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ce Studie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2초

<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의 변화에 관한 소고 (An Essay on the Change of Jinju Sword Dance after bei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 이종숙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4-21
    • /
    • 2016
  • 본 연구는 <진주검무>가 1967년 1월 16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이래 변화되고 있는 모습과 그 변화의 특징 및 보존 전승의 현황을 파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진주검무>가 대를 이어가면서 변화를 거듭했고, 그로써 현재의 춤을 정립하게 된 정황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진주검무>는 1967년부터 2015년 현재 3대째의 보유자를 인정하였다. 제1세대 보유자는 권번 기녀 출신 8인이 1967년 인정되었다. 보유자들 간의 불화와 일부 보유자의 사망, 개인적인 경제활동 등의 이유로 전승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전승교육과 활동의 구심점이 필요한 가운데 1978년 6월 21일에 성계옥이 제2세대 보유자로 추가 인정되었다. 비 기녀출신 성계옥의 활동 시기에는 <진주검무>의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가장 크게 보였다. 2009년 성계옥의 사망 후 제3세대 보유자는 김태연과 유영희로 2010년 2월에 인정되었다. 1966년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부터 2014년의 영상을 기초하여 비교한 춤과 그 주변의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주음악편성에 3세대 간 변화가 있었다. 1세대 영상(1970년)은 약 15분 공연했는데, 2세대 영상(2002년)는 25분여를 춤추도록 했다. 염불도드리 장단을 긴염불(상령산)로 해석하여 느리게 연주하였고, 본래 염불 15장단의 춤을 39장단까지 추가함으로써 시간을 길게 했다. 3세대(2013 2014년)에는 다시 15장단으로 환원된 춤을 추고 있다. 다만 긴염불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1세대 때는 3분간 추었던 염불을 3세대에서는 5분여를 춤추고 있어서, 2세대로부터 느림을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춤 구성면에서 2세대에는 긴염불을 20여 장단 추가하면서 아(亞)자 모양의 춤 대형구성이 추가되었다. 3세대 공연에서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춤사위 면에서 방석돌이 동작의 허리재기가 눈에 띄게 유연성을 잃어가고 있는 양상이다. 또 1장단의 시가가 늘어진 경향을 보인다.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당시 1967년에는 칼 목이 돌아가는 것을 사용했는데, 2세대 보유자에 의해 1970년대 말부터 현행과 같이 칼목이 돌아가지 않는 것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칼의 모양도 1966년의 "조사보고서"는 반월형의 뾰족한 모습인데, 현재와 같은 직선형 칼을 사용한 것은 1970년 영상에서부터 보인다. 전립과 전복, 한삼착용의 기본 양식은 변화가 없으나, 한삼 색동 배열이 "조사보고서"와 달라졌다. 또 남색치마를 입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진주검무>는 지정 이후 약 50년 동안 변화가 능동적으로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로 제2세대 성계옥 보유자를 주축으로 변화가 일어났다. 중요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보존이라는 명제에서 볼 때, 춤 종목은 장단과 춤의 조화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서 검무의 오랜 전통성을 보존 전승하려는 노력이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호흡 방법에 따른 한국무용 외발뛰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The Biomechanical Analysis of a One-Legged Jump in Traditional Korean Dance According to Breathing Method)

  • 안주연;이경옥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9-206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biomechanical analysis of a one-legged jump in a traditional Korean dance (Wae Bal Ddwigi) according to breathing method. Method :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 dancers with experience for at least 10 years in traditional Korean danc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test were two different types of breathing methods. Dependent variables were ground reaction force and lower extremity kinematic variables. The jumping movement was divided into three separate stages, take off, flight, and landing. The subjects were ask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degree of impact force and stability of landing posture after the experiment. The Kistler Force Plate (9281B, Switzerland) was used to measure ground reaction force. A digital camera was used to look into angles of each joint of the lower part of body. SPS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via the dependent t-test(p<.05).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umping according to breathing method. The inhalation & exhalation method yielded significantly longer flight times combined with greater ground reaction force. The breath-holding method required more core flexion during landing, increasing movement at the hips and shoulders. Conclusion : Consequently, there was more flexion at the knee to compensate for this movement. As a result, landing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reath-holding.

