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gu city

검색결과 1,244건 처리시간 0.044초

대구지역 도로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s and Source Assessment of Street Dust in Daegu, Korea)

  • 송희봉;이은영;도화석;정철수;신동찬;이명숙;백윤경;전성숙;신원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93-800
    • /
    • 2007
  • 2006년 4월과 5월에 대구지역의 도로먼지로 채취한 총 48개의 시료를 100 ${\mu}m$ 이하로 체거름하고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를 이용한 미량원소성분의 발생원 평가결과, Ca, Fe, K, Mg, Mn, Na, V의 성분은 토양과 먼지와 같은 자연적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는 반면에 Cd, Cr, Cu, Ni, Pb, Zn의 성분은 연료연소와 폐기물소각과 같은 인위적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분석결과는 자연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이 인위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보다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도로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은 대구지역이 외국의 다른 도시보다 대체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미량원소성분의 농도와 중금속의 오염지수는 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이 주거지역과 녹지지역보다 높았다. 그리고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인위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많았던 반면에 자연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적었다. 게다가 교통량과 인위적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간에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대형유통업소주차장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 Analysis and Source Assessment of Parking Lot Dust in Large Shopping Mall)

  • 송희봉;안정임;정연욱;윤호석;금종록;도화석;김선숙;김종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8-176
    • /
    • 2012
  • 2011년 3월에 대구광역시의 대형유통업소주차장을 대상으로 총 48개의 먼지시료를 채취하여 100 ${\mu}m$ 이하로 걸러서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미량원소성분 중 Ca, Fe, K, Mg, Mn, Na, V는 자연적 발생원의 영향을, 그리고 Cd, Cr, Cu, Ni, Pb, Zn은 인위적 발생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량원소성분의 농도는 자연적 발생원 성분이 인위적 발생원 성분보다 뚜렷하게 높았고, 인위적 발생원 성분은 지상옥상이 지상실내와 지하실내보다 농도가 높았다. 미량원소성분의 조성백분율은 인위적 발생원 성분에 비해 자연적 발생원 성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위적 발생원 성분은 지상옥상이 지상실내와 지하실내보다 함유율이 높았다. 주차장은 유해중금속오염이 거의 없는 수준을 보였고, 지상옥상은 지상실내와 지하실내보다 중금속오염도가 높았다.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은 지상옥상이 지상실내와 지하실내보다 양호한 상관성이 많았고, 인위적 발생원 성분은 주차장연수와 주차밀도와도 상관성이 양호하였다.

지방분권화 시대 대구광역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방안 (Dissemination Plan for the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 최용호;조성덕
    • 환경정책연구
    • /
    • 제3권1호
    • /
    • pp.71-9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wa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 the local community. Fundamentally, the renewable energy is abl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iminish a use of fossil-fuel energy in the local area. And it will lead to promoting regional sustainable energy in the future, as well as making contributions to local economic development. Above all,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ject, including greening of the city and improving water quality, Daegu metropolitan city has launched a series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such as solar city programs and local energy plan. But, some problems still exist, due to the technological, economic and socio-political barriers. Thus, to encourage and disseminate a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we need to examine a present condition on renewable energy and analyze constraint elements to prevent its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to set the feasible strategy to develop and disseminate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and help it systematically integrat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to environmental economics and city planning. Ultimately, to achieve this purpose, we need to adopt the following policy measures: (1)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for renewable energy; (2) interconnection between local development project and energy industry; (3) promo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4) inducement of and assistance to renewable energy industry; (5) fostering venture companies; (6) specializing Daegu's public office by energy-specific education programs. In particular, local entities including local company, consumers, policy-makers and citizen's groups have to pay attention to local energy plan for the regional sustainable energy future. These measures will lead to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city.

  • PDF

대구의 문화생태환경 복원과 활용 (The Restor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s of Daegu City)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9-19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지로 선정된 대구시의 도시 이미지 제고에 필요한 대구의 문화생태환경 복원과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잘못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자연경관은 신천과 입암으로 이에 대한 수정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 외에도 지명의 오기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고문헌에 전해지는 대구의 두 바위 중 하나인 입암은 이미 사라진 상태이지만, 화암은 최근에 그것의 실체가 밝혀진 만큼 이에 대한 충분한 보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라질 위기에 처한 주요 자연경관의 보존을 위해 이들을 대구 문화생태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지형경관 중에서도 문화 또는 역사와 관련된 지형경관을 특별히 '문화지형(Cultural landform)'으로 부를 것을 제안한다.

