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ets

검색결과 3,737건 처리시간 0.044초

낙동강 하류지역의 저수지, 하천 및 지하수위 자료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with Reservoir, River, and Groundwater Level Data Sets in Nakdong River Watershed)

  • 양정석;유가영;안태연;김정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51-1154
    • /
    • 2008
  • The water level data sets among hydrologic observation data are correspond to the hydraulic head for each observation point and determine flow direction. The level difference among reservoir, river, and groundwater determines groundwater flow direction, just like water flows in the downstream direction because the water level of upstream point is higher than that of downstream point. We can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mponents in hydrologic cycle by comparing the water level differences.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data from Nakdong river watershed in Gyungsangnam-Do. Three data group are used for the analysis and onr group is composed of reservoir, river, and groundwater data sets. The data sets are closely(within 10 km) located in the interested area.

  • PDF

다중 3차원 거리정보 데이타의 자동 정합 방법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for Multiple 3D Range Data Sets)

  • 김상훈;조청운;홍현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2호
    • /
    • pp.1239-1246
    • /
    • 2003
  • 대상 물체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여러 시점에서 측정된 거리정보 데이타들을 하나의 좌표계로 통합하는 정합(registration) 과정이 필수적이다. 3차원 데이타의 정합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ICP(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은 거리정보 데이타 간에 겹치는 영역 또는 일치점 등에 대한 사전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시점에서 측정된 데이타를 반복적인 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정합하는 개선된 ICP 방법이 제안된다. 3차원 데이타가 거리정보 영상으로 맺히는 관계를 나타내는 센서 사영조건(projection constraint), 데이타의 공분산(covariance) 행렬, 교차(cross) 사영 등을 이용하여 정합과정을 자동화하였으며, 유저의 개입이나 3차원 기계 보조 장치 등을 사용하는 별도의 초기값 측정 없이 3차원 모델을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거리정보 데이타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효율적인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의 활용에 의한 마커리스 증강현실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Using Efficient Reference Data Sets)

  • 구자명;조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335-2340
    • /
    • 2009
  • 본 논문은 레퍼런스(reference) 데이터 그룹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활용한 마커리스 증강현실(Markerless Augmented Reality)의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 설정과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 생성, 트래킹 (tracking) 부분으로 되어 있다. 효율적인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CAD모델과 같은 3D모델을 필요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본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을 생성해야 한다. 모델에 대한 영상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광선 추적법을 이용하여 그 특징점에 대응하는 3D좌표를 추출하여, 모델의 특징점들에 대한 2D/3D 대응접의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이 구성된다. 트래킹 할 때 현재 프레임영상에서 특징점 들이 가장 많이 매칭되는 레퍼런스 데이터와 그 주위의 모델 데이터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빠르게 트래킹할 수 있다.

마커리스 증강현실의 구현과 효율적인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의 생성 및 활용 (An Implementation of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and Creation and Application of Efficient Reference Data Sets)

  • 구자명;조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4-207
    • /
    • 2009
  • 본 논문은 마커리스 증강현실(Markerless Augmented Reality)의 구현과 레퍼런스(reference) 데이터 그룹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현은 카메라 설정과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 생성, 트래킹(tracking) 부분으로 되어 있다. 효율적인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CAD모델과 같은 3D모델을 필요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본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을 생성해야 한다. 모델에 대한 영상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광선 추적법을 이용하여 그 특징점에 대응하는 3D좌표를 추출하여, 모델의 특징점 들에 대한 2D/3D 대응점의 레퍼런스 데이터 그룹이 구성된다. 트래킹 할 때 현재 프레임영상에서 특징점 들이 가장 많이 매칭되는 레퍼런스 데이터와 그 주위의 모델 데이터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빠르게 트래킹 할 수 있다.

  • PDF

대규모의 정보 검색을 위한 효율적인 최소 완전 해시함수의 생성 (Effective Generation of Minimal Perfect hash Functions for Information retrival from large Sets of Data)

  • 김수희;박세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9호
    • /
    • pp.2256-2270
    • /
    • 1998
  •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해 성능좋은 인덱스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5ㆍm개의 키들을 m개의 버켓에 충돌없게 해시하는 최소 완전 해시함수를 다시 고려하게 되었다. 대량의 정보를 대상으로 최적의 인덱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Heath가 개발한 MOS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이를 토대로 최소 완전 해시함수들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험하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들에 적용한 결과 Heath의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으로 각각의 최소 완전 해시함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자주 변하지 않는 대량의 정보나 탐색 속도가 매우 느린 저장 매체에 저장할 데이터를 대상으로 인덱스를 구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PDF

Correlation of Intuitionistic Fuzzy Sets

  • Son, Mi-Jung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46-549
    • /
    • 2007
  • When we deal with crisp data, it is common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tuitionistic fuzzy data, by adopting the concepts from the conventional statistics. The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mputed from our formula not only provides us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of intuitionistic fuzzy sets, but also shows that the intuitionistic fuzzy sets are positively or negatively related.

