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yumi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9초

분질고구마 대유미 전분의 이화학적 및 겔 특성 (Physicochemical and Gel Properties of Starch Purified from Mealy Sweet Potato, Daeyumi)

  • 정온빛;윤희나;노준희;김욱;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4-530
    • /
    • 2016
  • Purpose: The properties of starch and starch gel prepared from a newly inbred sweet potato, Daeyumi were compared to the properties of starch and starch gel prepared from Sinyulmi which is a well known mealy type sweet potato. Methods: The starch was isolated by using the alkaline steeping method. Physicochemical, pasting, and thermal properties, and crystallinity were measured. The texture properties of starch gel (10%, w/w) were examined. Results: The amylose contents of Daeyumi and Sinyulmi starches were 25.57% and 22.59%, respectively.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Daeyumi star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inyulmi starch (p<0.05), but other paste viscosities were not different. The peak and conclusion temperatures of Daeyumi starch were higher than those of Sinyulmi starch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shape of Daeyumi starch gel was more clear and rigid than the shape of Sinyulmi starch gel. The surface and the upper side of Daeyumi starch gel were smoother than the surface and the upper side of Sinyulmi starch gel. Hardness and gumminess were higher in Daeyumi starch gel than in Sinyulmi starch gel. The crystallinity types of Daeyumi and Sinyulmi starches were $C_b$ and A types, respectively, but starch gels showed an amorphous type. Conclu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Daeyumi starch would have bett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igher quality of starch gel than Sinyulmi starch.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Yield by Varieties of Sweetpotato(Ipomoea Batatas L.) Cultivated in Paddy Field

  • Won Park;Sang Sik Nam;Hyeong-Un Lee;Tae Hwa Kim;Sujung Kim;Mi Nam Chu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22
  • In recent, a demand for sweetpotato cultivation technology to expand the cultivated area of field crops in paddy fields is increasing.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suitable varieties and cultivation techniques for mass production of sweetpotato for processing raw materials. For the selection of varietie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rice fields for each processing purpose, 12 varieties in 2018 (8 varieties for starch, 4 as dried, chips and beverages), and 6 varieties in 2019 (4 varieties for starch including 'Daeyumi'; chips, semi-dried 'Pungwonmi'; beverage and coloring 'Shinjami') were used. Sweetpotato stems were planted in mid-May and harvested after 120 days to investigate the yield. Results revealed that the yield of sweetpotato (2019) for starch production, varied with variety as 'Gogeonmi' 3,926 > 'Jinhongmi' 3,428 > 'Daeyumi' 2,873 > 'Singeonmi' 2,752 kg/10a. The starch content was 20.2% in 'Daeyumi', 18.2 in 'Gogeonmi', 21.2 in 'Singeonmi', and 20.6% in 'Jinghongmi'. The total amount of starch was higher in 'Daeyumi' (730 kg/10a) and 'Gogeonmi' (731 kg/lOa). The yield of chips and edible varieties 'Pungwonmi' was 4,688 kg/10a. The yield of 'Shinjami' of purple variety such as beverages and powder was 3,139 kg/10a. Aaa result of evaluation sweetpotato yield by waterlogging treatments on different growing stages in paddy fields, the yields of 'Daeyumi' and 'Jinhongmi' varieties treated with waterlogging at the storage root formation stage decreased by 11.8% and 11.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case of waterlogging treatment at storage root swelling stage, Both varieties showed the lowest yield reduction at 7.0% and 4.8%,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stable production and substitution effect of processing raw materials can be expected by cultivating sweetpotato varieties suitable for paddy cultivation.

