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 gradient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5초

실험반응조를 이용한 하수관에서의 재포기현상 재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Reproducibility of Reaeration in Sewer using Batch Reactor Test)

  • 황환국;민상윤;조진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8호
    • /
    • pp.45-50
    • /
    • 2014
  • 하수관 내에서의 하수와 미생물의 반응에 대한 실험은 이미 매설된 하수관에 적용할 경우 실험조건의 변화가 제한적이며 실험시간에도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수관 내에서의 하수와 미생물의 반응에 대하여 DO를 제한 조건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실험실 내에서 실험반응조를 통해 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수관 내에서의 DO 농도는 기상 중의 산소가 하수 내로 이동하는 재포기현상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임의로 실험반응조에서 하수관 내의 유하조건을 조절하고 재포기현상을 재현하여 유하조건과 재포기계수와의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으며, 교반강도(속도경사)에 따른 재포기계수와 하수관거에서의 유하조건에 따른 재포기계수의 상관관계를 통해 동일한 재포기계수 값을 갖는 교반강도와 유하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포기계수를 제한인자로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할 경우 하수관거에서의 상황을 실험반응조를 통해 재현할 수가 있었다.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한국의 논 토양 미생물 다양성 분석 방법 (Korean Paddy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Method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 최명은;홍성준;임종희;곽윤영;백창기;정희영;이인중;신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2호
    • /
    • pp.95-100
    • /
    • 2013
  • 현재 토양 생태에서 토양미생물은 유기물 분해, 질소 순환, 식물의 질소 이용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토양 내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논 토양의 미생물 생태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 토양 미생물의 DNA를 분리하기 위하여 lysis buffer method, skim milk bead method, sodium phosphate buffer method, Epicentre SoilMaster DNA extraction kit (Epicentre, USA), Mo Bio PowerSoil kit (Mo Bio, USA)를 이용하여 토양 내 gDNA 최적 추출방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Mo Bio PowerSoil kit를 사용하였을 때 Shannon 다양성지수가 세균 3.3870, 진균 3.6254으로 미생물 다양성 분석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DGGE 분석을 위한 조건은 세균의 경우 6% polyacylamide gel, 45-60% denaturing gradient였고, 진균의 경우 6% polyacrylamide gel, 45-80% denaturing gradient에서 최적 분석조건을 보였다. 위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논 토양내의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살펴보면 시간의 변화 요인에 의해 미생물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DGGE 분석법을 통해 논토양 미생물의 분석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Piping현상 발생에 미치는 투수계수비와 침투유속의 영향에 대한 연구 (The Influence of K-ratio and Seepage Velocity on Piping Occurrence)

  • 허경한;장옥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29-138
    • /
    • 2008
  • 차수성이 요구되는 제체나 댐체에 대하여 안정성을 판단하고자 할 경우 파이핑 현상발생 여부를 검토한다. 제체나 댐체는 층 다짐을 수행하면서 축조되므로 투수성은 수평방향 투수계수($k_x$)와 연직방향 투수계수($k_y$)가 서로 다른 이방성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투수계수 비(k-ratio=$k_y/k_x$k)에 따른 침투해석을 수행하여 유출동수경사와 침투유속을 파악하고, 이론식에 의한 한계동수경사와 경험식에 의한 한계유속과 각각 비교.검토하여 파이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투수계수 비는 한계동수경사 개념으로 파이핑 현상발생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할 경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나, 한계유속 개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응력 구배 효과를 고려한 구름 접촉 모델의 피로수명해석 (Fatigue Life Analysis of Rolling Contact Model Considering Stress Gradient Effect)

  • 조인제;유용훈;이보라;조용주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1권6호
    • /
    • pp.272-280
    • /
    • 2015
  • Recently, Luu suggested fatigue life equation that uses every term of the Crossland equation with stress gradient effect. Luu’s model, however, has a limit of being unable to coverage small radii that are less than a specified length. Furthermore, rolling model has a very small contact area compared to the rolling element size, and fatigue failure occurs on the small radius such as surface asperity by cyclic loa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dify fatigue life equation in order to enable fatigue analysis for a small radius. In this paper, the fatigue life considering a stress gradient effect in rolling contact was obtained using Luu’s modified equation. Fatigue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the effect of stress gradient on the fatigue life using newly adopted equation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pervious models. In order to do this, a series of simulation such as surface stress analysis, subsurface stress analysis, and fatigue analysis are conducted for two rolling balls of same size that contact each other. Through such a series of processes, the fatigue life can be calculated and equation that is proposed in this paper evaluates the fatigue life in case the contact area is small.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 수채화 효과 생성 기법 (Retouching Method for Watercolor Painting Effect Using Mean Shift Segmentation)