The extension of the largest generalized-eigenvalue based distance metric Dij1) in arbitrary feature spaces to classify composite data points

  • Daoud, Mosaab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4호
    • /
    • pp.39.1-39.20
    • /
    • 2019
  • Analyzing patterns in data points embedded in linear and non-linear feature space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mmon research problems among different research areas, for example: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pattern recogni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In this paper, data points are heterogeneous sets of biosequences (composite data points). A composite data point is a set of ordinary data points (e.g., set of feature vectors). We theoretically extend the derivation of the largest generalized eigenvalue-based distance metric Dij1) in any linear and non-linear feature spaces. We prove that Dij1) is a metric under any linear and non-linear feature transformation function. We show the sufficiency and efficiency of using the decision rule $\bar{{\delta}}_{{\Xi}i}$(i.e., mean of Dij1)) in classification of heterogeneous sets of biosequences compared with the decision rules min𝚵iand median𝚵i. We analyze the impact of linear and non-linear transformation functions on classifying/clustering collections of heterogeneous sets of biosequences. The impact of the length of a sequence in a heterogeneous sequence-set generated by simul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clustering results in linear and non-linear feature spaces is empirically show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ncept: the limiting dispersion map of the existing clusters in heterogeneous sets of biosequences embedded in linear and nonlinear feature spaces, which is based on the limiting distribution of nucleotide compositions estimated from real data sets. Finally, the empirical conclusions and the scientific evidences are deduced from the experiments to support the theoretical side stated in this paper.

목포대교 주변의 선박 항행 정보 및 기상 정보 획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ata Acquisition System to Obtain Vessel and Weather Information in Around Mokpo Harbor Bridge)

  • 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현재 건설 중인 목포대교와 선박 사이의 충돌 위험도 평가에 필요한 선박 정보와 기상 정보 수집 장치(Data Acquisition System, DAS) 개발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AS를 통항 선박과 기상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신호 수신 및 처리 유닛과, 데이터 전송과 분배를 위한 네트워킹 유닛, 데이터 관리를 위한 유닛 등으로 구성하였다. 목포항 여객터미널과 신안군 안좌도를 왕복하는 카페리 선상에서의 현장 실험을 통해, 충돌 위기 평가에 적합한 정보를 DAS가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5차 버터워스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기상 데이터에 포함된 잡음성 데이터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었다.

지방자치단체 데이터세트의 서비스 방안 연구 -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서비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rvices of Data-sets in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Cases of Seoul Open Data Portal Services)

  • 안대진;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9-178
    • /
    • 2013
  • 최근 각국은 정부 데이터 개방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행정정보데이터세트 등 다양한 데이터를 민간에서 웹을 통해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오픈 데이터 플랫폼인 소크라타와 CKAN의 기능을 분석하고, 각국의 활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울시의 데이터세트 서비스 현황을 사례로 검토하여, 오픈 데이터 플랫폼을 적용한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세트 관리 및 서비스 방안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기록으로서의 데이터세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장기적인 보존과 관리체제 방안을 제도적 측면과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 측면, 서비스 측면 및 플랫폼의 선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보건의료정보 자료 세트의 비교 및 간호정보 표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Minimum Data Sets and Standardized Nursing Classifications)

  • 염영희;이지순;김희경;장혜경;오원옥;차보경;박창승;천숙희;이정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2-85
    • /
    • 1999
  • The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ree data sets(Uniform Hospital Discharge Data Set, Nursing Minimum Data Set, and Nursing Management Minimum Data Set) and six major nursing classifications(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es Association Taxonomy I, Omaha System,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ursing Intervention Lexicon and Taxonomy,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Patient Outcome). The reviewed data sets and nursing classificatio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urpose, structure, and user.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nd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were linked to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but others not. The data set and nursing classifications need to be linked to other data sets and classif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