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cheong lak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대청호 유역의 수질평가를 위한 종합수질지수의 적용 (Application of Korean Water Quality Index for the Assessment of River Water Quality in the Basin of Daecheong Lake)

  • 정세웅;박재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0-476
    • /
    • 2005
  • The Korean Water Quality Index (K-WQI) was applied to the rivers located in the watershed of Daecheong Lake to assess the status of river water quality, and propose potential target constituents for bette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watershed. The estimated K-WQI value for each river was varied from 70 to 90, and Youngdongcheon showed the worst score while Mujunamdeachen showed the best score. The total nitrogen (TN) and total coliform bacteria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constituents that degrade the K-WQI values in the riv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 were determined between K-WQI and the delivered specific load ($kg/km^2/yr$) of BOD, TN, and TP to justify potential target constituent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K-WQI values. The results showed that TN (r=-0.86) and TP (r=-0.85) have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s with K-WQI, but BOD have almost no effect. This implies that BOD, the surrogate parameter for organic pollutants, is no more a feasible water quality variable f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study site.

대청호 Chl-a 예측을 위한 random forest와 gradient boosting 알고리즘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ying random forest and gradient boosting algorithm for Chl-a prediction of Daecheong lake)

  • 이상민;김일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07-516
    • /
    • 2021
  • In this study, the machine learning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prediction algorithms recently was used. the research point was the CD(chudong) point which was a representative point of Daecheong Lake. Chlorophyll-a(Chl-a) concentration was used as a target variable for algae prediction. to predict the Chl-a concentration, a data set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factors was consisted. we performed algorithms about random forest and gradient boosting with Python. to perform the algorithms, at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l-a and water quality and quantity data was studied. we extracted ten factors of high importance for water quality and quantity data. as a result of the algorithm performance index, the gradient boosting showed that RMSE was 2.72 mg/m3 and MSE was 7.40 mg/m3 and R2 was 0.66. as a result of the residu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of gradient boosting was excellent. as a result of the algorithm execution, the gradient boosting algorithm was excellent. the gradient boosting algorithm was also excellent with 2.44 mg/m3 of RMSE in the machine learning hyperparameter adjustment result.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Streamflow of Daecheong Lake Area in South Korea

  • Kim, Yoonji;Yu, Jieun;Jeon, Seongwo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9-169
    • /
    • 2020
  • According to the IPCC analysis, severe climate changes are projected to occur in Korea as the temperature is expected to rise by 3.2 ℃, the precipitation by 15.6% and the sea level by 27cm by 2050. It is predicted that the occurrence of abnormal climate phenomena - especially those such as increase of concentrated precipitation and extreme heat in the summer season and severe drought in the winter season - that have happened in Korea in the past 30 years (1981-2010) will continuously be intensified and accelerated. As a result, the impact on and vulnerability of the water management sector is expected to be exacerbated. This research aims to predict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streamflow of Daecheong Lake area of Geum River in South Korea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which show extreme meteorological events, and ultimately develop an integrated policy model in response. We projected and compared the streamflow changes of Daecheong Lake area of Geum River in South Korea in the near future period (2020-2040) and the far future period (2041-2060) with the reference period (1991-2010) using the HEC-HMS model. The data from a global climate model HadGEM2-AO, which is the fully-coupled atmosphere-ocean version of the Hadley Centre Global Environment Model 2, and RCP scenarios (RCP4.5 and RCP8.5) were used as inputs for the HEC-HMS model to identify the river basins where cases of extreme flooding or drought are likely to occur in the near and far future. The projections were made for the summer season (July-September) and the winter season(November-January) in order to reflect the summer monsoon and the dry winter. The results are anticipated to be used by policy makers for preparation of adaptation plans to secure water resources in the nation.

  • PDF

영천호와 대청호에서 담수어류의 microcystin 농축에 따른 인체 건강위해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otential Human Health Risk Associated with the Microcystin Bioaccumulation in the Freshwater Fish from Lake Yeongcheon and Lake Daecheong)

  • 이경락;정원화;강영훈;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31-339
    • /
    • 2009
  • 영천호와 대청호 어류들의 각 조직들(근육, 간, 내장, 아가미)에 농축된 microcystin-LR의 농도 및 TDI(total daily intake)값에 기초하여 인체의 건강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영천호의 분석결과에서 조식성(藻飾性)인 떡붕어(Carassius cuvieri)는 다른 종들과 비교하여 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조직에서 높은 microcystin-LR의 농축양상을 보였다. 대청호에서 잡식성(雜食性)인 누치와 조식성인 떡붕어의 각 조직에서 높은 microcystin-LR 농도가 관찰된 가운데 내장에서는 누치와 떡붕어가 매우 높은 microcystin-LR 농도를 보였으며, 떡붕어는 다른 종들과 비교하여 내장이외에도 간과 아가미에서 높은 microcystin-LR농도를 나타내었다. 인체의 건강위해성 평가를 위해 각 조직에서 도출된 microcystin-LR의 EDI(estimated daily intake) 값들을 TDI 값과 비교하였다. 결과에서, 두 조사지역에서 모두 떡붕어(Carassius cuvieri)는 근육을 제외한 대부분의 조직들에서 EDI값들이 TDI 값을 초과하는 양상을 보였다.

