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ger factor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COVID-19 스트레스 측정도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VID-19 Stress Scale in Korean Nursing Students)

  • 함미영;이소정;임소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OVID-19 Stress Scale (K-CSS) in nursing student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9 nursing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Data were collected for two months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e study verified the scale's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using SPSS 20.0 and AMOS 20.0. Results: K-CSS was comprised of seven factors, with a total of 25 questions; six about socio-economic consequences, four about Xenophobia, five about compulsive checking, three about traumatic stress, three about contamination, two about danger of the virus, and two about danger regarding the healthcare system. K-CSS was valida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x2/df=2.32, CFI=.94, GFI=.87, NFI=.90, RMR=.07, RMSEA=.06, TLI=.93). Furthermore,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showed a Cronbach's α of 0.87, confirming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tool was very reliabl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K-CSS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nursing students in Korea.

치매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mentia)

  • 이경희;김철용;김성학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1-178
    • /
    • 2002
  • This research recognized about general ancient temple of Alzheimer dementia. Research of cause of Alzheimer dementia is progressing up to now. Age, education, melancholia, estrogen, woman, smoking, thyroid gland disease, aluminum etc. are danger factor of an Alzheimer dementia. Familyish factor was proved in some degree by gene. Medicine in early patient's case imbecility some measure progress late in degree develop. However, ceilinged thing is true in treatment of Alzheimer dementia up to now, and must help so that their quality of life may can rise and laws of physical therapist must help to keep function in everyday life.

  • PDF

FRAT을 이용한 재해평가지수 연구 - 건설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lamity Index Evaluation Based on FRAT - Construction Safety -)

  • 박재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31-38
    • /
    • 2007
  •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its nature retains higher level of danger where the smallest of error may lead to a major catastrophe endangering many workers and public safety as well as provoke social criticism. With the aid of quantitative statistical data on safety-related calamity analyzed till this day, this paper handled in depth the analysis of diseases other than the accidents, and selected new variable indexes that influence the indirect sections of calamity that are mostly concealed and incorporated them in a new model. For the factor selection of new calamity evaluation model, FRAT(Frequency, Recency, Amount, Type of merchandise/service)technique of customer-related management in marketing was applied, and as for the significance of each factor in the weight selection of variables. Consequently, considering the graveness of the FRAT itself through safety management experts, the related researches must be expanded.

산림화재예측(山林火災豫測) Model의 개발(開發)을 위(爲)한 연구(硏究) (Developing Fire-Danger Rating Model)

  • 한상열;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57-264
    • /
    • 1991
  • 우리나라는 1980년대초 산림녹화(山林綠化)를 달성하고, 본격적인 산림자원조성시대(山林資源造成時代)로 진입하게 되었다. 산지자원화(山地資源化)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근 대형화고 있는 산림화재(山林火災)에 대한 과학적인 관리체계수립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산림화재(山林火災)의 원인을 기상요인(氣象要因)과 인위적(人爲的) 요인(要因)으로 대별하여 산림화재(山林火災) 발생위험(發生危險)을 예측할 수 있는 Model을 개발하므로써 산림화재(山林火災)의 조기발견(早期發見) 및 진화(鎭火)를 가능케 하고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진화장비(鎭火裝備) 및 진화인원(鎭火人員)을 사전에 배치하는 등, 과학적인 산림화재방지(山林火災防止)의 이론적(理論的) 기초(基礎)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 기상인자(氣象因子)를 이용한 산화위험율추정(山火危險率推定)은 선형확율(線形確率)모델(LPM)을 기초로 하여 여러 시계열 기상인자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고 산화발생의 유무(有無)를 종속변수(從屬變數)로 한 WLS분석(分析)을 수행하여 확률모델화 하였다. (2) 인위적요인(人爲的要因)에 의한 산화위험율추정(山火危險率推定)은 산화발생건수를 이용하여 각(各) 시(市) 군별(郡別) 잠재위험등급(潛在危險等級)을 산정하고, 산화발생사례를 원인별로 규명하여 각 원인들이 전체 산화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각 원인별로 산화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위험등급을 매겨 당일(當日) 산화위험지수(山火危險指數)를 작성해서, 잠재위험등급(潛在危險等級)과 당일산화지수(當日山火指數)를 조합(組合)하여 인위적(人爲的)인 요인(要因)에 의한 산화위험을 지수화(指數化)하였다. (3) 앞의 기상요인(氣象要因)에 의한 산화위험(山火危險) Model에 지난 8년간의 기상자료를 대입하여 얻은 확률들을 기준으로 위험수준을 일정구분하여, 이를 인위적(人爲的)인 요인(要因)에 의한 산화발생지수(山火發生指數)와 조합하여 최종(最終) 산화발생위험지수(山火發生危險指數)를 작성하였다.

