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8초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Date Palm Collected in Algeria using Electrochemical and Spectrophotometrical Techniques

  • Bensaci, Cheyma;Ghiaba, Zineb;Dakmouche, Messaouda;Belfar, Assia;Belguidoum, Mahdi;Bentebba, Fatima Zohra;Saidi, Mokhtar;Hadjadj, Mohamed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153-158
    • /
    • 2021
  • In this study, we will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 (ME) of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fruits (DPF) of four native cultivars from Algeria: Ghars (Gh), Chtaya (Cht), DeglaBeïda (DB) and Tinissine (Tns). The TPC of ME of DPF was measured by using Folin-Ciocalteu. Thereafter, the antioxidant capacity of various extracts was determined using DPPH test, reducing power and superoxide anion test. These results showed that dates had strongly scavenging activity on DPPH. The value of IC50 for DPPH radical test was 0.077 mg/ml in Cht. Also, Cht cultivar showed the best-reducing power,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varieties. The less IC50 value in cyclic voltammetry method (CV), which meets the highest effective antioxidant, was 0.006 mg/ml in methanolic extract of Cht.

동규자(冬葵子)와 경마자의 항산화(抗酸化) 효능(效能) 연구(硏究) (Effects of Malvae Semen and Abutili Semen on Anti-oxidation Activities)

  • 최정운;성락술;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9-170
    • /
    • 2006
  • Objectives : Anti-oxidation activities of Malvae Semen and Abutili Semen were compared and evaluated. Methods : We tested the anti-oxidant effect through in vitro experiment and in vivo experiment that induced oxidative stress using ethanol. Results : 1. I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alvae Semen and Abutili Semen they had high effects in case of the scavenging activitie of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inhibitory effect of linoleic acid oxidation. 2. Malvae Semen had large quantities of phenolic compound than Abutili Semen, bu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alvae Semen was weaker than that of Abutili Semen. 3.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butili Semen was more strong than that of Malvae Semen in the rat stressed by ethanol. Conclusion : Anti-oxidation activities of Abutili Semen were stronger than those of Malvae Semen. Therefore, the complementary usage of Malvae Semen and Abutili Semen can be considered.

  • PDF

The Butanol Fraction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Scavenges Free Radicals and Attenuates Oxidative Stress

  • Kim, Hyun Young;Sin, Seung Mi;Lee, Sanghyun;Cho, Kye Man;Cho, Eun 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8-22
    • /
    • 2013
  • To investigat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protective activities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against oxidative stress, in vitro and a cellular system using LLC-$PK_1$ renal epithelial cell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butanol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scavenged 63.4% and 87.1%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 at concentrations of 250 and $500{\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effectively scavenged hydroxyl radicals (${\cdot}OH$).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BuOH fraction was more potent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Furthermore, under the LLC-$PK_1$ cellular model, the cells showed a decline in viability and an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through oxidative stress induced by pyrogallol, a generator of superoxide anion ($O_2{^-}$). However, the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cytotoxicity. In addition, 3-morpholinosydnonimine (SIN-1), a generator of peroxynitrite ($ONOO^-$) formed by simultaneous releases of nitric oxide and $O_2{^-}$, caused cytotoxicity in the LLC-$PK_1$ cells while the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ameliorated oxidative damage induced by $ONO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has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free radicals.

Bioactive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ronia (Aronia melanocarpa ) Leaves Collec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 Thi, Nhuan Do;Hwang, Eun-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204-212
    • /
    • 2014
  • The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leaves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were identified and evaluated. Young and old leaves were approximately 2 months of age and 4 months of age, respectively. The young leaves contained more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an the old leaves. Three phenolic compounds (i.e., chlorogenic acid, p-coumaric acid, and rutin) were detected by HPLC.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reducing power of aronia leaf extract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0{\sim}100{\mu}g/mL$).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80% ethanol extract was greater than that of distilled water extract. The high phenolic compound content indicated that these compounds contribute to antioxidant activity.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aronia leaves contain bioactive compounds, and that younger aronia leaves may be more favorable for extracting antioxidative ingredients because they contain more polyphenols.

국내산과 이란산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63-1072
    • /
    • 2011
  • 이란산과 국내산 석류를 착즙하여 과즙과 부산물로 버려지는 외피, 내피, 씨의 4부분으로 나누어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 중 총 페놀 함량은 국내산 석류 외피가 210 mg/g${\pm}$8.08로 가장 높았고,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이란산 석류 내피와 이란산 석류 외피가 가장 높았다. Phytoestrogen 함량은 이란산에 비해 국내산 석류 내피에서 96.04 ${\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어 전반적으로 이란산 석류보다 국내산 석류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부위별 석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환원력은 국내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소거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외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국내산 석류 외피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석류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양이 높을수록 항산화성이 높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기능성 성분은 국내산 석류에서 함량이 높았고 항산화활성은 각 항산화 측정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국내산 석류의 항산화능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부위별로 비교해 본 결과 석류는 과즙보다 껍질과 씨 부분 특히 내피에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많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과즙 착즙 시 버려지는 부산물인 석류의 외피와 내피는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식품의 산화방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Stem and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승은;이성우;방진기;유영주;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7-242
    • /
    • 2004
  • 인삼 식물체의 식품 첨가물로의 이용성을 타진하기 위해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함량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간 LDL의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은 뿌리 $(45.2{\sim}54.3%)$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자동산화에 대해서는 잎이 $90.1{\sim}96.5%$의 매우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라디칼에 대해서 줄기 $(35.6{\sim}76.1%)$, 잎 $(60.1{\sim}69.3%)$, 뿌리 $(-5.6{\sim}20.1%)$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체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 화합물은 인삼 잎 $(147{\sim}200\;mg%)$, 줄기 $(110{\sim}153\;mg%) $, 뿌리 $(61{\sim}86\;m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araquat 유도 간독성에 대한 Hydroxycinnamic acid계 화합물의 독성 경감 효과 (II) (Scavenging Effects of Hydroxycinnamic acids on Paraquat Induced Hepatotoxicity (II))