부영양화 평가 방법에 따른 계절별 대청호의 수질분석 (Seasonal Water Quality Analysis in Daecheong Lake by Eutrophication Assessment Methods)

  • 김응석;심규범;양상용;윤조희;갈병석;손인욱;최현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82-889
    • /
    • 2012
  •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trophic state in Daecheong Lake by Carlson (1977) method, Aizaki (1981) method, Yang and dickman (1993) method, and Korean trophic state index method. For estimating the trophic state index from each analysis method we use water quality factors such as COD, TN, TP, Chl-a, and SD provided by the water information system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easonal lake trophic state results denote the mesotrophic state lake from Carlson (1977) method, Aizaki (1981) method, and Korean trophic state index method and the high relation between Carlson (1977) method and Aizaki (1981) method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greater than 0.9 for all the seasons. Although Korean trophic index method has relatively weak relation to other methods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anging from 0.419 to 0.701, we propose that Korean trophic index method is suitable for use in domestic lakes since Korean trophic index results show the similar periodicity and tendency with other method results. Hence, Korean trophic index method incorporating domestic lake characteristics is expected to can contribute to seasonal wate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in lakes.

대청호내 흐름 및 유입 부유사 확산 모델링 (Modeling of Water Circulation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Lake Daecheong)

  • 정태성;황정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7-82
    • /
    • 2003
  • 해양, 하천, 호수 등에서 퇴적물 수송과정을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모형을 수립하였으며, 홍수시 대청호로 유입되는 입자성 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유퇴적물 이동-확산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또한, 복잡한 지형을 가진 대청호의 흐름특성을 파악하고, 퇴적물 수송모형의 입력자조로 이용하기 위하여 2차원 흐름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홍수시 모의된 수위변화는 관측결과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평상시는 유속이 5 cm/sec이하였으나, 최대유량이 3,852 CMS에 달하는 홍수시 대청호 유입수로에서 최강유속은 최대 약120 cm/sec까지 증가하였다 대청호로 유입되는 세립질 부유사는 홍수시는 대청댐까지 강한 유속에 의해 도달하나 유속이 약한 평상시에는 대청댐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대부분 유입수로에 침전하였다 모의결과는 대청호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청호 유역의 수질 변동특성 및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hips of Water Quality in Daecheong Lake Basin)

  • 김재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763-770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riter qulity, correlation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at each site and among the items of water Quality data. Water quality for analysis was monthly values of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 biochemical oxygen demand, chemical oxygen demand, suspended solid, 7-N and T-P checked in Daecheong Lake from January to December, 1995. It was analyzed variation of monthly water qulity was well from February to April, water temperature and COD seemed to have high correlationships at all sites. Regression equation is COD = 0.07 Water temperature +1.23 ($R^2$: 0.7616) .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showed that DO had high correlationships between site 1 and site 2, BOD did site 1 and 3, COD did site 1 and 2, 55 did site 5 and 6, 7-N did 2 and 3, 7-P did site 4 and 6. Regression equations for estimate of water quality data are as follows. $DO_1$=4.46+0.59 DO, ($R^2$=0.8868), $BOD_1$ = 0, 52+0.63 BOD3 ($R^2$ = 0.6390) $COD_2$ = 0.44+0.71 $COD_1$ ($R^2$ = 0.9183), SS6 = 0.89+0.7055.($R^2$ = 0.9155) $TN_3$ = 0.151 +0.886 $TN_2$ ($R^2$ = 0.9415), $TP_4$ = 0.004+5.758 $TP_6$ ($R^2$ = 0.9669)

  • PDF

대청호 남조류 대발생기의 동물플랑크톤상(相) 및 Microcystis aeruginosa와 물벼룩류 개체군 변동의 상관관계 (Zooplankton Fauna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Cladoceran Populations and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ceae) during the Cyanobacterial Blooming Season at Daecheong Lake, South Korea)