  • PDF

"2011서울서베이"를 이용한 '삶의 질' 관련 변수의 유의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Variables' Significance to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2011 Seoul Survey")

  • 김동윤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9-47
    • /
    • 2012
  • General concern over 'Quality of Life(QOL)' has caused many researches, which compare nations' or cities' QOL by the normative criteria proposed by themselves. The fact that these are characterized by subjectiveness makes this study have a purpose of trying to enhance the intersubjectiveness by means of quantitive analysis to find the factors on the QOL. This study use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from the "2011 Seoul Survey". The survey includes many items, for example happiness index and satisfaction for work, amenity, etc.. And the analysis tells three findings as follows; Firstly, five subcategories of happiness have relative importance in the order of (1)financial condition, (2)health, (3)social activities, (4)community relationship and (5)family life. These generally constitute the first factor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and named 'abundance-family-intimacy factor.' Secondly, the 'abundance-family-intimacy factor' and the 'information-danger factor' among five factors(the others are 'learning-giving factor', 'local patriotism-hope for rise factor' and 'amenity-comfort facto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o QOL. Thirdly, the first factor has positive effect, but the second has negative to QOL. Note is needed to the fact that the items on SNS and internet belong to second factor and to the result that these make QOL deteriorate.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as having limited meaning of statistical aspect. But accumulation of following studies by quantitive approach is anticipate to make more practical and general mean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COVID Stress Scale

  • Demirgoz Bal, Meltem;Dissiz, Melike;Bayri Bingol, Fadime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25-536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urkish adaptation of the COVID Stress Scale (CSS) on the basis of determining the stress caused by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and to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e English CSS was translated into Turkish using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360 participants.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and test-retest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reliability. Results: The Turkish version of the CSS has 36 item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and has five factors: COVID danger and contamination, socioeconomic consequences of COVID, COVID xenophobia, traumatic stress due to COVID, and compulsive checking for COVI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CSS was verified by the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 .85, and comparative fit index > .95. The content validity index of each item was 91%. The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s of the scale ranged from .51 to .89. Internal consistency was reliable, with a Cronbach's α of .93. Conclusion: The Turkish version of the CSS is valid and reliable. It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the assessment of COVID-related stress.

Trawl 어선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BILITY QUALITIES TRAWLER)

  • 고장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7-292
    • /
    • 1976
  • 1) A선형은 배수량이 2,400톤인 경우 KG의 값이 3.40m, 3.70m때 안정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배수량이 1,600톤 1,900톤 2,200톤일 경우는 KG의 값이 3.40m때 어느정도 안정범위에 있음이 판정되었다. 2) B선형은 배수량이 2,400톤일 경우 KG의 값이 3.40m때 만이 어느정도 안정범위에 있으나 배수량이 1,30 $0\~2,200$톤일 경우 KG값이 $3.40\~4.60m$때는 모두 위험범위에 있음이 판정되었다. 3. A선형은 GM의 값이 2.14m이고 $GZ_max$ 1.395m때 안정범위에 있고 B선형은 GM의 값이 2.14m이고 $GZ_max$ 1,890m때 어느 정도 안정범위에 있음이 판정되었다. 끝으로 본연구를 하는데 지도하여 주신 부산공대 김진안 교수님과 자료를 제공해 주신 대양조선주식회사 정부장씨께 감사드리며, 계산과정에서 협조해준 양주호군에게 사의를 표한다.

  • PDF

재래시장에서의 화재조건에 따른 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성능변화와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tures of Fire and Change of Extinguishing Capacity of Sprinkler Equipment Against Fire at a Traditional Market)

  • 박진우;전규엽;나욱정;홍원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8-138
    • /
    • 2008
  • 소규모 점포가 밀집한 재래시장에 적재된 물품은 고무, 합성섬유제품, 플라스틱 등으로 대부분이 화재발생시 높은 열량을 방출하여 인접 가연물에 쉽게 착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포간에 방화구획이 마련되지 않고 커튼과 같은 가연성물질로 구획되어 화재가 대형화될 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낙후된 재래시장의 화재위험성, 취약요인을 분석하고 화재발생시 가장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점포칸막이의 유무 가연물의 적재 높이 등을 화재 시 위험요소로 설정하여 Field 모델링이 가능한 화재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성능변화와 화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점포칸막이, 가연물의 적재높이 등은 스프링클러 살수반경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화재의 크기 및 온도분포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Decision for Landslide Hazard Areas by Using GIS)

  • 추태호;윤현철;배창연;손희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10-5317
    • /
    • 2014
  • 본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고 하절기에 연 강수량의 약 2/3정도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매년 산사태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재산 및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산사태 발생지를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위험 판정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치지형도, 수치임상도, 수치입지도, 수치지질도를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제시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표를 기준으로 GIS 기법을 활용해 연구지역의 산사태 위험지를 판정을 1차와 2차에 걸쳐 분석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최종 위험지를 판정하였다.

빅 데이터를 이용한 범죄패턴 분석 알고리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Crime Pattern Analysis Algorithm using Big Data)

  • 차경현;김경호;황유민;이동창;김상지;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7-6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죄 발생 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구현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대검찰청에서 수집하여 공개한 범죄관련 빅 데이터를 사용하며, 표준편차 타원체 및 공간밀도 분석과 같은 공간통계분석을 통해 서울시의 2011-2013년 범죄발생 패턴을 분석했다. 범죄 발생 빈도수를 이용하여 범죄발생지역, 시간, 요일, 장소의 위험지수를 구했고, 범죄 패턴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범죄 발생 확률을 구했다. 이를 통해 공간통계분석을 했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구현 결과, 서울시의 각 구별로 범죄발생 패턴이 다르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고, 다양한 범죄발생 패턴을 분석하고 범죄발생확률을 위험지수를 통해 수치화하여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