예술대학 진로지도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Trends and Future Tasks of Domestic Research on Career Guidance in Art Colleges)

  • 구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08-5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분야 대학생들의 진로지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연구된 학술지 게재 논문과 석 박사학위 논문 총 74편의 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성별, 학년별, 예술분야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주제는 6가지 분석기준에서 적응 행동 경험과 관련된 주제가 총 24편(32.5%)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별연구에서는 남녀 전체 대상의 연구가 전체의 9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년별 연구에서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9편으로 전체의 66%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서의 동향을 살펴보면, 양적연구는 모든 주제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술분야별 연구동향에서는 무용(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포함)분야 연구가 54건으로 전체의 73%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제별로도 고르게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로지도 연구는 아직까지 세분화된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연구의 수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분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앞으로는 다양한 관점과 사회적 이슈, 학생들의 전공분야, 학년, 성별, 다양한 연구방법을 반영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스트레치 소재를 사용한 현대무용 타이츠팬츠원형 설계 (Designing of the pattern of Tight Pants, an article of Modern Dancewear, Made of Stretchy Materials)

  • 김순분;곽명숙;박채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5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develop a Pattern of tight Pants, featuring excellent appearance, movement and suitability for the lower body, which are widely used as a basic item for modem dance, aerobic dance and dance sports, and to provide manufacturing data for the p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118 People who majored in dance, using questionnaires asking questions about thei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dancewear The experimental dancewear was produced, using 5 kinds of patterns for tight pants on the market, to find out the most excellent pattern in appearance and movement performance. Then, the most excellent pattern was again improved to produce a pattern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shops where they purchased dancewear exclusive shops accounted for 97%, their average price was ₩30,000 to ₩50,000(51%), and dancewear separ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alves was most preferred(56%). Cotton span was preferably used for a dancewear material(71%), and their dissatisfaction of a fit accounted for 38% which appeared to be highly unsatisfied with its suitability. 2. When S types of experimental dancewear prepared with a comparative pattern were tested by the senses, it was shown that the comparative pattern of experimental wear number 5 with a strip w3s excellent in movement functions and appearance. 3. The basic items necessary to design the tight pants' study pattern were categorized into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crotch depth and slacks length. The shrinkages of 15% in width, 10% in crotch length md 20% in inside leg length were applied, respectivel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the experimental dancewears' comparative patterns. 4. When the improved study pattern for this study was tested by the senses, it showed higher scores in movement functions and appearance than the comparative pattern did, which confirmed the study pattern's improvement of functions and appearance.

의미연결망 분석을 적용한 Movement Culture의 인식 탐색: K-pop Dance와 태권도 공연을 중심으로 (Exploring Movement Culture's Perception Based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K-pop Dance and Taekwondo performance)

  • 신진호;김혜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33-743
    • /
    • 2020
  • 이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Movement culture 중 K-pop 댄스, 태권도 공연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대전 소재 K 대학의 105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방법은 비확률 표집방법 중 눈덩이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도구는 모바일 구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 댄스는 '세계화', '문화', '유명'의 개념이 20회 이상 산출 된 인식의 상위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K-pop 댄스 인식의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문화', '인기', '유명' 개념이 k-pop 댄스 인식의 주요 연결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태권도 공연은 '좋음', '한국', '절제의 개념이 20회 이상 산출된 상위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태권도 공연 인식의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움직임', '한국', '좋음' 의 개념이 태권도 공연 인식의 주요 연결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스티브 팩스톤(Steve Paxton)의 작품에서 나타난 일상적 움직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 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Everyday Movement Represented in Steve Paxton's Works: Focused on Satisfyin' Lover, Bound, Contact at 10th & 2nd-)

