 자녀의 갈등해결기술, 우울, 비행에 영양을 주면서 이성교제폭력과 연관되어 있었다. 부모의 비지지적인 태도는 특히 여성들의 갈등해결기술을 약화시키며, 남성들의 비행횟수를 늘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초로 이성교제폭력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 PDF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xpression of Anger)

  • 남귀숙;이수진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1호
    • /
    • pp.87-10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때 남녀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부산지역의 대학생 399(남 133명, 여 206명)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갈등책략척도(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2: CTS-2),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은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여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도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완전매개함을 확인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아지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가해를 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의 분노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다룰 수 있는 분노조절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데이트 폭력의 예방 및 상담에 적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미혼 성인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Unmarried Adult Men and Women's Implicit Narcissistic Propensity on the Tolerance of Dating Viol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 정오영;장석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53-46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의 미혼 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폭력의 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성 교제 경험이 있는 20~30대의 미혼 남녀 215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수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고 통계 분석을 실행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사이에서 비합리적 관계신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합리적 관계신념을 매개하여서만 데이트 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본 연구 결과는 폭력 허용도에 대한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데이트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시사성을 담고 있다.

연인관계에서의 집착과 반추적 반응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imerence and Ruminative Response on Dating Viol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79-49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연인관계에서 나타나는 데이트 폭력과 집착행동 및 반추적 반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애 경험이 있는 대학생 205명이며, 평균 연령은 22.1세였다. 분석 방법은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2단계군집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착 피해군과 가 피해군은 일반군보다 자책적 반추 반응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데이트 폭력 피해군과 가 피해군은 일반군보다 모든 반추적 반응의 하위요인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자책적 반추 반응은 데이트 폭력에 유의한 정적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집착 피해경험은 데이트 폭력의 피해집단으로 분류될 승산비를 유의하게 3.3배 높였고, 데이트 폭력 가 피해군으로 분류될 확률은 10.9배나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트 폭력에 대한 집착과 반추사고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미디어 폭력성 수용 정도와 폭력 인식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Acceptance and Violence Perception on Dating Violence in University Students)

  • 박점미;신나연;박효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미디어 폭력성 매체 수용 정도, 미디어 폭력성 매체에 대한 현실감 지각과 폭력인식을 파악하고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데이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성폭력 영역에서 폭력 정당화(${\beta}=.38$, p<.001), 데이트 관계 신화(${\beta}=.17$, p=.010) 이었으며, 성희롱 영역에서는 폭력 정당화(${\beta}=.48$, p<.001)이었다. 언어 폭력 영역에서는 폭력 정당화(${\beta}=.52$, p<.001), 신체 폭력 영역에서는 폭력 정당화(${\beta}=.48$, p<.001)이었으며 스토킹에서는 폭력 정당화(${\beta}=.38$, p<.001), 데이트 관계 신화(${\beta}=.14$, p=.024)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 폭력성의 수용 정도와 매체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폭력 정당화의 정도를 낮추고, 데이트 관계 신화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teaching-learning plan f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

  • 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7-20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청소년 데이트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트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는 내용 분석 및 내용 요소 선정 단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단계, 파일럿 테스트 및 수정 단계의 3단계 절차를 거쳤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2015 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 내용 중 데이트폭력과 연관된 내용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기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에 필요한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두 번째 단계에서는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2명의 가정과 경력 교사에게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고 수정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개발된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고등학교 2개 학급에서 실행한 후 수업 실행 교사와 수업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적합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인 데이트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청소년의 데이트폭력 문제 예방을 위해서는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사회적 환경을 마련하고 이성교제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가정과 수업 시간에 본 교수·학습 과정안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폭력에 대한 민감성을 키우고 문제 상황에서 현명히 판단하고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게 되기를 기대한다.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성별 및 전공계열에 따른 요구의 차이 (Differences in the Needs According to Gender or Major for Development of the Prevention Program for Dating Violence of University Students)

  • 김래은;구상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78-18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대학생의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요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인문사회계열 및 보건계열 학생들로, 남학생 220명, 여학생 131명, 총 35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데이트폭력에 대한 교육시기,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에 대한 설문을 제작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활용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통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보다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음주 동기, 문제음주 및 음주 가족력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Motivation for Alcohol Use, Problem Drinking, Family Alcohol Use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2호
    • /
    • pp.61-7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음주 행동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이성과의 데이트 경험이 있는 440명의 대학생이었는데, 남학생이 184명이고 여학생이 256명이었다. 이들의 연령 분포는 17세에서 30세까지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0.08세(SD=1.89)였다. Straus의 갈등 책략척도(CTS), 알코올장애분류검사(AUDIT), Cooper의 음주동기 설문지(DMQ), 및 음주가족력목록(IFAU)을 참여자에게 주었다. 주요 통계분석은 2(성별) × 2(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이원변량분석 이었다. 분석 결과, 일주일에 한번 이상 술을 마시는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데이트를 하면서 이성친구에게 폭력을 행할 가능성이 높았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들이 음주에 더 동기화가 되어 있었으며,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대처동기를 가지고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문제음주, 즉 위험음주, 의존음주, 유해음주를 더 하고,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문제음주를 더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음주 가족력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의존음주와 유해음주에는 성별과 데이트 폭력 가해 여부의 유의한 이원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단순주효과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가해 여부에 따른 의존음주 혹은 유해음주의 차이는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한국 고등학생의 데이팅 폭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Dating Violence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박옥임;배영숙;김정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7-37
    • /
    • 2005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were 54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1-test,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58.6\%$ of respondents have had one or more dates with the other sex, so the association with the other sex is remarkably universal and natural. (2) In the case of physical violence, $18.5\%$ claimed that they have been injured in some ways, and $18.3\%$ said some kind of harm was done to them. (3) In terms of psychological violence, $32.8\%$ reported psychological damage and $35.6\%$ reported being harmed. (4) In terms of sexual violence, $20.8\%$ reported damage, while $18.2\%$ said they were harmed. (5)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experience of violence. (6) When we looked at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we found that boys rather than girl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cademic school students have more violent experiences.

  • PDF

성인 초기 커플의 데이트폭력 유형에 따른 가해와 피해에 대한 관계 역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Dynamics of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in Early Adult Coup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Dynamics in Dating Violence)

  • 박경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4호
    • /
    • pp.497-536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커플의 데이트폭력 유형에 따른 관계 역동을 탐구해 보기 위한 목적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5쌍의 커플 인터뷰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 3개의 영역과 13개의 상위 범주, 3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영역 1에서 '가해와 피해가 이뤄지는 역동의 방향, 폭력 유형 및 경험수준'을 탐구하였고, 그 결과 가해와 피해의 역동은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폭력 유형은 상황적 유형과 통제적 유형이 도출되었다. 영역 2에서 '주요 갈등 주제 및 고유한 인식과 폭력에 대한 심리 역동'을 탐구하여 주요 갈등 주제로 '이성 및 연락문제'와 '간섭 및 성격 문제'를 도출하였고, 고유한 인식으로 '성별고정관념'과 '폭력허용신념'을, 폭력에 대한 심리 역동에 '귀인 양식', '주요 감정'과 '대처방식'을 도출하였다. 영역 3에서 '헌신 및 만족감의 변화와 관계유지 요인'을 탐구하여 헌신의 변화와 만족감의 변화를 제시하였고, 관계유지 요인은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커플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데이트폭력이 발생하는 커플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논의하였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