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을 중심으로

  • Kim, Eun Ha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Lee, Ji Won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김은하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 이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Received : 2008.11.27
  • Accepted : 2009.04.21
  • Published : 2009.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bility of the elderly to activity of daily living, assess their quality of sleep and level of depression at home and analyze how such relat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 subject was 223 senior over 65 years old who lived in B Metropolitan Cit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14.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34.1%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a degree of sleep disorder and 57.8% were vulnerable to depression. 2)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were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quality of sleep, activity of daily living positively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level of depression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as depression. While age, level of education and quality of sleep were also found as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erform more studie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at in various settings. Especially, to develop a program intended to improv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t home, we need to consider not only physical factors but also psychological factors.

본 연구는 복지관 이용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우울과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측면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담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피어슨상관계수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복지관 이용 노인은 87.9-97.3%가 일상생활 수행에 제한을 느끼지 않았고, 34.1%가 수면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7.8%가 우울증의심을 나타냈다. 둘째, 건강관련 삶의 질은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에서 우울이 가장 강력한 설명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호중재방안의 모색과 더불어 우울예방을 위한 교육 및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