  • 김현희
    • 트랜스-
    • /
    • 제3권
    • /
    • pp.109-135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스티브 팩스톤의 작품에서 드러난 일상적 움직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술작품은 오랜 시간동안 고급문화로서 높은 계층의 사람들에게만 향유되는 특별한 대상으로서 인식되어왔다. 일상과 예술의 간극은 크게 존재해왔고 때문에 예술작품에서 일상적인 요소의 출현은 사회적 변화를 수반한 대중의 인식전환을 의미한다. 예술과 일상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시대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는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후사회 그리고 후기 자본주의사회로서 급변하는 정세를 배경으로 가진다. 이 시기의 변화는 학자들에게 일상과 관련한 개념들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계기가 되어졌으며 예술가들에게는 총체성을 거부하는 다원주의 성향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정신으로서 영향을 미쳤다. 같은 시기 현대 무용역시 포스트모던댄스로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무용은 그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저드슨 댄스 씨어터를 비롯한 무용가들을 필두로 포스트모던댄스는 전개되었다. 저드슨 댄스의 설립자 중 한 명인 스티브 팩스톤은 머스 커닝햄의 무용수로 활동을 하며 움직임이 생성되는 과정과 계급적인 사회구조를 지닌 무용단의 생태에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사고는 일상적인 동작을 그대로 작품에 실현하는 시도로서 초기 작품 활동에 드러난다. 일상적인 동작의 활용이 포스트모던댄스의 공공연한 특징으로 간주되어지고 있음에도 이에 주목한 선행연구가 드물다는 점, 그리고 팩스톤 관련 연구들은 접촉즉흥에 관련한 것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것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때문에 접촉즉흥 기법에 치중하기 이전 일상적인 동작의 사용으로서 작품활동을 시작한 것에 주목하여 그 연결선상으로서 이후의 작품들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팩스톤의 작품인 ,,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일상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일상에 관련한 개념을 고찰하고 포스트모던댄스의 무용사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저서와 학술 논문, 무용기사 및 평론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팩스톤은 무용적 정제를 거치지 않은 일상에서의 동작을 작품에 그대로 차용하였으며 그 시작으로 보행동작은 비무용수인 공연자들의 보행으로서 일상적인 움직임에 미적 의의를 부여하였다. 팩스톤이 심취한 접촉즉흥의 움직임 역시 자연스러운 에너지의 흐름을 중시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측면을 지니며 이후의 작품인 에서도 그는 이완된 신체로 평범한 동작들을 선보였다. 작품에 등장한 일상적 움직임의 특성은 반복되는 삶에서의 실천과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것이라는 기준으로서 분석되었다. 그의 작품에 내재된 일상적 움직임은 한 시대의 무용장르의 변화를 비롯하여 전통적으로 유지되어온 무용예술 작품에 관한 인식의 전환을 대변하는 것이다. 파격적인 시도와 실험성으로 점철된 그의 활동은 현대무용이 지녔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보다 높게 평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고구려인의 복식문화고찰-집안지역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 양경애
    • 복식
    • /
    • 제25권
    • /
    • pp.183-199
    • /
    • 1995
  • Among many different approaches of study of history of Kokuryo clothing cultu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stume by including political , militarial , economical , cultural , and religious aspects of Kokuryo society. It also included pictures in mural tumbs and old studies in Kokuryo costume. Clothing culture related to political life clearly differenciated social status by restricting styles and colors of clothes according to peoples social status. Generally people in high social status wore clothes with detailed decorations invariety of colors, and also used more fabrics than people in low social status. Costume was also affected by military life style that needed to meet the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High rank worriors wore iron scaled shielded clothes with red decoration on it which identified different ranks of the worriors. Economy also contributed it role to affect the clothing styles in Kokuryo. Based on old studies of costume, this study focused on people's life styles that included hunting and weaving . Hunting clothes were differentiated by decorating wit feathers . Jowoguan(조우관) is one of the examples. Since weaving was a major economic power or factor, silk and flax were very popular. People even used those fabrics to pay tax. Regarding cultural aspect , this study emphasized on song and dance wear along with active wear. Song and dance wear specially decorated with poka dots, however men and women wear were claryly distinguished. Unlike other clothes that were restricted in colors and styles, song and dance wear were decorated in variety of colors. Lastly this study presents religious aspects of Kokuryo costume . Monks wore black clothing (내의) that was influenced from China and the Western Regions(서역). To emphasize their religious power, Gods in the pictures of mural tumbs wore clothes with wings and feathers. God of fire and agriculture wore simple dresses without much decorations which represented simple life style of working class.

  • PDF

고구려인의 복식문화 고찰

  • 양경애
    • 복식
    • /
    • 제25권
    • /
    • pp.185-199
    • /
    • 1995
  • Among many different approches of study of history of Kokuryo clothing cultu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stume by in-cluding political, militarial, economical, cul-tural, and religious aspects of Kokuryo society. It also included pictures in mural tumbs and old studies in Kokuryo costume. Clothing culture related to political life clearly differenciated social status by restricting styles and colors of clothes accord-ing to peoples social status. Generally people in high social status wore clothes with detailed decorations in variety of colors, and also used more fabrics than people in low social status. Costume was also affected by military life style that needed to meet the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High rank worriors wore iron scaled shielded clothes with red decoration on it which identified different ranks of the worriors. Economy also contributed its role to affect the clothing styles in Kokuryo. Baseed on old studies of costume, this study focused on people's life styles that included hunting and weaving. Hunting clothes were differentiated by decorating with feathers. Jowoguan is one of the exemples. Since weaving was a major economic power or factor, silk and flax were very popular. People even used those fabrics to pay tax. Regarding cultural aspect, this study emphasized on song and dance wear along with active wear. Song and dance wear specially decorated with poka dots, however means and womens wear were claryly dis-tinguished. Unlike other clothes that were re-stricted in colors and styles, song and dance wear were decorated in variety of colors. Lastly this study presents religious aspects of Kokuryo costume. Monks wore black cloth-ing that was influenced from China and the Western Regions. To emphasize their religious power. Gods in the pictures of mural tumbs wore clothes with wings and feathers. God of five and agriculture wore simple dresses without much decorations which represented simple life style of working class.

