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Living Disorder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9초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 김은하;이지원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425-440
    • /
    • 2009
  • 본 연구는 복지관 이용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우울과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측면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담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피어슨상관계수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복지관 이용 노인은 87.9-97.3%가 일상생활 수행에 제한을 느끼지 않았고, 34.1%가 수면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7.8%가 우울증의심을 나타냈다. 둘째, 건강관련 삶의 질은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에서 우울이 가장 강력한 설명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호중재방안의 모색과 더불어 우울예방을 위한 교육 및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기요양환자에서 환자 특징 및 기능상태와 환자돌봄 시간과의 관련성 (A Relationship of Care Time with Functional Status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among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지전;김정인;유승흠;유형식;이상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3호
    • /
    • pp.282-291
    • /
    • 200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status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 time of health professionals for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 The functional stati of 1001 patients in 8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examined by the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for Long-term Care Facility Version 2.0. The care time of health professionals for patients was calculated using data from a self-reported task survey by nurses, auxiliary nurses, private aides, doctors, physiotherapists and social workers. Results : The average care time per diem was 240.6 minutes. The care time by doctors, nurses and private aides were 11.0, 71.0 and 139.5 minutes, respectively. The lower the fun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the greater the symptoms of extensive services, special care and clinical complexity, the more care time was served. On the contrary, the greater the symptoms of nursing rehabilitation, depression, cognitive disorder, behavior problem and psychiatry/mood disorder, the less care time was served. Age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are time. Conclusions : Developing a case mix classification system for elderly long term care patients may be helpful for both of pati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The ADL, extensive services, special care and clinical complexity of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a case mix system for the long term care of patients in Korea.

입체조를 병행한 혀 근력운동이 노인의 연하장애와 연하력 및 설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ngue strength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oral exercises on swallowing disorder, swallowing ability, and tongue pressure in the elderly)

  • 김남숙;이정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5-113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usefulness and practicality of the program in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by performing a three-dimensional tongue muscle exercise for the elderly to identify the dysphagia, swallowing ability, and tongue pressure.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Busan, divided into a oral exercises group and tongue strength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oral exercises group, and operated 16 times for 8 weeks twice a week, and the pre and post-program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e 1st and 8th weeks. For variable selection, 7 general characteristics, 5 o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5 Likert scale for swallowing disorder, repetitive swallowing ability test for swallowing power measurement, and tongue pressure measurement was us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 program 25.0 version (IBM),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omogeneity tests, o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homogeneity tests were chi-square test, swallowing disorder, swallowing ability, and change in tongue pressure were paired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t-test, Mann-Whitney U test for swallowing disorder and changes in swallowing ability and tongue pressure, and Spearman's correl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wallowing disorder and swallowing ability and tongue pressure. Results: As a result of tongue strength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oral exercise, both relieve swallowing disorder and improve low eating and tongue pressure than oral exercise, and the difference in improvement effects of both relieve swallowing disorder, swallowing ability, and tongue pressure is higher.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simple and practical oral muscle function reinforcement products and practical use are needed, and institutional devices to seek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needed.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 자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ymptom Self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 한금선;양보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7-13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ymptom self management (SSM) in the patient with a chronic mental disorder.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04 chronic mental disorders in an outpatient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and Public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core of SS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the level of self efficacy (SE) (r=.33, p=.00), social support (SS) (r=.27, p=.00), self care agency (SCA) (r=.36, p=.00) and daily living ability (DLA) (r=.34, p=.00). The score of DLA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level of SE (r=.46, p=.00), SS (r=.51, p=.00), and SCA (r=.52, p=.00),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SM was SCA ($14\%$). A combination of SCA, DLA, and SS account for $20 \%$ of the variance in SSM.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CA, DLA, and SS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SSM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사고사례를 통한 재가치매환자의 위험요소 추출 및 그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risk factor and its application for senile dementia patient at home based on accidental cases)

  • 이행운;엄진섭;최미현;이수정;최진승;문석우;탁계래;정순철
    • 감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11-1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치매노인에게 발생한 사고사례들의 조사를 통해 치매노인에게 위험요소로 작용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매노인 보호를 위해 고려해야 할 모니터링 요소의 결정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재가치매노인 55명(남자 16명, 여자 3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본특성, 행동특성, 노인인지기능(Short form of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SDQ),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사고사례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요소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요소들의 발생빈도, 공발생빈도, 발생장소, 신체손상유무, 손상부위, 손상정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행동특성, ADL, S-SDQ와 위험요소간의 발생빈도를 교차빈도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12개의 위험요소가 추출되었으며, 이 중 '나감'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신체적 손상이 발생한 위험요소는 넘어짐, 부딪힘, 미끄러짐, 떨어짐이었다. 공발생빈도 분석 결과, 넘어짐, 나감, 가스방화, 폭력이 다른 요인과 함께 발생하는 빈도가 높았다. 위험요소의 발생장소는 집주변이 가장 많았으며, 손상부위로는 무릎, 손상정도는 타박상이 가장 많았다. 교차빈도분석결과 위험요소의 발생빈도에 차이가 발생한 항목은 행동장애, 일상생활수행장애 그리고 ADL이였다. 행동장애와 일상생활수행장애의 정도에 따라 빈도의 차이를 보인 요인은 나감이었고, ADL의 정도에 따라 빈도의 차이를 보인 요인은 미끄러짐과 가스방화였다.