  • 이상걸;김철기;차의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5-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상처리에서 많이 사용하는 양방향 필터링(bilateral filtering)과 평균 이동 분할(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사진을 수채화 효과가 나도록 하는 리터칭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먼저 양방향 필터링을 이용하여 사진의 외곽선 부분은 보존하면서 고주파 성분을 약화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양방향 필터링된 영상에서 각각 DoG(Difference of Gradient) 에지 추출과 평균 이동 분할을 수행한다. 이때 DoG 에지 추출은 원영상의 RGB 색상 공간을 CIELAB 공간으로 변환 후 휘도(luminance) 성분만 이용하여 추출하도록 하며 두 결과를 결합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사진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수채화 효과가 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주광에서 촬영한 풍경 사진들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압력 구배-가속도 관계를 이용한 링형 다중모드 벡터 하이드로폰에서의 도래각 추정 (Direction-of-Arrival Estimation for the Ring-Type Multimode Vector Hydrophone based on the Pressure Gradient-Acceleration Relationship)

  • 김완진;김우식;배호석;조치영;서희선;최상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6-74
    • /
    • 2015
  • 수중에서 압력의 크기만을 측정할 수 있는 기존 하이드로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음압뿐만 아니라 음원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벡터 하이드로폰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벡터 하이드로폰 중 4개의 분할된 전극을 가지는 링형 다중모드 벡터 하이드로폰에서 압력 구배-가속도 관계를 이용하여 도래각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과 수조 시험을 통해 제안된 도래각 추정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다중 주파수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연산량이 작은 이점이 있으므로 관련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perties of Galaxies in Cosmic Filaments around the Virgo Cluster

  • Lee, Youngdae;Kim, Suk;Rey, Soo-Chang;Chung, Jiwon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64.2-64.2
    • /
    • 2020
  • We present the properties of galaxies in filaments around the Virgo cluster with respect to their vertical distance from the filament spine. Using the NASA-Sloan Atlas and group catalogs, we select galaxies that do not belong to groups in filaments. The filament member galaxies are then defined as those located within 3.5 scale length from the filament spine. The filaments are mainly (~86%) composed of low-mass dwarf galaxies of logh2M∗/M⊙ < 9 dominantly located on the blue cloud in color-magnitude diagrams. We observe that the g - r color and stellar mass of galaxies correlate with their vertical distance from the filament spine in which the color becomes red and stellar mass decreases with increasing vertical filament distance. The galaxies were divided into two subsamples in different stellar mass ranges, with lower-mass (logh2M∗/M⊙ ≤ 8) galaxies showing a clear negative g-r color gradient, whereas higher-mass (logh2M∗/M⊙ > 8) galaxies have a flat distribution against the vertical filament distance. We observe a negative EW(Hα) gradient for higher-mass galaxies, whereas lower-mass galaxies show no distinct variation in EW(Hα) against the vertical filament distance. In contrast, the NUV - r color distribution of higher-mass galaxies shows no strong dependence on the vertical filament distance, whereas the lower-mass galaxies show a distinct negative NUV - r color gradient. We do not witness clear gradients of HI fraction in either the higher- or lower-mass subsamples. We propose that the negative color and stellar mass gradients of galaxies can be explained by mass assembly from past galaxy mergers at different vertical filament distances. In addition, galaxy interactions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contrasting features of EW(Hα) and NUV - r color distributions between the higher- and lower-mass subsamples. The HI fraction distributions of the two subsamples suggest that ram-pressure stripping and gas accretion could be ignorable processes in the Virgo filaments.

  • PDF

마이크로 유동에서 PtOEP/PS 박막을 이용한 용존 산소 농도장의 정량적 가시화 (Quantitative Visualization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Field in Micro Flows using PtOEP/PS Membrane)

  • 송대헌;김현동;김경천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6-41
    • /
    • 2011
  • It is highly needed to measure the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field in water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biological, industrial,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medical application. Application of PSP (Pressure Sensitive Paint) which is sensitive to oxygen concentr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measure DO concentration field using PtOEP/PS film and intensity based method under the UV-LEDs illumination. A micro round water jet having 100% of DO was obliquely impinged on to a PtOEP/PS film coated plate placed in a 0% of DO water container. DO concentration fields on the impinging plate were quantitatively visualized with a $2.94\;{\mu}m$ of spatial resolution. Through pixel-by-pixel calibration, uncertainty of each pixel by different sensitivity, different dye concentration and non-uniformity of illumination was remove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high DO concentration region was coincided with the impingement area. The DO concentration gradient due to DO diffusion was affected by Reynolds number.

Pruning and Learning Fuzzy Rule-Based Classifier

  • Kim, Do-Wan;Park, Jin-Bae;Joo, Young-Ho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663-66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new prun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fuzzy rule-based classifier.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classifier is framed from the fuzzy sets in the premise part of the rule and the Bayesian classifier in the consequent part. For the simplicity of the model structure, the unnecessary features for each fuzzy rule are eliminated through the iterative pruning algorithm. The quality of the feature is measured by the proposed correctness method, which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fuzzy values for a set of the feature values on the decision region to one for all feature valu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parameters of the proposed classifier are finely adjusted by using the gradient descent method so that the misclassified feature vectors are correctly re-categorized. The cost function is determined as the squared-error between the classifier output for the correct class and the sum of the maximum output for the rest and a positive scalar. Then, the learning rules are derived from forming the gradient. Finally, the fuzzy rule-based classifier is tested on two data sets and is found to demonstrate an excellent perform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