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R proces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소생거부(Do-Not-Resuscitate: DNR)의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DNR(Do-Not-Resuscitate))

  • 박형숙;구미지;김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055-106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rify the ambiguous concept of DNR, and to distinguish between DNR and euthanasia. Method: This study used the process of Walker & Avant's concept analysis. Result: The definable attributes of DNR were care for comfort, no further treatment and no CPR. The antecedents of DNR were the autonomy of patients and families feelings about death, the uselessness of treatment and the right to die with dignity. The process of the DNR decision should be documented and the antecedents of DNR also can be a basis for objective standards of DNR decision-making. The result of DNR was the acceptance of death by patients and families. Conclusion: DNR is decided and documented by the antecedents of DNR, and the result is a natural acceptance of death, the last process of human life. Hospice care should be activated and nurses must be patient's advocates and families' supporters in the process.

수정 DNR 공정을 이용한 하수처리 (Sewage Treatment Using a Modified DNR Process)

  • 최진택;남세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46-451
    • /
    • 2008
  • In this study,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mponents and nutrients of sewage taken from the Suwon area were investigated in a lab-scale modified DNR (Daewoo Nutrient Removal) process. The modified DNR process consisted of a sludge denitrification tank, an anaerobic tank, an anoxic tank, an aerobic tank, a secondary anoxic tank and a secondary aerobic tank. The proposed process with the average C/N ratio of 3.5 was performed for the sewage treatment.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DNR processes. The organic fractions in sewage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oxygen uptake rate. The resulting removal efficiencies of SS, BOD, COD, TN and TP were 93.1%, 95.5%, 86.1%, 67.8% and 80.6%, respectively.

심폐소생술 금지와 관련된 병원간호사들의 경험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Do-Not-Resuscitate in Korea)

  • 이명선;오상은;최은옥;권인각;권성복;조경미;강영아;옥정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8-30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do-not-resuscitate (DNR) among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nurses in 8 different hospitals. 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Eight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DNR decision-making bypassing the patient, inefficienc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DNR, negative connotation of DNR, predominance of verbal DNR over written DNR, doubts and confusion about DNR, least amount of intervention in the decision for DNR change of focus in the care of the patient after a DNR order, and care burden of patients with DNR. Decision-making of DNR occurred between physicians and family members, not the patients themselves. Often high medical expenses were involved in choosing DNR, thus if choosing DNR it was implied the family members and health professionals as well did not try their best to help the patient. Verbal DNR permission was more popular in clinical settings. Most nurses felt guilty and depressed about the dying/death of patients with DNR. Conclusion: Clearer guidelines on DNR, which reflect a family-oriented culture, need to be established to reduce confusion and to promote invol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DNR among nurses.

슬러지 침전성이 DNR 공정에 미치는 영향 평가 (The Effect of Sludge Settleability on the Performance of DNR Process)

  • 서창원;란 티 뉴엔;정형석;이상민;이의신;신항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3-280
    • /
    • 2006
  • The sludge settleability is a key factor for operating activated sludge process as well as BN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because the poor sludge settling causes an increase of suspended solid in the effluent. In order to improving the sludge settleability, a settling agent such as iron dust can be appli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ludge settleability on the performance of DNR (Daewoo nutrient removal) process was investigated with GPS-X, which is the popular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model program, and the result of modeling was verified with operating lab-scale DNR process. As a result, if the sludge blanket keeps stable in the secondary settling tank, the effluent quality is similar in spite of different SVI values. And in case of the good sludge settleability, short HRT or long SRT increased the biomass concentration in the bioreactor, and improved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spite of daily influent changing, the good sludge settleability also guaranteed the stable effluent quality. And the results of the lab-scale DNR process experiment could support the simulated results.

성인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Do Not Resuscitate' in Adults)

  • 이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93-399
    • /
    • 2019
  • 본 논문은 성인의 심페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210명이었다. DNR에 대한 인식에서는 '편안한 죽음을 위해(64.3%)' DNR이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상황에 따른 DNR의 필요성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함(41.3%)' '환자의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23.9%)' 등이었으며, DNR에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의 이유는 '법적 문제가 제기 될 수 있기 때문(61.7%)', '인간의 존엄성은 생명유지가 최우선이기 때문(16.7%)' 등의 순이었다. DNR에 대한 태도는 '내가 불치병을 가졌을 때 사실을 알기 원하는지의 여부'가 평균 4.2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성인의 연령대별 DNR에 대한 태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심폐소생술 금지는 연명치료 중단의 방법이 아니라 인간이 임종과정과 죽음에 대한 자율권을 행사하는 포괄적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말기암환자에서 심폐소생술금지 (Do-not-resuscita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