  • PDF

바이오에탄올용 고구마 신품종 '대유미' (A New Sweetpotato Cultivar for Use of Bioethanol 'Daeyumi')

  • 이준설;안영섭;정미남;김학신;정광호;방진기;송연상;심형권;한선경;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74-678
    • /
    • 2010
  • '대유미'는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에서 2008년에 육성한 바이오에탄올용 고구마 신품종으로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넝쿨색은 녹색, 잎모양은 심장형, 잎색은 녹색을 띤다. 또한 엽맥색은 녹색으로 자색을 포함하지 않으며, 끝잎색은 녹색, 잎자루색은 녹색이다. 2. 괴근 모양은 방추형으로 껍질색은 홍색을 띤다. 육색은 대조품종 '율미'가 담홍색인데 비하여 농황색이다. 상품성을 좌우하는 표피의 형태는 골파짐이 없이 메끄럽다. 3. 토양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대조품종인 '율미'에 비하여 선충 및 덩굴쪼김병은 '중강', 검은썩음병과 연부병도 '중강'을 나타낸다. 또한 저장 중 부패율은 3.0%로 저장성이 강하다. 4. 전분가는 25.9%로 높고, 에탄올 수량은 418 (L/톤, 건조고구마)으로 높다. 총당 함량은 '대유미'가 2.46 g/100 g(dw)으로 '율미'에 비하여 62% 수준이다. 당 종류별로는 Sucrose가 2.08 g/100 g (dw)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5. 전분의 최고점도(Peak viscosity)가 높아 전분의 탄력성이 좋으며, 응집점도는 노화도가 빠르다. 호화개시 온도는 $76.2^{\circ}C$로 낮은 온도에서 호화된다. 6. 수량은 조기재배의 25.0 t/ha, 만기 및 적기재배는 27.80t/ha으로 수량이 높다.

전북지역 적응 다수성 가공용 고구마 적품종 선발 (Evaluation of Sweet Potato Cultivars for High Yield and Optimum Processing in Jeonbuk Region)

  • 최규환;이나라;이승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67-372
    • /
    • 2017
  • 전북지역에서 고품질 가공용 고구마 생산을 위한 적품종 선발을 위하여, 국내 육성된 14품종을 재료로 30 cm 크기의 종순을 $75{\times}25cm$로 5월 30일 정식하여 배색비닐로 멀칭재배한 다음, 120일 및 150일 수확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정식 30일째의 줄기신장은 '다호미'와 '신황미'에서 90 cm 이상으로 왕성하였고, 정식 120일째에는 '신황미', '신율미', '대유미', '진홍미', '연황미' 등에서 250 cm 이상으로 줄기신장이 왕성하였다. 주당 분지수는 정식 30일째에는 '신자미'에서, 120일째에는 '신황미'에서 가장 많았다. 주당상저중, 평균상저중, 주당상저수 및 상저수량은 정식 120일 후 수확보다 150일 후 수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정식 120일 후 수확에서 상저수량은 '전미', '다호미', '대유미'에서 2.5톤/10a 이상으로 높았으며, 150일 후 수확에서 세 품종의 상저수량은 3.2-3.5톤/10a로 크게 증가하였다. 정식 30일째의 줄기길이 및 마디수는 주당상저중 및 상저수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품종 고유특성인 전분가는 정식 120일 후 수확보다 150일 후 수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전북지역 가공용 품종으로는 전분가가 높고 다수성으로 생육이 양호한 '전미', '대유미'와 점질품종으로 담주황색 육질을 가진 '다호미' 등이 유망하였다.

논 재배에 적합한 가공용 고구마 품종 선발을 위한 수량성 평가 (Alteration Yield Trait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Cultivars Suitable for Paddy Cultivation)

  • 박원;정미남;이형운;김태화;김수정;남상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27-33
    • /
    • 2023
  • 가공원료용 고구마 전분, 냉동 및 냉장 상태의 페이스트, 맛탕용, 가루 등 국내에서 소비되는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본 시험은 고구마를 논에 재배하여 생산할 목적으로 전분용, 칩, 말랭이 및 음료 등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1. 전분용으로 적합한 4품종의 2년 평균 수량은 고건미(4,018 kg/10a) > 대유미(3,615 kg/10a) > 진홍미(3,428 kg/10a) > 신건미(2,837 kg/10a) 순으로 나타났다. 2. 전분함량은 대유미 20.2%, 고건미 18.2%, 신건미 21.2%, 진홍미 20.6% 이었으며, 단위면적당 총 전분 수량은 대유미와 고건미가 각각 730 및 731 kg/10a로 많았다. 3. 칩, 말랭이용으로 적합한 품종인 '풍원미'와 음료, 분말 등으로 이용 가능한 자색품종인 '신자미'의 2년 평균 수량은 각각 4,443 및 3,602 kg/10a로 논 재배 적응성이 좋았다. 4. 분질고구마 신천미의 부패율은 36.7%로 저장성이 가장 낮았고 대유미, 고건미는 부패율이 0.0~0.8%로 저장성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풍원미와 신자미의 부패율은 각각 25 및 7.5% 수준이었으나 가공용으로 단기저장의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습해처리구에서 풍원미의 수량은 대조구에 비해 괴근형성기의 경우 16.5%, 괴근비대기에서는 15.4% 감소하였으며, 신자미의 경우 각각 17.2 및 10.0% 감소하였다.

