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소거능

검색결과 1,762건 처리시간 0.022초

대나무수액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ity of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Sap)

  • 조숙현;최용조;노치웅;최철웅;김덕송;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5-110
    • /
    • 2008
  • 대나무수액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를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나무수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DPPH 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고, ROS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배양된 대식세포에 대나무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한 결과 대나무수액 농토가 높을수록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자극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대나무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24시간 후 세포의 형태변화를 HIT assay로 실시한 결과 산화적 자극에 의해 발생한 세포손상이 대나무수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Ascorbic acid는 $H_2O_2$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독성을 억제해 주는 효과가 10 %로 우수하게 나타났고 대나무수액 역시 고농도에서 27 %의 세포손상 방지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대나무수액은 안전하고 독성이 전혀 없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he Activity of Anti-oxidation of Cinnamomum loureiroi Extract)

  • 이해진;임현지;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83-1590
    • /
    • 2020
  • 본 연구는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CLE)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전에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수행에서 사용할 농도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ABTS 라디칼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LPS에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ROS의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397.7±8.3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1.9±0.8 mg/g으로 BHA 검량선 기준으로 선행연구들과 비교한 결과 함량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과 DPPH 라디칼 소거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OS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 라디칼 소거능과 부합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CLE의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향 후 천연원료로서 기능성화장품 또는 심화 연구를 통한 천연화장품의 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티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Beet (Beta vulgaris) Sprout Extract)

  • 한송이;변지훈;강미숙;강소미;김재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77-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비트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 품종의 레드 비트(메를린, 우단, 디트로이트다크레드) 새싹을 60% 에탄올로 추출한 후 free radical 소거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NO) 생성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메를린, 우단, 디트로이트다크레드 새싹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querceitn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2.84 mg Que/g, 2.61 mg Que/g, 2.71 mg Que/g으로 나타났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 ㎍/ml일 때, 55%, 72%, 63%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은 메를린 새싹 추출물은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OS와 COX-2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메를린 비트 새싹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제의 천연물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each(Prunus persica L. Batsch)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8-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젤리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pH, 색도, 외관색상, 경도)과 소비자 기호도(색, 향미, 씹힘성, 맛, 전체적 기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젤리의 pH는 증가하였다(p<0.001).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01),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복숭아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소비자 검사결과, 15%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젤리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복숭아 분말의 기능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젤리의 최적첨가 농도는 1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박 추출물의 항균활성,항산화 및 SOD 유사활성 효과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 김태영;전태욱;여수환;김상범;김진숙;곽준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9-305
    • /
    • 2010
  • 주박 추출물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 항산화, DPPH 라디컬 소거능 그리고 SOD 유사활성을 실험하였다. 주박의 추출물은 B. subtilis, Staph. aureus, P. aeruginosa 그리고 E. coli 균주에 대해서 모든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두유 유화물을 이용한 주박의 항산화력은 control보다 추출물이 더 높았다. 그리고 주박 추출물의 농도가 200 ppm일때 효과가 있었다. 주박 추출물의 DPPH의 소거능은 80% 이상의 저해 효과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박의 지속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고, 또한 주박을 다른 용매 추출법에 의해 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선나무의 추출조건 확립 및 효능평가를 통한 기능성 탐색 (Screening of Functional Compound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or Optimize Extraction Condition and Efficacy Evaluation)

  • 조석철;김명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1-67
    • /
    • 2017
  • 미선나무 잎과 줄기 중 유효성분의 최적 추출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의 물과 에탄올 혼합물(0, 20, 40, 60, 80, 100% ethanol(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환류냉각, 초음파 및 침지법을 적용하여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80% 에탄올로 2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미선나무 줄기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침지 추출 시 71.3%로 가장 높았다. 미선나무 잎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용매별로 분획하여 측정한 결과 용매별로 다른 값을 나타내었으며 부탄올 층에서 10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미선나무의 잎과 줄기를 생리활성을 보유한 천연물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와송(Orostachys japonicus)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 이소정;송유진;이소영;김꽃봉우리;김서진;윤소영;이청조;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71-1579
    • /
    • 2009
  • 와송의 부위별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고 열 및 pH 처리가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식품산업에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ancimat에 의한 지질산화 억제능은 4 mg/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안정지수가 잎 및 뿌리에서 1.92 및 2.00의 값을 보여 1.28의 값을 보인 줄기에 비해 높은 억제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잎, 줄기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0.4 mg/mL 농도에서 92-96%의 값을 보여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과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도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반면, 금속봉쇄력은 에탄올 추출물은 잎에서 높은 금속봉쇄 효과를 보였으나 물 추출물에서는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4 mg/mL 농도에서 90%에 가까운 금속봉쇄력을 보여 킬레이트제인 EDTA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DPPH 라디칼 소거능, 금속봉쇄력을 통해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지며, 그중 특히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와송잎 에탄올 추출물을 열 및 pH 처리한 결과 라디칼 소거능이 무처리구와 유사한 값을 보여 와송잎 추출물이 열 및 pH에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와송잎 추출물은 열 및 pH에 안정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져 천연항산화제로서 식품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 3종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 우정향;신소림;정헌상;이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31-636
    • /
    • 2010
  •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80%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냉각 추출한 마가렛, 국화 및 낙동구절초의 꽃과 잎줄기(shoot)의 페놀성 물질 함량,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은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국화 잎줄기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Fe^{2+}$ chelating 효과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으며, 국화 꽃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마가렛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BHT보다 억제활성이 낮았다. 연구의 결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은 페놀성 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제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금속이온 chelating 및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은 다소 낮으므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화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by Ethanol Concentration)

  • 이혜진;도정룡;정성근;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6-660
    • /
    • 2014
  • 능이버섯의 추출용매 및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능이버섯 분말과 추출용매의 비율을 1:50으로 하고 물, 30%, 60% 및 9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수율 측정 결과, 추출용매에 따라 각각 52.10%, 46.90%, 41.50% 및 32.20%로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추출 수율이 높았다. 능이버섯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4 mg/mL일 때 40.40%의 활성으로 가장 높았고,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같이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많았고, 1 mg/mL에서 16.23 mg/g으로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능이버섯 1, 2, 4 mg/mL 농도가 56.30~77.05%의 활성으로 표준물질인 ascorbic acid 10 mg/mL의 56.19%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 측정 결과, 산성조건인 pH 3.0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추출용매에 따라 30% 에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활성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52.67%~89.52%로 높은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능이버섯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능이버섯에서 유래한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나아가 능이버섯의 최적 추출조건 확립 등의 연구를 통해 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Ethanol Extract)

  • 김아라;이재준;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2
    • /
    • 2009
  • 본 연구는 일당귀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일당귀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r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39{\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 지수도 분획 중 n-hexane 분획이 1.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변화에 따른 각 분획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는 n-hexane 분획이 87.7%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 chloroform, n-butanol, water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일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일당귀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효능의 우수함을 통해 일당귀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개발 및 활용성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