  • 이지민;이정준;박종근;이정호;윤성명;장천영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146-159
    • /
    • 2005
  • 매년 여름철마다 남조류의 대발생이 반복되고 있는 대청호에서, 수화기간 동안 가장 우점적으로 나타난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의 밀도변화와 동물플랑크톤 중 환경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진 물벼룩류 개체군들의 변동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001년 6월 부터 10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회남, 내탑 ,본댐 앞 등 대청댐의 3개 지점을 조사정점으로 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윤충류 21종, 물벼룩 15종, 요각류 14종을 비롯하여 총 54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대부분의 동물플랑크톤 종들은 빈영양성 ${\sim}$ ${\beta}$-중부수성의 수질지표를 보이는 종들이었다.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물량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고, 남조류 수화가 심한 조사정점에서 오히려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다.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물벼룩류 출현종들의 천이 양상은 매우 뚜렷하였다. 물벼룩류 출현종들의 개체군 변동은 수온 등의 이화학적 요인의 변동보다는, 남조류 개체군의 밀도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조류의 대발생이 시작되면 Daphnia galeata와 같은 대형 물벼룩류의 개체군 크기가 급감하고 대신 Bosmina longirostris와 같은 소형 물벼룩류의 개체군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후 남조류 밀도가 감소하면서 Diaphanosoma dubium 개체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조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민감하게 개체군 생장의 영향을 받는 종은 D. galeata 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종은 남조류에 의해 직접적인 저해를 받는 것으로 추정되며, D. galeata 개체군의 크기 변화는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동물플랑크톤 군집 전반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대청호의 남조세균 수화 발달 특성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of Cyanobacterial Bloom in Lake Daecheong)

  • 박종근
    • 환경생물
    • /
    • 제23권3호
    • /
    • pp.304-314
    • /
    • 2005
  • 대청호 남조세균 수화 기작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1997년부터 2002년까지 (2000년 제외)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남조세균 군집 특성을 해석하고 수화 발달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여 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남조세균 수화의 시작은 6월 하순부터 시작하며, 강과 호소의 중간 성향을 가진 정점 1부터 발생하였다. 대청호의 수화 발생 기간은 댐축 앞 지점인 정점 4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약 $60\~70$일이었으나, 1999년의 경우는 7월 19일부터 11일로 이례적인 현상이었다. Microcystis aeruginosa은 6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998년과 2002년은 8월 말에서 9월 초, 1999년과 2001년은 7월 말에 절정을 이루었다. M. aeruginosa의 현존량이 처음 증가하는 시기는 1998년은 6월 22일, 1999년은 6월 28일,2001년은 7월 4일 그리고 2002년은 6월 25일로 모두 표층 수온이 $25^{\circ}C$를 넘는 시기였다. M. aeruginosa의 구성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대해서는 $68.1\%,$ 남조세균에 대해서는 $74.2\%$, Microcystis속에 대해서는 $88.8\%$이었다. M. aeruginosa의 연도별 남조세균 대비 구성비는 1998년 $30.3\%,$ 1999년 $34.\6%,$ 2001년 $94.4\%,$ 2002년 $42.9\%$이었다. 1998년 Anabaenu spp.는 4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정점에 따라 $1.0{\times}10^4\;cells\;mL^{-1}$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Anabaena속은 준비기에 남조세균 수화 추이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다. 소멸기에서는 Anabaena spp., Oscillatorin spp., Aphanizomenon flos-aquae가 M. aeruginosa의 소멸을 대신하여 현존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조세균 수화에 미치는 강우의 영향은 시기별로 달라, 준비기의 강우는 남조세균 성장을 돕고, 소멸기의 강우는 남조세균의 소멸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수화기에는 강우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수화 발달을 저해하였으나, 적을 경우에는 그 영향력이 낮았다.

예보모델과 GIS를 기반한 대청호의 남조류 발생에 대한 조기예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arly Forecasting System using GIS and Prediction Model related to the Cyanobacterial Blooming in the Daecheong Reservoir of Korea)

  • 김만규;박종철;김광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102
    • /
    • 2007
  • 대청호와 같이 규모가 큰 인공호수에서의 유해조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물 화학적 연구와 더불어 GIS, RS 기술을 활용하는 지역분석 전산시스템의 개발도 필요하다. 이 논문의 목표는 대청호에서의 유해조류 생산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남조류의 발생에 대한 예보모델을 개발하고 GIS를 기반으로 한 남조류 발생 조기예보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청호에서의 남조류 발생과 환경인자와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남조류 예보모델 개발을 위해 사용할 환경인자로서 강수와 기온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환경인자와 남조류 발생과의 정성적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청호의 남조류발생을 수역별로 예측할 수 있는 Rump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이 예보모델은 남조류의 최초발생시기와 급성장시기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개발된 예보모델은 GIS를 기반으로 한 남조류 대발생 조기예보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대청호에서의 남조류 대발생을 예측하고 관련 자료들을 관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이 개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