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rk Area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31초

우리나라 독도 분포 토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ils Distributed on the "Dokdo" Island in South Korea)

  • 손연규;박찬원;장용선;현병근;송관철;윤을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7-193
    • /
    • 2011
  • 농촌진흥청에서는 농경지뿐 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국토에 대한 토양조사를 수행하였으며 (1964-1999) 일부 도서지역이라든가 민통선 해제지역 등의 토양조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2000-현재). 그 일환으로 독도에 대한 토양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아울러 이와 유사한 토양들을 울릉도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서도의 대한봉 남쪽 20 m 지점 (경도 $131^{\circ}$51'53", 위도 $37^{\circ}$14'35")에서 대표단면을 선정하였다. 조사지역은 주로 조면안산암 유래 토양으로 이외에도 조면암, 유문암, 응회암등이 혼재하고 있다. 기존 분류되어 있는 토양과 달라 고유의 토양명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토양은 "독도통"으로 명명하였다. 토심이 매우 얕아 대체적으로 0-20 cm 정도였으며, A층은 농암갈색 (10YR 2/2)의 바위가 있는 사양토이고 AC층은 암갈색 (7.5YR 3/2)의 자갈이 있는 미사질양토로 되어 있다. 독도의 토양은 울릉도 지역과 동일하게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한다고 하여, Dokdo, coarse loamy, mesic family of Lithic Udorthents로 분류할 수 있었다. 독도는 총면적이 18.7 ha이며 동도는 7.3 ha, 서도는 8.9 ha 및 부속도서가 2.6 ha이다. 이 중 조사된 "독도통"의 면적은 동도 4.13 ha, 서도 6.34 ha, 울릉도 808.56 ha로 새로운 토양으로 설정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있다.

주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 특징과 엽록소 함량 비교 (Comparisons i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Foliages with Variegated Leaves)

  • 박인숙;신용길;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47-45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하여 이용 및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반입의 형태 및 색, 면적비, 그리고 잎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주요 관엽식물 중에서 국내 시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반입식물 6개과, 18속, 54종 또는 품종을 선정하여 재료로 사용하였다. 반입의 형태는 계단, 복륜, 복륜붕괴, 모래복륜, 절반, 비단, 별, 엽맥, 장작, 장작복륜, 중심, 초심, 잎, 불규칙, 그물, 수박, 참외무늬 등 20종류였다. 반입의 색깔은 암록, 적, 암적, 적백, 적황, 백, 은, 은백, 황백, 황색 등이었다. 반입 면적비는 5.8%에서 100%까지 종에 따라 다양하였는데, 초심의 반입 면적비율이 98.6%로 가장 높았고, 계단무늬도 60.8%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복륜, 별, 장작무늬 등은 33.6-36.4%로 비율이 낮았고, 절반 및 엽맥 무늬도 43% 정도로 낮았다. 반입의 엽록소 함량은 일반식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엽록소 a와 b의 비율은 일반식물에 비해 b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특히 Stromanthe sanguinea 'Triostar', Dracaena fragrans 'Massangeana Compacta'의 복륜붕괴 무늬종, D. reflexa 'Song of India' 및 Tradescantia spathacea의 엽록소 b함량이 a보다 많았다.

국내 피트층 토양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soil characteristics in peat layer)

  • 박선영;강정원;김윤지;정용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8-33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피트층의 토양특성(입지환경)을 분석하여 충남 태안군의 신규 피트 분포지역을 예측하고 피트층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국내에서는 충남 태안, 경기 평택, 강원 강릉, 울산, 전북 익산 및 전남 장흥 등에서 피트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 연구 지역들의 피트층 토양에 대한 분포지형, 퇴적양식, 배수등급 및 토양아목의 특성을 통해 입지환경을 분석하고 피트 분포 예측기준을 선정하였다. 충남 태안군의 사례연구를 통해 피트층 분포 지역은 두 가지 형태로 확인되었다. 첫 번째로는 곡간지, 충적붕적층, 배수 약간불량 및 aqualfs 특성을 보이는 지역과, 두 번째로는 해성평탄지, 충적층, 배수 매우불량 및 aquepts 지역들이었다. 실제 피트층의 분포 확인을 위해 현장 탐침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신규 피트층과 기존 연구 결과를 비교한 결과 국내의 피트 발견지역은 모두 해안선에서 10 km 이내에 위치하며, pH 5, 휴믹산 15% 이내의 성분으로 구성된 dark brown 계열 색상의 피트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규 피트층은 타지역에 비해 깊이는 깊고 두께는 두꺼우나 분해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산지구 항공 자력탐사 자료의 3차원 역산 (3D Inversion of Aeromagnetic Data In an Area of Geumsan)