  • PDF

비만 중년여성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Effect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in Obesity Middle-Women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Meta-Analysis)

  • 나루세 마사요;안기용;전용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613-626
    • /
    • 2016
  • 본 메타분석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신체조성과 대사질환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키워드를 '비만', '여성', '댄스스포츠'로 하여 검색된 200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1월 30일 사이의 논문 중, 총 9개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총 대상자의 수는 197명(실험군: 98명, 대조군: 99명)으로 댄스스포츠 참여기간은 평균 12.2주, 주당 3.13회, 회당 75분이 진행되었다. 본 운동에서 적용된 댄스스포츠 종목으로는 자이브와 차차차가 진행되었고, 그 중 2편의 연구에서는 룸바도 진행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비만 중년여성에게 댄스스포츠는 체중, 체지방률,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렙틴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댄스스포츠가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인슐린, 혈당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근거를 제시할 수 없었다. 또한, 효과의 크기로는 체지방량,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로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중성지방은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체중, 렙틴, 인슐린, 혈당은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부록 3. 모션캡쳐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기록작성 -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승무·살풀이·태평무를 중심으로 - (Document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sing Motion Capture Technology Focusing on the documentation of Seungmu, Salpuri and Taepyeongmu)

  • 박원모;고중일;김용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351-378
    • /
    • 2006
  • 매체의 발달과 함께 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록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는데, 과거에는 문자 기록에만 의존하던 것에서 최근에는 사진, 음원 및 영상 등을 많이 활용하게 되었고, 그 방식에 있어서도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이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모션캡쳐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기록은 3차원적 기록을 필요로 하는 무용종목 등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모션캡쳐란 움직이는 물체에 공간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센서를 부탁시키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센서의 위치를 컴퓨터의 좌표공간에 치환하여 기록하는 시스템으로, 모션캡쳐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기록은 형체가 없이 사람의 기예에 의해서 전승되고 있는 무형문화재의 신체적 표현을 디지털화 된 데이터로 나타내줌으써 무형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해 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멀티미디어 및 디지털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무형문화재에 대한 새로운 기록방안 개발을 목적으로 영화 및 게임 등의 CG제작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션캡쳐(Motion Capture) 장비를 이용하여 국가지정의 중요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록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사업은 복권기금을 사용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개년에 걸쳐서 국가지정의 중요무형문화재 중 신체적 동작이 중요하게 표현되고 있는 무용 7개 종목 11건의 모션캡쳐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미 1차 년도인 2005년에는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등 기술적 난이도가 낮은 독무(獨舞)를 중심으로 데이터 축적작업을 실시하였고, 2차 년도인 2006년에는 진주검무, 승전무, 처용무 등 군무(群舞)의 데이터를 축적할 예정이며, 3차 년도인 2007년에는 학연화대합설무의 데이터 축적과 함께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비교 분석 및 전승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램과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3차원 콘텐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업 초년도인 2005년도에 실시된 보유자 이매방, 이애주, 정재만의 승무, 이매방의 살풀이춤, 강선영의 태평무 등의 모션캡쳐 작업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무형문화재에 대한 새로운 기록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를 소개하려고 한다. 이번 사업에서는 기술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첫 번째, 장시간(20~30분 가량)의 보유자의 춤을 끊김 없이 모션캡쳐 받을 수 있는가라는 문제였다. 수 차례의 사전 모의테스트를 통해 사업수행 적합성 판단을 마쳤고, 결국 사업수행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두 번째, 리타겟팅(RE-Targeting)이 없이 정확한 모션캡쳐 동작을 가공해 낼 수 있는가라는 문제였다. 모션캡쳐 데이터에서 국내 최초로 보유자의 골격구조 역추출 방식을 도입하여 최대한 정확한 보유자의 춤 동작을 구현해낼 수 있었다. 이번 작업에서는 이매방, 이애주, 정재만, 강선영 네 보유자의 전신 삼차원 스캔을 통해 정확한 삼차원 신체 모델링을 얻었고, 보유자 본인의 춤사위 동작을 그대로 모션캡쳐에 적용함으로써 최대한 정확도를 유도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