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S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9초

'DNS피오나지' 공격의 진화에 따른 대응방안 (Attack Evolution of 'DNSpionage' and Countermeasures on Survey)

  • 홍성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52-57
    • /
    • 2019
  •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지를 구분하기 위해 IP 주소를 사용하는데, IP는 일반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기가 어려워 IP에 해당하는 별명같은 이름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DNS를 악용하는 사례가 해외에서 늘고 있으며, 'DNS피오나지' 라고 불리는 배후 세력들이 새로운 룰과 악성코드를 개발하여 진화하고 있으며, 이런 공격은 해킹 성공률을 높이며, 가짜 사이트로 유도를 하는 등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위조하고 있어 피해 사례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DNS 시스템 등 점점 통제를 할 수 없는 범위로 확대되고 있어, 이를 통제하기 위해 DNS피오나지 공격에 대한 분석과 대응책을 제시하여 안전한 DNS 시스템을 구축을 제안한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위한 DNS 네임 자동설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NS Name Autoconfiguration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s)

  • 이세준;정재훈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1호
    • /
    • pp.1441-1451
    • /
    • 2015
  •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매우 많은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oT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는 매우 많은 개수가 사용되는데 각 IoT 디바이스에 대한 DNS(Domain Name System) 네임을 일일이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Pv6 기반의 IoT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의 DNS 네임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하는 DNS Name Autoconfiguration(DNSNA)이라는 기법을 제안한다. DNS 네임을 생성 및 등록하는 과정에서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에서 재정된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본 기법은 유니캐스트로 DNS 서버를 통해 IoT 디바이스의 DNS 네임을 IPv6 주소로 레졸루션(Resolution)하기 때문에 멀티링크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기존의 멀티캐스트 기반의 mDNS(Multicast DNS) 기법보다 트래픽을 적게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기법은 멀티홉으로 구성된 IoT 네트워크에서 mDNS 보다 더 적합하다. 본 논문은 제안한 기법의 디자인과 스마트 홈과 스마트 로드에서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은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구현 및 테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국어 도메인을 위한 DNS 프로토콜 : mlDNS (A New DNS Protocol for Multilingual Domain Names)

  • 신혜원;이승익;이동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328-330
    • /
    • 2000
  • DNS(Domain Name Service)는 인터넷 호스트의 주소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써 기존의 시스템은 영어 알파벳 이외의 다른 언어들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은 처리하지 못한다. 최근, 인터넷의 국제화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국어 도메인 이름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DNS 프로토콜인 mlDNS(Multilingual Domain Name Service)를 제안한다. 기존의 DNS와의 호환성 및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특정 언어에 종속되지 않는 시스템을 디자인하기 위해 mlDNS에서는 Unicode 문자 집합을 기반으로 모든 DNS 질의를 UTF-8 인코딩 방식으로 처리하고 이러한 새로운 mlDNS 질의와 기존의 DNS 질의를 구분하기 위해 DNS 질의 헤더에 'IN'이라는 새로운 비트 영역을 지정하여 사용한다.

  • PDF

결함내성을 가진 도메인네임 서버의 구축 및 연동시험 (Foundation Techniques and Cooperation Test of Fault-tolerant Domain Name Servers for Internet Name Resolution)

  • 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1-50
    • /
    • 2011
  •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상의 호스트의 도메인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하거나 IP주소를 도메인주소로 변환하는 이름해결 메카니즘을 총칭한다. 본 논문에서는 1차 DNS 서버가 오류로 인해 정지하더라도 2차 DNS 서버가 대신하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함내성을 갖는 DNS 시스템 구축에 관해 연구하였다.

DNS Response Policy Zone 을 이용한 DNS 싱크홀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DNS sinkhole operation using DNS Response Policy Zone)

  • 최재영;오상석;민성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528-1531
    • /
    • 2011
  • 최근 악성봇은 해커에 의해 원격 조정되어 명령에 의해 스팸메일 발송, DDoS 공격 등의 악성행위를 수행하는 웜/바이러스이다[2]. 악성봇은 이전의 웜/바이러스와 달리 금전적인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많아 작게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으로부터 크게는 사회적, 국가적으로 악영향을 주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위험을 방어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 방법으로 DNS 싱크홀을 운영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NS 싱크홀 운영 중 수집한 봇 명령/제어 (Command and Control, C&C) 도메인을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DNS 싱크홀 시스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 하기 위한 DNS Response Policy Zone(RPZ)을 이용한 DNS 싱크홀 운영 방안을 제시 하였다.