  • 고광범;유영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7권2호
    • /
    • pp.49-57
    • /
    • 2014
  • 금산지역 항공 자력자료에 대하여 2차원 수치모델링 및 역산조합으로 구한 사전정보를 이용하는 3차원 자력역산을 수행하고 지질정보와 대비하여 함우라늄 층과 여타 옥천누층군 단위 암상에 대응하는 자기감수율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고찰하였다. 체적당 자기감수율 분포 및 수평 슬라이스 시각화를 통해 흑색셰일형 함우라늄층인 흑색 점판암과 대응하는 자력이상 값은 우라늄 광화대와 전체적으로 양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회색 혼펠스층 우라늄 광화대의 간접 지시자인 마전리층 및 암회색 점판암층 역시 석영반암 경계에서부터 동남쪽으로 발달하는 자력선구조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인접한 강한 자기감수율 이상을 보여주는 암회색 점판암과 분리하여 인지 가능한 함우라늄 흑색 점판암층의 최대 깊이는 고도 306m 기준으로 약 150m 안팎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흑색 점판암층 남쪽의 마전리층은 다소 높은 자기감수율 분포를 보여주나 자기감수율의 공간적 변동이 심한 특징을 보이며 관입암인 주라기 화강암은 낮은 자기감수율 특성을 보여주는 반면, 백악기 화강암은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감수율 특성을 나타내었다.

20대 여성 상의의 착용 색채 변화에 대한 비교 분석 -1998년과 2004년을 대상으로- (A Study on Change of Color Preference of Young Women's Wear - Comparison between 1998 and 2004-)

  • 조정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80-69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olor preference of young women living in Seoul, to provide materials which is useful for setting up the color plan for a better costume, and to suggest new information in the apparel study. This study was done on the basis of color preference only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ange of this study restricted on young women' clothes. The subjects were 1,100 in 1998, 1,393 young women in 2004. They were photographed in the street.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chi^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preference of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hue and tone, pattern of textiles are different mainly by regional characteristics. 1) In 1998, young women prefered achromatic colors to chromatic colors. and the most preferred achromatic color was black, especially women of YOUNGDUOPO area prefer black. But, in 2004, young women preferred chromatic colors to achromatic colors and the most preferred achromatic color was white in the all areas. 2) Analysis of hue shows that in 1998, blue is most preferred color in the all areas by young women. But, in 2004,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s 3) Analysis of tone shows that in 1998, vivid, pale, dark tones are commonly preferred by young women. However, APGUJUNG area have specially inclination, they prefer vivid, pale and light tone. In 2004 year, pale, vivid and bright tones are most preferred tones in the all areas. 4) Analysis of pattern of textiles shows that, pattern textiles were preferred by young women of APGUJUNGDONG area in 1998 and YOUNGDUOPO area in 2004. The most preferred. pattern for young women in all area was a stripe pattern.

Eccrine Poroma of the Postauricular Area

  • Lee, Hyun Rok;Jung, Gyu Yong;Shin, Hea Kyeong;Lee, Dong Lark;Lee, Jong Im;Kim, Jung Hwa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45
    • /
    • 2017
  • Eccrine poroma is a common benign cutaneous tumor that originates in an intraepidermal eccrine duct. This tumor exhibits acral distribution (sole, palm), and is rarely encountered in the head and neck area. In fact eccrine poroma in the postauricular area has only been rarely reported. A 55-year-old female visited our hospital with a main complaint of a mass that first developed in the left postauricular area about a year previously. The mass was painless, soft, protruding, domed, and dark red in color, and had slowly enlarged (at presentation it measured $1\times1cm$).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distinct features, and eccrine poroma was diagnosed. Follow-up at 6 months postoperatively showed no recurrence. The frequency of eccrine poroma is dependent on eccrine sweat glands density, and thus, usually occurs on the palms or soles. For eccrine poroma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must rule out other masses, such as nevus, skin tag, pyogenic granuloma, cyst, basal cell carcinoma, and seborrheic keratosis. Importantly, 18% of poromas show malignant transformation, and can develop into porocarcinoma. For these reasons, an eccrine poroma in the facial area requires histological examination, complete excision, and follow-up.

