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SM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24초

DSM 프로그램의 비용효과 분석 II (A Benefit-Cost Analysis on the DSM Programs Part II)

  • 박종배;김진호;황성욱;김발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A
    • /
    • pp.190-192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B/C analysis amenable to evaluate the impact of DSM programs especially on the strategic conservation programs and the load management programs. The proposed approach embedding the existing B/C analyses is applicable to the new electricity market. Case studies show the B/C ratio and the avoided cost due to the impact of DSM programs.

  • PDF

DSM 을 사용한 VOD 스트리밍 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VOD Streaming System Using DSM S/W)

  • 황정현;장승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33-936
    • /
    • 2005
  •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되어 VOD 서버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 다윈 스트리밍 서버와 DSM(Distributed Shared Memory)을 구축하고,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DSM 기반에서 다윈 스트리밍 서버가 실행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항공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해상도별 수치표면모형 제작 및 지상기준점 획득 가능성 분석 (Digital Surface Model Generation using Aerial Lidar Data and Ground Control Point Acquisition)

  • 김감래;황원순;이호남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5-490
    • /
    • 2006
  • In this study, the Digital Surface Models of various spatial resolutions were constructed using LIDAR point data on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Then, the accuracies of each DSM's were evaluated using GPS surveying data. And also, observable features were classified and their accuracies were evaluated to verify the availability for Ground Control Point. On Socet Set, Digial Photogrametric System 5 DSM's of which spatial resolutions were 0.15m, 0.5m, 1.0m, 2.5m and 5.0m were constructed and the accuracies of eahc DSM's evaluated in RMSE. The RMSE's of each DSM's were 0.03m, 0.05m, 0.08m, 0.12m and 0,19m. The building feature was observable in DSM's of which spatial resolutions were 0.15m, 0.30m and 0.50m. On the contrary, it could hardly be observed in those of other spatial resolutions. In comparison with the digital map at the scale of 1:1,000, the DSM at the spatial resolution of 0.lim was shifted horizaltally by 0.6m-0.7m of RMSE in each X, Y direction. Therefore, GCP of which horizontal RMSE is better than 1m can be obtained from the DSM at the spatial resolution of 0.15m, of which vertical RMSE is 0.03m-0.19m as the RMSE of DSM. This point cannot be used in aerial triangulation of cartography but can be used for GCP in modeling of satellite image at the moderate resolution.

  • PDF

시민건강증진실을 이용하는 노인 당뇨환자의 자가관리 이행 및 삶의 질 예측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Using Citizen Health Promotion Centers)

  • 이송흔;김현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14-52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Diabetes self-management (DSM)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QoL)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who use Citizen Health Promotion Centers. The theory used this study was a combination of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Model (IMB)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to reflect autonomou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 to August 31, 2015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ample was 205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regularly visited a Citizen Health Promotion Center.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hypothesized model and calcul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actor affecting the participants' DSM behavior and QoL. Results: The supported hypotheses were as follows; 1) The variable that had a direct effect on QoL was health behavior adherence (${\gamma}=.55$, p=.007). 2) The variables that had a direct effect on DSM behavior were DSM information (${\gamma}=.15$, p=.023), DSM confidence (${\gamma}=.25$, p<.001), and autonomous motivation (${\gamma}=.13$, p=.048). 3) The variable that had a direct effect on DSM confidence was autonomy support (${\gamma}=.33$, p<.001).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supporting patient's autonomous motivation is an influential predictor for adherence to DSM behavior, and integrative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include knowledge, experience and psychosocial support are essential for older adults with diabetes to continue DSM behavior and improve QoL.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으로부터 rpoH 유전자의 클로닝과 염기서열 분석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rpoH Gene from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

  • 엄치용;송승은;박미화;김영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7-183
    • /
    • 2007
  • 열충격 시그마인자를 코딩하는 유전자 rpoH가 결여된 돌연변이체 대장균(Escherichia coli satrain A7448)을, 메탄올 자화세균인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phagemid library로 형질전환 시켜서 $30^{\circ}C$에서 성장하는 Escherichia coli strain A7448 로부터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793-bp 염기서열 분석 결과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는 28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예상된 분자량은 32,006, p1값은 5.79로 나타났으며, 동일계열의 ${\beta}$-proteobacteria에 속하는 세균들의 RpoH와 높은 상동성을 보여주었다.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는 대장균의 RpoH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열충격 후 RpoH양은 15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분 뒤 양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 단백질 역시 열에 의해 유도됨을 말해 준다.