품종에 따른 고구마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품질 특성 (Acrylamid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chips using different cultivars)

  • 노준희;이채은;황몽요;이주리;남상식;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08-315
    • /
    • 2018
  • 감자칩을 대신할 고구마칩용으로 적합한 품종을 선별하기 위해 고구마 육색이 크림색인 신율미와 신천미, 주황색인 주황미와 신황미, 자색인 연자미와 신자미 및 새롭게 육종한 대유미, 다호미, 건황미, 풍원미로 고구마 칩을 제조하여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구마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연자미(1.07 mg/kg)을 제외하고는 0.48 mg/kg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p<0.05). 색도는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생고구마와 거의 유사하였다. 고구마 칩의 기계적 텍스처 특성치인 경도는 주황미가 482.7 g, 신황미가 490.2 g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대유미는 1332.1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깨짐과 부서짐성에서도 주황미와 신황미가 가장 낮은 값 대유미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관능평가 결과 칩의 품질은 경도, 부서짐성과 바삭함 뿐만 아니라 맛과 향미에도 영향을 받았다. 풍원미 칩 품질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건황미와 다호미 순이었다(p<0.05). 위의 결과로부터 고구마 칩 제조에는 주황색의 풍원미, 건황미, 다호미가 적합한 품종으로 확인되었고, 자색은 신자미, 크림색은 대유미가 칩의 용도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고구마칩의 품질이나 산화안정성도 주황미와 신황미가 가장 낮아 칩과 같은 튀김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Screening of Selected Korean Sweetpotato (Ipomoea batatas) Varieties for Fusarium Storage Root Rot (Fusarium solani) Resistance

  • Lee, Seung-yong;Paul, Narayan Chandra;Park, Won;Yu, Gyeong-Dan;Park, Jin-Cheon;Chung, Mi-Nam;Nam, Sang-Sik;Han, Seon-Kyeong;Lee, Hyeong-Un;Goh, San;Lee, Im Been;Yang, Jung-Wook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07-416
    • /
    • 2019
  • A common post-harvest disease of sweetpotato tuber is root rot caused by Fusarium solani in Korea as well as the other countries. Storage root rot disease was monitored earlier on sweetpotato (Ipomoea batatas) in storehouses of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an isolate SPL16124 was choosen and collected from Sweetpotato Research Lab.,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ICS, Muan, Korea, and confirmed the identification as Fusarium solani by conidi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EF 1-α gene sequences). The isolate was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and conidiation was induced. The fungus was screened for Fusarium root rot on tuber of 14 different varieties. Among the tested variety, Yenjami, Singeonmi, Daeyumi, and Sinjami showed resistant to root rot disease. Additionally, the pathogen was tested for pathogenicity on stalks of these varieties. No symptom was observed on the stalk,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ease is tissue specific.

품종별 고구마 페이스트를 이용한 고구마형 쌀구움과자 개발 (Development of Sweet Potato Shaped Rice Madeira Cakes using Sweet Potato Paste with Different Cultivars)