  • 최병기;오은정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3호
    • /
    • pp.87-93
    • /
    • 1999
  • Antioxidative and scaveng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wo hyaroxycinnamic acids (caffeetannins). such as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on oxidative stress and hepatotoxicity that induced by paraquat.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o assess radical scavenging ability, reduction concentration (IC$\sub$50/) of 1.1 diphenyl-2-dipicrylhydrazine (DPPH) were measured. IC$\sub$50/ values of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were 29.7 ${\pm}$0.6 ${\mu}$M and 26.0${\pm}$0.5 ${\mu}$M respectively.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2. In H$_2$O$_2$-induced hemolysis assay to rat bloo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led to different effects, whose hemolysis inhibition ratios at 100 ${\mu}$M were 45.2${\pm}$7.1% and 11.6${\pm}$3.1% respectively 3. In hypo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producing superoxide anion,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showed different inhibitory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showing 36.8${\pm}$4.3% and 5.4${\pm}$2.3% respectively. 4. To microsomal NADPH dependent cytochrome p-450 reductase in rat liver, paraquat consumed NADPH at a dose-dependent manner from 0 to 1 ${\mu}$M paraquat concentration.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blocked NADPH consumption rates at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hibition ratios at 100 ${\mu}$M were 67.6% and 59.2% respectively. 5. Administration (30mg/kg, iv) of paraquat to rats caused the marked elevation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lactate dehydrogenase (LDH),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ipid peroxides (LPO) in the serum and lipid peroxides in the microsom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GOT, GPT, LDH, ALP and LPO and liver microsomal LPO were reduced significantly by caffeic acid (50mg/kg), chlorogenic acid (25mg/kg) and silymarin (150 mg/kg) as compared to the paraquat group. From these results,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exerted their antioxidative agents by removing reactive oxygen substance (ROS) and scavenging effects by inhibiting ROS generating enzyme. As a general, two hydroxyeinnamic acids showed the useful compounds for scavenger and reducer on the paraquat induced hepatotoxicity.

  • PDF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Extract in 3T3-L1 Adipocytes and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장영선;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35-12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청국장에 사용하는 대두보다 많은 양의 isoflavone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검은콩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추출 농축 하여 청국장이 갖는 생리활성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효과와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를 $SC_{50}$값으로 나타내었을 때 각각 $162.7{\pm}2.8$ ppm와 $205.62{\pm}3.6$ ppm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을 3T3-L1 지방세포에 처리하였다.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Oil Red O 염색을 통해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한 결과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4,000 ppm 처리 시 최대 17.1%의 지방 감소를 보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부고환, 복막 후, 장간막 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와 렙틴 농도에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ICR 마우스에 일반식이를 급여한 일반식이군(ND),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식이군(HFD)과 고지방식이에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 분말 5%를 급여한 군(HFC-BBCE군)으로 나누어 7주간 실험하였다. 고지방식이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청 지질 수준,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이에 의해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 및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이 고지방 식이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고지방식이 급여로 증가된 체중 및 지방조직 무게를 감소시키고, 혈청지질 조성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을 볼 수 있다. 앞으로 검은콩 청국장 추출물이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능성식품 신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L.) with Pressurized Roasting)

  • 송영복;최정선;이지은;노정숙;김미정;조은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79-1186
    • /
    • 2010
  • 무말랭이 및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in vitro와 LLC-$PK_1$ cellular system에서 살펴보았다.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과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IC_{50}$로 비교해 보았을 때 DPPH(646.70 vs $135.45\;{\mu}g/mL$), superoxide anion(896.10 vs $566.98\;{\mu}g/mL$) 및 hydroxyl radical(722.26 vs $531.84\;{\mu}g/mL$)에 대한 가압볶음 열수 추출물의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러한 유리기 소거효과는 LLC-PK1 cell에서 pyrogallol, SNP 및 SIN-1 처리로 superoxide, nitric oxide 및 peroxynitrite를 생성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다음 무말랭이 및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하였을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고, 과산화물 생성량이 감소하여 세포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산화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는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모든 유리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러한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무에 함유되어 있는 함황 물질, 유리아미노산, 배당체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효과가 더 높은 이유는 무말랭이에 함유된 유효성분이가압볶음에 의해 증가되고 더불어 볶음과정 중에서 생성된 maillard 생성물의 항산화성 때문으로 생각된다. 무말랭이의 환원당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볶음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이에 반해 maillard 생성물의 중간산물인 5-hydroxymethyl-2-furfural(5-HMF) 함량은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것이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0.57 mg/g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압볶음 무말랭이 차의 섭취는 체내 유리기에 의한 산화적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밤송이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et Z.) bur Fermented by Lactobacillus casei)

  • 전동하;조우아;;장민정;유미숙;박정렬;김세현;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93-1199
    • /
    • 2014
  • 국내의 천연자원 및 부산물로부터 기능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탐색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측면,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화장품소재 개발 및 피부 노화 메커니즘을 연구함으로써 밤과수 과정에서 폐기되는 밤송이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그 화학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밤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DPPH 라디칼소거능, Hydrogen peroxide저해활성,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균주 5% 접종 후 6일간 배양액 추출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 라디칼소거능, 환원력 측정, Superoxide anion radical 저해활성 실험을 통해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BHA와 Ascrobic acid, EGCG에 비교하여 발효밤송이 추출물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나는 결괄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발효 밤송이 추출물은 효능이 좋은 천연 항산화제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