DSM을 활용한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T/C Lifting Plan using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

  • 김승호;김상용;전지훈;안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59
    • /
    • 2016
  • 건설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장비 중 하나는 타워크레인 이다. 특히, 대부분의 고층건물 공사에서는 자재들의 이동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타워크레인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은 공사기간과 비용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건설현장 대부분의 양중계획은 여전히 합리적인 작업의 분석없이 현장 관리자들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행해지고 있다.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는 CPM과 Pert 같은 기존의 툴과는 다르게 작업 활동 순서 계획과 정보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툴이다. 본 연구는 타워크레인의 양중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제 건설 현장의 Case study를 통해 타워크레인 양중관리의 새로운 틀을 DSM을 이용하여 제시 할 것이다. DSM을 이용한 T/C의 양중계획의 Case study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기준층 양중 계획에 있어서 T/C의 양중계획을 최적화 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결론을 보여주었다.

한국판 DSM-5 섭식장애진단척도(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K-EDDS DSM-5) :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K-EDDS DSM-5) :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 방은별;한초롱;전예림;김율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7-134
    • /
    • 2018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K-EDDS DSM-5). Methods : A total of 72 patients diagnosed with eating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iagnosis was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KEDE) interview.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K-EDDS and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 version 6.0 (EDE-Q 6.0) for this study.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K-EDDS were examin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of agreement between the K-EDDS and the KEDE,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itially extracted 6-factor structures which were reconstructed into 4 factors of body dissatisfaction, binge behavior, binge frequency, and compensatory behavior based on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EDDS was fairly acceptable (Cronbach's alpha=0.72). The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the K-EDDS and the KEDE was high (98.61%). The 4 factors of the K-EDD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4 subscales of the EDE-Q 6.0. Conclusion : Our data suggests that the K-EDDS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the diagnosis of eating disorders based on the DSM-5.

무인항공사진측량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생성 및 비교 (Generation and Comparison of 3-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mmetry Software)

  • 양승룡;이학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27-439
    • /
    • 2019
  • 연구목적: 다양한 목적으로 생성되는 무인비행체 기반의 공간정보를 서로 다른 SW로 생성하고, 정사영상 및 DSM의 위치정확도 분석과 3D mesh의 텍스처 매핑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로 다른 두 개의 SW를 이용하여 동일한 무인항공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공간정보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공간정보 중 정사영상과 DSM은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 오차의 RMSE를 계산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 정성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무인항공사진측량 SW의 공간정보 생성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SW로 생성된 정사영상 및 DSM의 위치정확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3D mesh의 텍스쳐 매핑에서 차이를 보였다. 3D mesh의 생성에는 무인항공사진측량 SW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무인비행체 기반의 공간분석을 위한 정사영상, DSM의 생성에는 SW에 따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D 가시화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SW에 따라 텍스처 매핑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심지역 실감정사영상 제작을 위한 정밀 DSM 생성 방안 (The Study of the Plan regarding DSM Generation for Production of True-Orthophoto in Urban Areas)

  • 이현직;김홍섭;유강민;강인구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3-106
    • /
    • 2007
  • Recently,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ortho image using high resolution image are increasing by acquired high quality data from development of photogrammetry and IT technology. Generally, An ortho image has some problems that cannot remove completely to relief displacement about cultural feature like building and overpass because of performance rectification using DEM. Therefore, in this study, I generated DSM each of four experiment cases for production of true ortho image which is removed relief displacement of building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technique and LiDAR data, presented the plan of DSM production that is appropriate to production true ortho image by analyzing an accuracy after manufacture an ortho image each of DSM.

  • PDF

정사영상 제작을 위한 정밀 DSM 생성 방안 (The Study of the Plan regarding DSM Generation for Production of Orthophoto)

  • 이현직;유지호;유강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9-374
    • /
    • 2007
  • 최근 사진측량기술과 IT의 발달로 인해 고품질의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면서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의 제작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정사영상은 DEM을 이용하여 편위수정이 수행하기 때문에 건물, 교량과 같은 비고를 가지고 있는 인공지형지물에 대한 기복변위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기복변위를 제거한 실감정사영상을 제작하기 위하여 수치사진 측량기법과 LiDAR데이터를 이용한 네가지 실험 CASE별로 DSM을 생성하였고, 각 DSM별 정사영상을 제작하여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여, 실감정사영상제작에 적합한 DSM 제작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