  • 윤희나;정온빛;노준희;김욱;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8-86
    • /
    • 2017
  • Purpose: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Korean sweet potato (SP),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weet potato pastes (SPPs) and rice madeira cake (RMC) using them were investigated. Methods: Ten different SPPs, orange fleshed Sinwhangmi, Juwhangmi, purple fleshed Sinjami and Yeonjami, Cream fleshed Sinyulmi, Sinchunmi, and newly developed Geonwhangmi, Dahomi, Daeyumi, and Pongwonmi were used. Their pastes were prepared by washed, peeled, steamed, crushed, vacuum packed and stored in a freezer until use. Results: The SPPs and RMC with them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different cultivars with color value, rheology and texture properties, and preference test. The SPP showed the highest lightness value in Sinchunmi (55.89) and the highest viscosity in Geonhwangmi (55.33 poise). The RMCs with SPPs had lower values in hardness and chewiness than the RMC without SPP. Overall quality of preference test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RMC with Sinyulmi and Sincheonmi. Conclusion: The best quality of sweet potato shaped rice madeira cake was made using Sinyulmi and Sinchunmi pastes. It is suggested that sweet potato paste is possible to use as the biomaterials for application of processed foods.

한국 고구마 품종을 발효하여 만든 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Korean Sweet Potato Cultivars (Ipomoea batatas (L.) Lam))

  • 윤향식;강혜정;엄현주;정헌상;정미남;김인재;김영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24-630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to investigate the availability of Korean sweet potato cultivars as alcoholic beverages. The following sweet potato varieties were used: Gogunmi, Daeyumi, Shingunmi, Shinyulmi, Shincheonmi, Jinyulmi, Jinhongmi, Jeungmi and Pungwonmi; their alcohol contents ranged from 12.20% to 14.20%, with the lowest value in Makgeolli made with Jeungmi and the highest value in Makgeolli made with Jinhongmi.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 the range of 37.51~77.02%, with the lowest value in Makgeolli made with rice (control) and the highest value in Makgeolli made with Gogunmi.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oma component of sweet potato Makgeolli, 27 kinds of aroma components were detected, and six kinds of alcohols, 13 kinds of esters, four kinds of acids, and four kinds of other compounds were found. Regarding the number of aroma compounds, Makgeolli made with Shinyulmi showed the lowest number with 14 kinds, while Makgeolli made with Pungwonmi showed the highest number with 27 kinds.

재배지역에 따른 고구마(Ipomoea batatas (L.) Lam) 품종의 전분 특성 차이 (Difference of Starch Characteristic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by Cultivated Regions)

  • 한선경;송연상;이형운;안승현;양정욱;이준설;정미남;서세정;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82-692
    • /
    • 2013
  • 재배지역에 따른 고구마 전분의 특성을 구명하여 고구마의 새로운 식품산업 소재로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구마 재배기간의 평균온도는 $16.7-28.2^{\circ}C$, 강수량은 882(무안)-1,682 mm(함양)로 함양지역의 강수량이 많았으며, 일조시간은 702.4(익산)-793.5 시간(무안)으로 무안지역이 많았다. 지역별 시험구의 토성은 무안, 익산, 보령지역은 사양토, 논산지역은 사질식양토, 함양지역은 양토였으며 pH는 5.5-6.2 범위였다. 재배지역에 따른 전분 함량은 29.4-59.20%, 아밀로스 함량은 22.3-30.9%의 범위를 보였고 전분 함량은 무안지역이, 아밀로스 함량은 익산지역에서 높았다. 고구마 전분의 수분함량은 9.80-15.60%, 단백질 함량은 0.02-0.07%, 조지방 함량은 0.05-0.28%, 회분 함량은 0.10-0.30%의 범위였고 단백질 함량은 익산지역이 높았다. 호화개시온도는 무안지역이 높고 함양지역이 낮았으며 최고, 최저, 최종점도, breakdown, setback은 함양지역이 높고 무안지역이 낮았다. To, $T_p$, $T_c$는 무안, 논산지역이 높고 함양지역이 낮았으나 ${\Delta}T$${\Delta}H$는 함양지역이 높았다. 고구마의 회절각도는 $15.08^{\circ}-15.32^{\circ}$, $16.92^{\circ}-17.72^{\circ}$, $22.90^{\circ}-23.62^{\circ}$에서 강한 피크를 보여 전분의 결정화도 형태 중 C형에 속하였다. 고구마 전분의 입자 형태는 전 지역에서 대부분 둥글고 타원형모양을 하고 있었으며 일부 다각형의 입자 형태를 포함하고 있었다. 전분의 입도분포는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평균입도는 12.07-28.32 ${\mu}m$의 범위로 무안지역이 작고 익산지역이 큰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