광도전체 필름 상부 전극크기에 따른 전기적 신호 특성 비교 (Comparison of Electrical Signal Properties about Top Electrode Size on Photoconductor Film)

  • 강상식;정봉재;노시철;조창훈;윤주선;전승표;박지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93-96
    • /
    • 2011
  • 현재 광도전체 물질을 이용한 직접변환방식의 방사선 검출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광도전체 물질 중 상용화된 비정질 셀레늄(a-Se)에 비해 요오드화수은($HgI_2$) 광도전체 화합물은 고에너지에 대한 높은 흡수율과 민감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광도전체 필름은 발생된 신호의 검출효율은 상하부 전극크기에 의한 전기장의 세기 및 기하학적 분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gI_2$ 광도전체 필름에서 상하부 전극의 크기에 따른 X선 검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편제작은 기존의 진공 증착법이 두꺼운 대면적 필름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페이스트 인쇄법을 이용하여 인듐전극이 코팅된 유리기관위에 제작하였으며, 시편의 두께를 $150{\mu}m$, 면적크기를 $3cm{\times}3cm$ 크기로 제조하였다. 상부전극은 마그네틱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3cm{\times}3cm$, $2cm{\times}2cm$, $1cm{\times}1cm$의 크기로 ITO(indium-tin-oxide)를 진공 증착하였다. 특성평가를 위해 X선 선량에 대한 민감도와 누설전류,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여 필름의 전기적 검출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상부전극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검출된 신호의 크기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전극크기의 증가에 따른 누설전류 또한 증가함으로써 신호대잡음비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향후 광도전체를 적용한 X선 영상검출기 개발에 있어 상부전극의 최적크기와 구조설계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Leaf Growth of Seven Fruit Trees in Response to Different Lights for Garden Tree

  • Nam, Yu Kyeong;Lee, Jin Hee;Kwon, O M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875-881
    • /
    • 2018
  • To select fruit trees suitable for shaded urban garden wit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Malus domestica 'Alps Otome', Malus domestica 'Fujii', Prunus mume, Prunus persica for. persica, Rubus fructicosus, and Vaccinium corymbosum 'Reka', leaf growth in response to different light was investigated two years after 35% shade treatment. Leaf area of E. umbellata var. coreana, M. domestica 'Alps Otome', P. mume, P. persica for. persica, and V. corymbosum 'Reka' increased in shading. Fresh weight of leaves make inconsistent response to shading in every species but dry weight of E. umbellata var. coreana and P. persica for. persica showed the highest 150% and 148%, increment, respectively. Althought leaf water content of E. umbellata var. coreana decreased in shading, there is no difference in P. persica for. persica. Chlorophyll value of E. umbellata var. coreana and P. persica for. persica that showed higher than any other species is correlated with dark leaf green. Compared to specific leaf weight of E. umbellata var. coreana, P. persica for. persica, and V. corymbosum 'Reka' showed lower than any other species in shading, that of M. domestica 'Fujii', and R. fructicosus increased in rever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 umbellata var. coreana and P. persica for. persica that showed high value in several invesetigaton items are suitable for shady urban condition considering leaf growth in response to shading.

초분광 카메라를 이용한 콘크리트 백화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rete Efflorescence Assessment using Hyperspectral Camera)

  • 김병현;김대명;조수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8-103
    • /
    • 2017
  • In Korea, the guideline for the bridge safety inspection requests to assess surface degradation, including crack, efflorescence, spalling, and so on, for the rating of concrete bridges. Currently, the assessment of efflorescence is performed based on the visual inspection of expertized engineers, which may result in subjective inspection result. In this study, a novel method using a hyperspectral camera is proposed for objective and accurate assessment of concrete efflorescence. The hyperspectral camera acquires the light intensity for a number of continuous spectral bands of light for each pixel in an image, which makes the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 provides more detailed information than a color camera that collects intensity for only three bands corresponding to RGB (red, green, and blue) colors. A stepwise assessment algorithm is proposed based on the spectral features to decompose efflorescence area from the inspected concrete area. The algorithm is tested in the laboratory test using two concrete specimens, one of which is dark colored with efflorescence on a surface while the other is bright concrete without efflorescence. The test shows high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efflorescence assessment using a hyperspectral camera.

외부조명 변화에 강인한 운전자 졸음 감지 시스템 (System for Detecting Driver's Drowsiness Robust Variations of External Illumination)

  • 최원웅;반성범;신주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24-1033
    • /
    • 2016
  • In this study, a system is proposed for analyzing whether driver's eyes are open or closed on the basis of images to determine driver's drowsiness. The proposed system converts eye areas detected by a camera to a color space area to effectively detect eyes in a dark situation, for example, tunnels, and a bright situation due to a backlight. In addition, the system used a thickness distribution of a detected eye area as a feature value to analyze whether eyes are open or closed through the Support Vector Machine(SVM), representing 90.09% of accuracy. In the experiment for the images of driver wearing glasses, 83.83% of accuracy was obtained. In addition, in a comparative experiment with the existing PCA method by using Eigen-eye and Pupil Measuring System the detection rate is shown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driver's drowsiness was identified accurately by using the method of summing up the state of driver's eyes open and closes over time and the method of detecting driver's eyes that continue to be closed to examine drowsy dri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