  • PDF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Behaviors and Feed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

  • 김금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34-641
    • /
    • 2017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능력의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본 사례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9월부터 12월이며, 개별실험연구 방법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각각 2회기, 9회기, 2회기로 총 13회기 진행하였다. 감각통합프로그램은 50분씩 9회기 진행하였고 윌버거프로토콜(Wilbarger's Protocol)을 하루 2~3회씩 실시하였다. 아동의 기초적 발달 수준을 알기 위해 영역별 관찰 평가와 사회성숙도검사를 초기에 실시하였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을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작업수행 능력정도를 일상생활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통해 각각 평가하였다. 아동의 사회행동인 탐색행동과 식사하기는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행동을 증가시키고 식사하기를 가능하게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아동의 식사하기는 중재 후 5회기부터 안정적으로 가능하였으며, 탐색행동은 중재 후 3주 후부터 변화를 보이기 시작해 7주 후 부터는 안정적인 탐색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중재하는데 감각통합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말해 준다.

Evaluation of Pain and Its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Functioning in Men with Spinal Cord Injury

  • Hassanijirdehi, Marzieh;Khak, Mohammad;Afshari-Mirak, Sohrab;Holakouie-Naieni, Kourosh;Saadat, Soheil;Taheri, Taher;Rahimi-Movaghar, Vafa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8권2호
    • /
    • pp.129-136
    • /
    • 2015
  • Background: Pa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equences of spinal cord injury (SCI). It may affect several aspects of life, especially the quality of life (QoL).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pain and its correlates and effects on patients with SCI in our community. 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58 male veterans suffering from SCI were admitted to our center for a regular follow-up. Demographic and SCI-related descriptive information were gather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atients' pain quality and the effect of pain on daily life, a questionnaire in 3 parts of lumbar, cervical and shoulder pain was administered. EuroQoL questionnaire and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 12 were also used to assess the patients' QoL.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45.91{\pm}6.69$ with mean injury time of $25.54{\pm}5.91$. forty-four patients (75.9%) reported pain, including lumbar pain (63%), cervical pain (39%) and shoulder pain (51%). The presence of pain was associated with lower QoL. Patients with lumbar pain reported a significant amount of pain affecting their daily life and this effect was higher in patients with lower GHQ score or anxiety/depressive disorder. Conclusions: Musculoskeletal pain, is a common complaint in veterans with SCI and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functioning and general health status. Lumbar and shoulder pain affects patient's daily living more than cervical pain.

거주형태에 따른 노인 우울증과 자살경향성 비교 연구 (Geriatric Depression and Suicidality According to Residence Type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ity Area)

  • 왕희령;최용성;조명제;최윤미;신희숙;제수경;최재원;홍진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5-54
    • /
    • 2010
  • 본 연구는 이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과 자살경향성, 우울증과 자살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연구이다. 전체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은 28% 정도로 파악되어 실제로 6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상당수의 노인들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자살경향성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약 20%에서 자살생각, 자살의도, 자살계획, 자해의도, 자살시도 중 한 가지 이상을 지난 한 달 동안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혼자 생활하거나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에서 동거가족이 있는 노인들보다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고, 증상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에게서 자살경향성 역시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이들 고위험군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자살예방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험요인 분석에서는 고령,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은 우울증의 위험요인으로, 독거생활,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 두통의 기왕력은 자살경향성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Living Experiences of Indian Adult Cancer Survivors - a Brief Report

  • Mohanti, Bidhu Kalyan;Kaur, Jaspre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507-512
    • /
    • 2015
  • Background: This pilot study looked into the physical,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issues of Indian adult cancer survivors. Materials and Methods: Assumed cancer free patients, after cancer directed therapy (CDT),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The mental status of the survivors was elicited by modified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This cross sectional assessment was conducted as a direct interaction with each patient for 30 to 45 minutes at a cancer hospital in 2012. Results: Thirty one adult cancer surviv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dian age was 53 years with a median follow up duration of 21.8 months (Range 2.3-194.1 months). The majority (68%) did not receive financial support for treatment. Median interval after CDT to start of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1.5 months (range: 0-24 months). Fatigue and loss of appetite were reported by 52% and 29% respectively. The cancer diagnosis and its treatment adversely impacted the financial condition in 42% of patients. Nineteen percent each showed social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nother 13% patients reported depression. Conclusions: This prospective assessment highlights survivorship issues and the need to address those issue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where resources and manpower are limited.

고령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Characters and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 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72-280
    • /
    • 2018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여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8차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고, 연구대상은 1인 가구 126명, 다인가구 326명이다. 분석은 $x^2$,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는 남성, 유배우자, 경증장애, 신체외부 장애, 비수급자, 미취업자가 많고, 생활만족도 수준은 3.27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장애인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여성, 무배우자, 중증 장애, 장애수용이 낮은 경우, 전반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하고, 차별경험이 많은 경우, 미취업, 낮은 월소득, 수급자, 주관적 소속계층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가구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수용(p<.05), 전반적 건강상태(p<.05), 사회활동 참여도(p<.05), 종교생활(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다인가구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수용(p<.001), 전반적 건강상태(p<.001), 주관적 소속계층(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