  • 권정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179-187
    • /
    • 2015
  • 환자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환자, 보호자, 의사 사이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논의는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말기의 암환자인 경우에는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을 고려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음(Do-not-resuscitate, DNR)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DNR에 대한 선택은 환자와 보호자의 심폐소생술과 DNR의 의미 및 그 결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DNR에 대하여 환자, 보호자, 의료진이 상담을 할 때는 환자의 질환이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며, 심폐소생술이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과정을 연장시키는 것이며, 심폐소생술 이후에 삶의 질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는 합의가 필요하다. 충분한 이해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한 DNR을 선택하도록 한다. 국내에서는 DNR 자체 보다는 이미 생명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의 생명유지장치의 제거에 대한 법적인 문제가 2차례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이전보다 증가하였다. 환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DNR에 대한 인식과 의지가 80년대에 비해 2000년대 초반에 이르러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DNR의 결정에 있어 환자가 직접 관여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DNR 작성 시점과 사망 시점과의 시간 간격이 1주 이내로 환자가 관여를 하거나 임종시기의 의료를 결정하기에는 너무 짧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조기 완화의료의 확산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에서는 DNR이라는 용어보다는 자연적인 죽음을 허용함(Allow-Natural-Death)이라는 용어로 바꾸어서 설명하는 것이 이해를 돕고 선택의 갈등을 줄인다는 보고를 하여 DNR 논의와 결정에 있어서 적절한 시기 이외에도 환자와 보호자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DNR은 말기암환자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며, 임상에서 DNR이 잘 시행되도록 임상적,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한 DNR 환자의 임종 (Intensive Care Nurses' Experiences of Death of Patients with DNR Orders)

  • 이지윤;이용미;장재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2호
    • /
    • pp.122-130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DNR 환자 임종을 경험하면서 수용하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의미와 그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8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DNR 환자 임종경험은 '정답이 없는 죽음의 양면성, 죽음과 일의 경계에서 경험하는 딜레마', '가족이 안고 있는 죽음의 무게 감당하기', 상실로 얻은 삶에 대한 성찰',의 4가지 주제모음으로 나타났다. 결론: DNR에 대한 판단기준과 DNR 결정 절차에 대한 상세한 규정, DNR 환자 간호윤리 지침 및 교육이 필요하고, DNR 환자 가족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주 결정 가족원의 사별 후경험 (Experience after bereavement in main family members making DNR decisions)

  • 김명희;강은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8-12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bereavement for main family members who had made and followed DNR decision for their family members. Method: This qualitative study was based on a grounded theory, and used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with the bereaved 10 main family members who had been treated and died under DNR order. Results: The causal condition of the family member was 'Releasing', and the main consequent phenomenon were 'Blaming self and ruminating'.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The memory of the deceased'. The action/reaction strategy was 'Purifying'.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Supporting system', and the consequence was 'Acceptance'. The experience after bereavement of the family member on DNR decision were rational processes that purified themselves and healed the guilt feeling about the decision from reflective assessment and response about DNR decision. Based on this results, the substantive theory 'Reflective self healing' was derived. Conclusion: The main family members in following DNR decision are more likely to have unhealthy emotional condition than others in normal bereavement process. But they overcame the grief of bereavement through reflective self healing process.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명치료중단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Elderly)

  • 김현숙;신성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97-407
    • /
    • 2015
  • 본 연구는 일상생활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에게 연명치료중단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상자들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시행의지에 미치는지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J복지관출석 노인 총 40명 이었고 자료수집은 2012년 10월 2일에서 동년 11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실험군에게는 연명치료중단 교육프로그램을 1회당 50분, 주 2회, 3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시간차를 두고 설문지만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연명치료중단 교육프로그램을 실시 후 DNR 지식점수(F=4.158;p=.049)와 DNR 태도점수(F=39.60; p=.001)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연명치료중단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DNR 시행의지 점수는 형제자매(p=.344), 자녀(p=.109)를 제외한 본인(p=.006), 배우자(p=.039), 부모님(p=.006)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연명치료중단 교육프로그램이 일반 노인의 DNR 지식, DNR 태도 및 형제자매, 자녀를 제외한 DNR 시행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노인들의 DNR 의사결정을 돕기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겠다.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Perceptions of Caregivers and Medical Staff toward DNR and AD)

  • 이선라;신동수;최용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2호
    • /
    • pp.66-74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소생술 포기(Do Not Resuscitate, DNR)와 사전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5개 종합 병원에 입원한 환자 보호자 145명과 이를 담당한 의료인 272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21일부터 15일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소생술 포기에 대한 인식 14문항, 연명 의료 중지 선택제에 대한 인식 3문항, 직업유무, 성별, 연령을 포함한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소생술 포기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필요성은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에서 모두 높았으며, 특히 의료인이 환자 보호자보다 그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DNR ${\chi}^2=44.56$, P<0.001; AD ${\chi}^2=16.23$, P<0.001). 의료인은 소생술 포기에 대한 설명을 환자나 환자 보호자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으나 환자 보호자의 경우 환자 보다 환자 보호자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소생술 포기와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에 대한 주 이유는 '회복 불가능한 환자의 고통 경감'으로 나타났다. 또 소생술 포기 결정 시기는 '말기질환 입원 즉시'가 가장 많았으며 의사결정은 '환자와 환자 가족이 상의하여 결정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소생술 포기에 대한 지침서의 필요성과 이로 인한 요구도 증가 역시 환자 보호자 보다 의료인이 높게 인식하였다(${\chi}^2=7.41$, P=0.0025). 결론: 이 연구 결과 한국 사회에서 소생술 포기와 사전의료의향서의 결정은 환자 보호자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환자와 환자 보호자가 이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DNR과 AD의 적용은 말기환자의 고통 경감이 주요한 이유로 나타나 호스피스와 연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의료인도 환자 보호자와의 인식 차이를 인지하고 DNR과 AD 결정을 위한 의사소통 시 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