  • PDF

The Forecasting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Number of a High-school Graduate and the Number Limit of Matriculation until 2022 year in Daegu City

  • Kim, Jong-Tae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9-202
    • /
    • 2005
  • Recently,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a high-school graduate influences the number of limit matriculation. Based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we forecast for the number of a high-school graduate until 2022 year in Daegu city. Most college and universities in Daegu city have to reduce the 37.5% of the number of limit matriculation until 2022 year to avert a disaster by prompt action.

  • PDF

The Forecasting about the Numbers of the Third Graders in a High-school until 2022 Year in Daegu City

  • Kim,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933-942
    • /
    • 2005
  • Recently,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the third graders in a high-school have serious influences on the number of a limit matricul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recast for the number of a high-school graduate until 2022 year in Daegu city as based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As the based period of 2004, most college and universities in Daegu city have to reduce the 37.5% of the number of limit matriculation until 2022 year to equal the number of the third graders in a high-school.

  • PDF

정수처리공정에서의 입자분석 적용방안 (Application of Particle Counter in Water Treatment Process)

  • 신상희;전현숙;이찬형;배기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7-342
    • /
    • 2013
  • The particle counter compared with the turbidimeter provides good precision and sensitivity and can ge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s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pplication of particle counter in sand and activated carbon filters. The particle count by size could be more easily sense when the water quality is changed by the influent of high turbidity or algae. We could decide the optimal backwashing cycles and detect the efficiencies of filters by monitoring the total particle count of effluent in sand and activated carbon filters.

대구광역시 건축물 적용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경제성 및 환경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in Daegu)

  • 소재억;김주영;홍원화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32-1237
    • /
    • 2006
  • In Daegu, spread works of photovoltaic have were carrying out from a part of the solar city Daegu but, actual results have were insignificant. According to this study, it analyzed actual conditions of fou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proper to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n Daegu C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of inactive spread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After analyzing of actual state and performance, this study will present not only economic evaluation that Is problem of spread but also, environment evaluation by estimating to have an effect on greenhouse gas reduction.

  • PDF

화장품 유형별 유해 중금속 함량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by Cosmetic Type)

  • 이진희;김지연;박상규;이재호;윤종호;김경태;김혜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4-163
    • /
    • 2019
  • Objectives: The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of cosmetic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ing values were compared by type of cosmetics: skin care preparations (SCP), hair preparations (HP), makeup preparations (MP), and eye makeup preparations (EMP). Methods: The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Pb, As, Cd, Sb, Ni and Hg) were analyzed for 358 cosmetics products (187 SCP, 82 HP, 56 MP, and 33 EMP). Hg was measured by the amalgamation method, and other hazardous heavy metals were measur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 after decomposition using the microwave method. Results: The mean contents of Pb, As, Cd, Sb, Ni, and Hg in cosmetics were 0.424, 0.068, 0.024, 0.398, $0.567{\mu}/g$, and Not Detected, respectively. All of the hazardou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most products, but below the recommended maximum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level of Cd was the lowest at 14.8%, and Sb was the highest at 41.2%. Pb, Sb and Ni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and detection rate in EMP. As, Cd, and Hg showed the highest in SCP, HP, and MP, respectively. Conclusion: Hazardou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most products. In particular, Pb, Sb, and Ni were broadly detected in EMP, meaning more stringent quality control is required.

대구광역시 도시이미지에 대한 지역 내외 주민 의식의 경시적 변화 비교 - 대표 이미지와 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Changes Over Time between In and Outside the Regional Resident's Cognition for Image of Daegu City - Focused on Representative Image and Environmental Image -)

  • 엄붕훈;김금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2-21
    • /
    • 2013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대표 이미지와 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의 인지 변화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구시민과 타 지역 주민 집단 및 지난 10여 년간의 경시적 변화를 비교 고찰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대구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더위, 팔공산, 섬유 등이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소는 팔공산, 동성로, 이월드 등이었다. 10여 년 전과 비교했을 때, 대구의 대표 연상이미지로 사과와 섬유의 빈도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으며, 연상인물로는 과거에는 주로 정치인들이 많았지만, 요즘은 스포츠선수 연예인 등의 빈도가 높아져 세태 변화를 보여주었다. 둘째, 환경조건에 대한 이미지 평가 점수는 인간환경 부문에 대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개별 변수로는 "대구로 접근하기 위한 교통조건", "여성의 이미지", "쇼핑 등 생활환경" 등이 높게 평가되었다. 지역 내외 집단 간에는 대구시민들의 평가보다는 타 지역 주민들의 평가가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며, 2000년도 자료와 비교할 때 금회(2011년도) 평가치들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구시의 환경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 변수들로는 인간환경 요인 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자연/기반환경 요인", "생활환경 요인" 및 "교통환경 요인" 등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요인들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구시의 도시이미지의 변화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형성 계획의 정책적 제안 및 도시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