A Light-weighted Data Collection Method for DNS Simulation on the Cyber Range

  • Li, Shuang;Du, Shasha;Huang, Wenfeng;Liang, Siyu;Deng, Jinxi;Wang, Le;Huang, Huiwu;Liao, Xinhai;Su, Sh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8호
    • /
    • pp.3501-3518
    • /
    • 2020
  • The method of DNS data col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DNS simulation. DNS data contains a lot of information. When it comes to analyzing the DNS security issues by simulation on the cyber range with customized features, we only need some of them, such as IP address, domain name information, etc. Therefore, the data we need are supposed to be light-weighted and easy to manipulate. Many researchers have designed different schemes to obtain their datasets, such as LDplayer and Thales system. However, existing solutions consume excessive computational resources, which are not necessary for DNS security simu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light-weighted active data collection method to prepare the datasets for DNS simulation on cyber range.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and prove that it can collect DNS data in a short time and store the collected data at a lower storage cost. In addition, we give two examples to illustrate how our metho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분산 웹 서버 시스템에서의 DNS 기반 동적 부하분산 기법 (DNS-based Dynamic Load Balancing Method on a Distributed Web-server System)

  • 문종배;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3호
    • /
    • pp.193-204
    • /
    • 2006
  • 대부분의 분산 웹 시스템은 Domain Name System(DNS)을 이용하여 사용자 요청을 분산한다. DNS 기반 부하분산 시스템은 구성하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주소 캐싱 매커니즘에 의해 서버들 사이의 부하 불균형이 발생한다. 또한, 서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DNS의 수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NS의 동적 갱신(dynamic update)과 라운드로빈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부하분산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DNS의 수정 없이 동적인 부하분산을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서버의 부하량에 따라 서버를 DNS 리스트에 동적으로 추가, 삭제한다. 부하가 많은 서버를 DNS 리스트에서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응답시간이 빠르다. 동적인 부하분산을 위하여 CPU와 메토리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률에 따른 부하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GUI 기반의 관리도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안하는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구현한 모듈들이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기존 라운드로빈 DNS와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사용자 응답시간과 파일전송률이 더 빠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DNS 스푸핑을 이용한 포털 해킹과 파밍의 위험성 (Web Server Hacking and Security Risk using DNS Spoofing and Pharming combined Attack)

  • 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451-1461
    • /
    • 2019
  • DNS 스푸핑은 공격자가 클라이언트와 DNS 서버 간 통신에 개입하여 실제 IP 주소가 아닌 가짜 IP 주소를 응답하여 DNS 서버를 속이는 공격이다. 웹 서버 초기화면 복제와 간단한 웹 프로그래밍으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해킹하는 파밍 사이트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파밍사이트로 유도하는 DNS 스푸핑과 파밍사이트 구현을 결합한 웹 스푸핑 공격에 관해 연구하였다. 본 대학의 포털 서버를 대상으로 DNS 스푸핑 공격 방법과 절차 및 파밍사이트 구현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경성포털의 경우 SSL에 의한 암호화와 보안인증이 이루어진 웹 서버임에도 우회 공격과 해킹이 가능하였다. 현재 많은 웹 서버가 보안조치가 이루어져 있지 않고, SSL에 의해 보안이 이루어진 웹 서버라 할지라도 이를 무력화 시킬 수 있으므로 이의 심각한 위험과 대응조치가 꼭 필요함을 알리고자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Network Based on Domain Name System)

  • 허재욱;김정호;전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6-46
    • /
    • 2019
  •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의 개수가 대폭 증가해 1984년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이하 DNS)이 도입되었다. DNS는 웹 사이트를 검색할 때,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복잡한 IP 주소를 외우지 않고 편리성이 높은 문자 형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중요한 핵심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DNS의 중요성에 비해 권한 할당 문제, 공인 등록 관련 분쟁, DNS 캐시 포이즈닝(DNS Cache Poisoning), DNS 스푸핑(DNS Spoofing),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DNS 증폭 공격(DNS Amplification Attack)과 같은 각종 보안 취약점, 초연결 네트워크 시대의 더 많은 도메인 네임의 필요성 등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DNS가 가지는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분산원장기술인 블록체인을 이용해 DNS를 구현하는 법을 제안하고, 이더리움 기반의 플랫폼을 이용해 구현하였다. 추가적으로 기존의 도메인 네임 등록 및 도메인 네임 서버의 정성적 성능 비교 평가를 하고, 제안하는 시스템이 기존 DNS의 보안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지 보안 평가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해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D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Numerical Simulation of Mechanical Behavior of Composite Structures by Supercomputing Technology

  • Kim, Seung-Jo;Ji, Kuk-Hyun;Paik, Seung-Hoon
    •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
    • 제17권4호
    • /
    • pp.373-407
    • /
    • 2008
  •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the virtual tests of composite structures by simulating mechanical behaviors by using supercomputing technologies, which have now become easily available and powerful but relatively inexpensive. We will describe mainly the applications of large-scale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the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which describes composite material properties considering individual constituent properties. DNS approach is based on the full microscopic concepts, which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local interaction between the constituents and micro-failure mechanisms by separate modeling of each constituent. Various composite materials such as metal matrix composites (MMCs), active fiber composites (AFCs), boron/epoxy cross-ply laminates and 3-D orthogonal woven composites are selected as verification examples of DNS. The effective elastic moduli and impac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s are determined using the DNS models. These DNS models can also give the global and local information about deformations and influences of high local in-plane and interlaminar stresses induced by transverse impact loading at a microscopic level inside the materials. Furthermore, the multi-scale models based on DNS concepts considering microscopic and macroscopic structures simultaneously are also developed and a numerical low-velocity impact simulation is performed using these multi-scale DNS models. Through these various applications of DNS models, it can be shown that the DNS approach can provide insights of various structural behaviors of composite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